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합리와 비합리의 사이
2.자연공동체와 문화공동체의 갈등과 조화
3.숭배와 축제의 심리극
4.도살제.단백질의 공급.전쟁
2.자연공동체와 문화공동체의 갈등과 조화
3.숭배와 축제의 심리극
4.도살제.단백질의 공급.전쟁
본문내용
마링족의 돼지축제인 카이코가 주기적으로 열리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도 이때문이다.
마링족은 돼지고기를 잉여식량으로 다량비축해둠으로써 그고기가 가장필요하게쓰여질 전쟁직전에 동맹자들을 유혹하고 보답해줄수 있게되는데 이러한 돼지사육의 성공과 군사상의 힘을 연관시켜 생각하면 돼지를 많이 길러내지 못한 집단은 자기 영토를 방어할 능력이 없는것으로 간주되며, 그 집단은 그로인해 강한 동맹군을 얻지 못할 것이다. 기본 생리학적 의미에서 볼때, 한 부족이 소유하고 있는 잉여의 돼지수가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그부족의 생산능력과 군사력이 평가되며 다른말로 하자면 인간의 생태학적관점에서 볼때, 카이코와 돼지와 전쟁등 전체의 시스템을 통해 이 지역에 존재하는 동물,식물,인간 수 등이 효과적으로 배분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마링족은 돼지고기를 잉여식량으로 다량비축해둠으로써 그고기가 가장필요하게쓰여질 전쟁직전에 동맹자들을 유혹하고 보답해줄수 있게되는데 이러한 돼지사육의 성공과 군사상의 힘을 연관시켜 생각하면 돼지를 많이 길러내지 못한 집단은 자기 영토를 방어할 능력이 없는것으로 간주되며, 그 집단은 그로인해 강한 동맹군을 얻지 못할 것이다. 기본 생리학적 의미에서 볼때, 한 부족이 소유하고 있는 잉여의 돼지수가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그부족의 생산능력과 군사력이 평가되며 다른말로 하자면 인간의 생태학적관점에서 볼때, 카이코와 돼지와 전쟁등 전체의 시스템을 통해 이 지역에 존재하는 동물,식물,인간 수 등이 효과적으로 배분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