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파주 신도시 개발 방안 ◆
1. 위치면적
2. 개발방안
3. 도농통합형 환경시범도시 조성
1. 위치면적
2. 개발방안
3. 도농통합형 환경시범도시 조성
본문내용
9개 동
524.99
(기지정 499.92 포함)
‘03.5.20~‘08.5.19
(5년간)
▶ 부동산 거래 동향 감시
- 국세청과 지자체에서 신도시 대상지 및 주변지역에 대한 부동산 거래동향을 정기적으로
감시
14. 주변지역 관리대책
구 분
대상지
면적(㎢)
기 간
비 고
건축허가제한
-인천시 검단동
-김포시 8개 동면
-파주시 9개 동면
-고양시 9개 동
524.99
3년
시구에서 시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고시
개발행위허가제한
”
”
3년
시에서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받아 고시
15. 추진일정
ㅇ 2003. 5 : 주민공람 및 관계부처 협의
ㅇ 2003. 10 :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ㅇ 2004. 12 : 개발계획 확정
ㅇ 2005. 12 : 실시계획 확정
ㅇ 2006 : 주택분양 개시
16. 기대효과
ㅇ 수도권 보급률 향상
- 수도권 전체 주택보급률 2% 향상
ㅇ 경제 활성화 기여
- 생산유발 : 43조 2천억
- 고용창출 : 23만 4천명
파주 신도시는 “도농통합형 환경친화도시 건설”이라는 주제아래 건설교통부에서 서민주거안정과 수도권의 난개발 방지를 위해 파주에 908만㎡(275만평)을 신도시로 개발하기로 확정하여서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이번에 개발될 신도시는 사전에 충분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수립하고, 자족기능 확보, 친환경 도시개발기법 활용 등으로 계획도시를 건설하여 서울에 집중된 기능과 주택수요의 분산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 같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된「9.4 주택시장 안정대책」에 따라 그동안 수도권 전지역을 대상으로 권역간 균형개발, 교통여건, 토지이용계획 등 입지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발압력을 흡수할 수 있고 광역교통문제해결이 가능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파주 신도시는 우선 인천공항과 연계해서 발전시킬 수 있으며 중국시장을 겨냥 북서쪽을 발전시킬 수밖에 없다고 본다. 게다가 통일도 대비하는 것이다.
또한 자족생활이 가능한 신도시 개발을 목표로 하기에 서울이 아닌 일산, 인천생활권에 들수 있는 곳을 만든 것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주변의 일산, 파주, 김포 트라이앵글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진다.
현재 일산에 공사 중인 국내최대의 국제전시장, 파주의 출판단지등과 연계 경기 서북권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자료
건설교통부 : http://www.moct.go.kr
대한 주택 공사 : http://vr.jugong.co.kr
524.99
(기지정 499.92 포함)
‘03.5.20~‘08.5.19
(5년간)
▶ 부동산 거래 동향 감시
- 국세청과 지자체에서 신도시 대상지 및 주변지역에 대한 부동산 거래동향을 정기적으로
감시
14. 주변지역 관리대책
구 분
대상지
면적(㎢)
기 간
비 고
건축허가제한
-인천시 검단동
-김포시 8개 동면
-파주시 9개 동면
-고양시 9개 동
524.99
3년
시구에서 시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고시
개발행위허가제한
”
”
3년
시에서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받아 고시
15. 추진일정
ㅇ 2003. 5 : 주민공람 및 관계부처 협의
ㅇ 2003. 10 :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ㅇ 2004. 12 : 개발계획 확정
ㅇ 2005. 12 : 실시계획 확정
ㅇ 2006 : 주택분양 개시
16. 기대효과
ㅇ 수도권 보급률 향상
- 수도권 전체 주택보급률 2% 향상
ㅇ 경제 활성화 기여
- 생산유발 : 43조 2천억
- 고용창출 : 23만 4천명
파주 신도시는 “도농통합형 환경친화도시 건설”이라는 주제아래 건설교통부에서 서민주거안정과 수도권의 난개발 방지를 위해 파주에 908만㎡(275만평)을 신도시로 개발하기로 확정하여서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이번에 개발될 신도시는 사전에 충분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수립하고, 자족기능 확보, 친환경 도시개발기법 활용 등으로 계획도시를 건설하여 서울에 집중된 기능과 주택수요의 분산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 같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된「9.4 주택시장 안정대책」에 따라 그동안 수도권 전지역을 대상으로 권역간 균형개발, 교통여건, 토지이용계획 등 입지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발압력을 흡수할 수 있고 광역교통문제해결이 가능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파주 신도시는 우선 인천공항과 연계해서 발전시킬 수 있으며 중국시장을 겨냥 북서쪽을 발전시킬 수밖에 없다고 본다. 게다가 통일도 대비하는 것이다.
또한 자족생활이 가능한 신도시 개발을 목표로 하기에 서울이 아닌 일산, 인천생활권에 들수 있는 곳을 만든 것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주변의 일산, 파주, 김포 트라이앵글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진다.
현재 일산에 공사 중인 국내최대의 국제전시장, 파주의 출판단지등과 연계 경기 서북권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자료
건설교통부 : http://www.moct.go.kr
대한 주택 공사 : http://vr.jugong.co.kr
추천자료
중국관광객 유치확대를 위한 관광상품 개발방안
[마케팅전략]신세대 독자 개발방안- 신문구독의 동기중심으로
환경 친화적 안면도 관광 개발 방안
(컴퓨터 보조 수업) CAI의 개념, 유형, 유의사항, 장단점, 개발방안 등등 [컴퓨터 보조 수업...
5대궁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방안
호국전적지 개발방안
국내체험관광마을의 문제점 및 개발의 문제점, 국내 체험관광의 개발방안, 국내 농촌관광의 ...
[마케팅_사례]HS개발_마케팅조직의_문제점과_해결방안
구성주의교육이론(구성주의학습)의 정의와 특징, 구성주의교육이론(구성주의학습) 사회적 배...
지역문화의 전승의미와 독창성 개발방안
[국가연구개발사업]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적재산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국가연구개발...
LOTTE Department Store 경영분석 - 롯데백화점의 국내 해외 마케팅 전략 및 현황, 분석과 향...
[공모전] 부산사상지구 개발방안
개발행위허가제,개발행위 개념,개발행위 대상,개발행위 절차,도시 군 계획시설사업,도시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