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금 오아시스 같은 것이 환상이고 희망을 품는 일일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실과 이상 이 둘 사이의 균형을 잘 맞추어 살아간다. 그리고 그저 살아지듯이 인생을 살아간다.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10명중에 9명은 엠마가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하고 사치를 즐겼다는 데에 대해 비판하고 손가락질 한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엠마가 용기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이 세상 어느 누구를 데려다 놓고 사치를 부리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을 것이며 지조를 내세우며 한 사람에게만 속박되고 싶어 하는 사람이 어디 있을 것인가.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사람들에게서 손가락질 당하고 싶지 않아 자신의 본능을 숨기고 가식의 가식을 덧붙인 가면을 쓰고 있는 사람일 것이다. 물론 엠마가 소설속의 허구적 인물이기에 필자 또한 쉽게 용기 있는 사람이라고 옹호 하는 것일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항상 자신만이 꿈꾸던 이상의 세계에 한발자국 더 다가서기 위해 현실을 바꾸어 나가려 한 용기만큼은 가상히 여겨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모두 현실의 벽을 뚫고 가식의 벽을 뚫고 본능에만 충실하게 살만큼 용기 있는 사람이 못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니까 말이다.
솔직히 이 세상 어느 누구를 데려다 놓고 사치를 부리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을 것이며 지조를 내세우며 한 사람에게만 속박되고 싶어 하는 사람이 어디 있을 것인가.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사람들에게서 손가락질 당하고 싶지 않아 자신의 본능을 숨기고 가식의 가식을 덧붙인 가면을 쓰고 있는 사람일 것이다. 물론 엠마가 소설속의 허구적 인물이기에 필자 또한 쉽게 용기 있는 사람이라고 옹호 하는 것일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항상 자신만이 꿈꾸던 이상의 세계에 한발자국 더 다가서기 위해 현실을 바꾸어 나가려 한 용기만큼은 가상히 여겨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모두 현실의 벽을 뚫고 가식의 벽을 뚫고 본능에만 충실하게 살만큼 용기 있는 사람이 못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니까 말이다.
추천자료
러시아의 아카니즘
고대소설론에 대하여...
[고전소설론] 배비장전 분석
[현대문학사] 계몽주의 소설
악마적 인간, 파우스트를 만나다 - 김영하의 <오빠가 돌아왔다>의 등장인물을 분석하며 -
현대 행정국가의 과제와 발전방향
[자원봉사론]현대사회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봉사의 구체적인 활용전략
소설감상문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건축이론 및 건축방법, 현대건축에 미친 영향
고전소설 <국선생전(麴先生傳)> 문화컨텐츠접목 현대적 적용방안
김유정 (1930년대 문학 개관)
소설의 배경 - 시간 &#8226; 공간 자연적, 사회적, 심리적, 상황적 : 박태원의 <소설가 ...
경제학의 역사 - 시대적 변천에 따른 경제학의 흐름 근현대 경제학의 변천, 자본주의 이후의 ...
[이태준복덕방][최일남아주느린시간] 다음 작품 중 두 편을 선택하여 읽고 작품에 드러난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