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로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밑 결로의 방지
마루밑 결로는 외벽의 내부결로와 같이 실내에서 침입한 수증기가 결로하는 것. 지반에서는 수증기가 비난방실의 차가운 바닥판에 결로하는 것, 굴림장산이나 동바리가 지반이나 콘크리트면의 물을 품어 올리는 것 등이 있다. 지반에서 수증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시트( 보통 두께 0.1mm를 사용 ) 등의 방습 시트로 지반을 완전히 덮는 방법이나 밑창콘크리트를 치는 방법이 유효하다. 동바리 기초의 경우 주위 지반보다 5cm 정도 높게 모래나 흙을 넣으면 상당한 방습효과가 있다고 하며, 주위에 큰 나무가 있으면 마루밑이 건조하다고 한다. 물론 환기를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마루밑 환기구의 배치를 충분히 잘 계획해야 한다.
4. 지붕 안 결로의 방지
지붕 안 환기가 충분하지 않으면 지붕 안의 개판면이 결로하게 된다. 지붕은 겨울 야간 복사의 영향을 받으므로 외기온도보다 10℃ 이상 저온이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결로가 촉진된다.
이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천장면의 방습처리를 잘 할 것, 습기투과를 적게 할 것, 지붕 안 환기를 촉진하기 위하여 충분한 환기구(ventilator)를 가질 것, 개판부에도 단열재를 사용할 것 등을 들 수 있다.
※ 내부 결로의 발생으로 구조체와 단열재의 성능저하가 우려되는 부위에 방습층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부위별 방습층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방습층은 단열층에서 온도가 높은 측에 설치하여야 한다.(특히, 단열재가 벽체의 실내 측에 있는 경우), 또한 구조체 내부에 있는 수증기는 밖으로 배출될 수 있어야 하므로 외부 표면은 방수 처리를 하더라도 수증기는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한다. 지붕 속의 공간은 결로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환기와 함께 방습층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단열재가 천장 측에 설치되어 찬 지붕(cool roof)이 된 경우에는 방습층을 단열층에서 따뜻한 측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단열재가 지붕 덮개 바로 밑에 설치되어 더운 지붕(warm roof)이 된 경우에는 단열재 밑의 지붕판의 온도가 실내 온도와 비슷하게 유지되므로 방습층은 단열층의 차가운 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평지붕은 반드시 더운 지붕(warm roof)으로 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습층의 설치 이외에도 가장 효과적인 결로방지를 위해서는 지붕형태와는 관계없이 반드시 지붕면에 환기구를 두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20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