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4) 안정성장모형
미래배당금이 매년 g%로 일정하게 성장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 식을 보다 간단한 식을 유도하기 위해 양변에 (1+g)/(1+k)를 곱해보자.
이에 더하여, 기대수익률 k에 대해 전개해보면 다음과 같다.
5) 성장률과 PVGO
재투자수익률은 일반적으로 자기자본순이익률(return on equity : ROE)에 의해 측정된다. 이렇게 추정한 성장률은 투자의 양과 질에 기초하여 유지가 가능한 성장률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므로 지속가능성장률(sustainable growth rate)이라고 한다.
배당금성장률(g) = 자기자본순이익률 X 유보율
6) 고속성장모형
H년 이후부터 배당금이 g2%로 안정적인 성장을 한다고 가정하면 다음의 식이 나온다.
여기서 DIVH+1은 안정성장률 g2%로 성장하는 기간의 첫 번째 배당금이다.
* 고속성장모형을 단계별로 적용하는 과정
1단계 :
먼저 시간선을 그리고 미래 주당배당금을 일일이 계산하여 표시한다. 고속성장기간 또는 불규칙성장기간의 주당배당금을 모두 계산한 후, 안정성장률로 성장하는 기간의 첫 번째 주당배당금, 즉 DIVH+1까지 계산하고 더 이상 미래 주당배당금을 계산하지 않는다.
2단계 :
고속성장기간 또는 불규칙성장기간에 속하는 모든 주당배당금의 현가를 일일이 계산한다.
3단계 :
안정성장기간에 속하는 모든 주당배당금의 H년 기준 시점의 가치인 PH를 계산한다. DIVH+1과 g2를 사용하고, PH를 H년간 할인하여 현가를 계산한다.
4단계 :
2단계와 3단계에서 구한 모든 현가를 합산하면 현재 시점에서의 주가가 추정된다.
미래배당금이 매년 g%로 일정하게 성장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 식을 보다 간단한 식을 유도하기 위해 양변에 (1+g)/(1+k)를 곱해보자.
이에 더하여, 기대수익률 k에 대해 전개해보면 다음과 같다.
5) 성장률과 PVGO
재투자수익률은 일반적으로 자기자본순이익률(return on equity : ROE)에 의해 측정된다. 이렇게 추정한 성장률은 투자의 양과 질에 기초하여 유지가 가능한 성장률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므로 지속가능성장률(sustainable growth rate)이라고 한다.
배당금성장률(g) = 자기자본순이익률 X 유보율
6) 고속성장모형
H년 이후부터 배당금이 g2%로 안정적인 성장을 한다고 가정하면 다음의 식이 나온다.
여기서 DIVH+1은 안정성장률 g2%로 성장하는 기간의 첫 번째 배당금이다.
* 고속성장모형을 단계별로 적용하는 과정
1단계 :
먼저 시간선을 그리고 미래 주당배당금을 일일이 계산하여 표시한다. 고속성장기간 또는 불규칙성장기간의 주당배당금을 모두 계산한 후, 안정성장률로 성장하는 기간의 첫 번째 주당배당금, 즉 DIVH+1까지 계산하고 더 이상 미래 주당배당금을 계산하지 않는다.
2단계 :
고속성장기간 또는 불규칙성장기간에 속하는 모든 주당배당금의 현가를 일일이 계산한다.
3단계 :
안정성장기간에 속하는 모든 주당배당금의 H년 기준 시점의 가치인 PH를 계산한다. DIVH+1과 g2를 사용하고, PH를 H년간 할인하여 현가를 계산한다.
4단계 :
2단계와 3단계에서 구한 모든 현가를 합산하면 현재 시점에서의 주가가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