고전문학 열녀 향랑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열녀 향랑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작하면서

2. 문학작품 속에서의 향랑

3. 당시의 사회상에 비추어 본 향랑

4. 향랑이 열녀가 되기까지

5. 끝맺으면서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려는 지방 사족들의 이해와,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남성들의 권위를 지키려는 중앙 권력자들의 이해가 맞아 떨어진 결과 그녀는 의연함을 갖춘, 평민이면서도 절의를 아는 열녀가 되었다. 그 결과 그녀의 비극적인 삶과 원망스런 심사는 외면당하고 그저 정절의 표상으로 남성 사대부들의 이상을 만족시키고, 여성들에겐 억압의 미끼로 쓰이는 ‘열녀’가 되어버린 것이다.
5. 끝맺으면서
향랑은 그 당시 열녀의 대명사로써 많은 문학 작품에 등장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절의를 칭찬했다. 각 문학 작품에서는 향랑을 입 모아 정숙하고 단정한 여인이라 하는데 이는 작자들이 열녀의 기준에 맞춰 자신의 의도대로 창작해낸 성격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정치적 목적으로 향랑에게 억지로 열녀의 옷을 입혔으며 이 과정에서 설화에 몇 가지 허구적 윤색이나 첨가가 들어갔을 것이다. 향랑은 개가조차 자유롭지 않은 극한의 시대에 살았지만 그저 체념하고 받아들이는 소극적 자세로 살지 않았다. 그녀는 자기주장이 매우 강한 여성으로 계모와 자주 마찰을 일으키키도 하고, 남편이 폭력을 계속 행사하자 갈라서고 친정으로 돌아왔는가 하면 주위의 개가 요구를 완강히 거부하면서 끝까지 자기 뜻을 굽히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정창권, 『향랑, 산유화로 지다』, 풀빛, 2004, p.222
김소행도 향랑의 이런 모습을 포착하고, 또한 바라는 모습이기에 <삼한습유>에서의 향랑을 창작해 내었을 것이다. 마지막의 자결 행위는 세상을 향한 강한 울분의 표출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의 죽음은 남성들에 의해 미화되어 여성을 억압하는 또다른 사례가 되고 말았으니 이는 향랑의 억울함을 배로 커지게 하는 처사일 듯싶다. 향랑은 자신의 가련함을 슬퍼하고 한편으로 세상의 부조리함을 원망했을 것이며, 남편 역시 미워했을 것인데, 그런 남편을 위해 절의를 지킨 여자가 되고 싶지는 않았을 것이다. 향랑은 조선 후기 가부장제 사회에서 희생된 희생자일 뿐이며, 사회의 부조리한 여성억압구조를 극명하게 나타내주는 사례였다. 또한 열녀제도의 비인간적 측면과 열녀전에는 허구성이 다분하게 들어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강진옥, 「열녀전승의 역사전 전개를 통해 본 여성적 대응양상과 그 의미」,『여성학논집』,이화여자 대학교한국여성연구원, 1995.
박 주, 『조선시대 정표정책』, 일조각, 1990.
변원림, 『역사 속의 한국 여인』, 일지사, 1995.
서신혜, 『열녀 향랑을 말하다』, 보고사, 2004.
이혜순, 「조선조 열녀전 연구」,『성곡논총』, 성곡학술문화재단, 1999.
장효현, 「<삼한습유>에 나타난 열녀의 형상」,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2.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조선시대의 열녀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 회, 2002.
정창권, 『향랑, 산유화로 지다』, 풀빛, 2004.
조혜란, 「향랑 인물고」, 『고소설연구』, 한국고소설학회, 1998.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1988.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18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