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신 활약을 기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비록 그러한 것은 역사에는 없는 이야기이지만, 소설의 묘미가 무엇인가? 이야기를 꾸미는 데에 있지 않은가? 비록 역사는 그의 복귀를 허락하지 않았지만, 소설 속의 그러한 에피소드를 더 가미함으로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의 무거운 마음을 달래 주길 바랬는지도 모른다. 나 역시 결말의 권선징악을 바랬으니까 이렇듯 아쉬운 마음을 가지고 책을 덮었다. 책의 구성은 많은 에피소드 형식으로 처음 내가 가졌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재미있게 구성이 되어 있었다. 내가 이 소설을 보면서 느낀 것은 정약용의 사회, 경제, 정치, 과학,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이룩한 거대한 업적이 결코 지금의 우리 교육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의 제자 양성의 목적은 즉 교육의 목적은 당시 현실 사회의 현실적인 개혁에 있었다. 다산이 바라는 인간상이란 합리적이며,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인간 , 자주적이며 비판적이고 현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토대로 당시 사회를 개혁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인간이었다. 따라서 이 소설 속의 제자 양성 과정에서 본 다산의 교육 목적은 현실의 부조리한 모순을 발판으로 삼아 이상사회를 건설하려는 데에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지금의 우리 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우리 교육 역시 교육의 최고 목적은 교육의 내용을 올바른 데에 올바른 곳에 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다산의 이상적인 교육의 목적은 어쩔 수 없는 시대의 정황 상 이루어지진 않았지만 지금의 교육은 충분히 그러한 교육을 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이러한 교육을 펼 수 있는 시대에 내가 태어난 것에 대해 감사했다. 내가 만일 그런 암울한 시대에 교육자로 태어났다면 나는 과연 정약용과 같은 교육철학을 가지고 제자들을 양성 할 수 있었을까? 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분명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정약용 같은 인물을 내 인생의 모티브로 삼아 교육 활동에 접목을 시킨 다면 나 역시 올바르고 바른 교육자가 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이 책이 나에게 준 포만감은 대단한 것이었다. 이래서 책은 마음의 양식이라고 했던가? 난 비록 정약용과의 의미 있는 만남을 여기서 끝내야 했지만 소설 속 다산의 여느 제자와 마찬가지로 나 역시 다산의 제자가 된 것 같은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런 책을 접할 수 있게 된 것을 다시 한번 내 삶의 행운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정약용 丁若鏞 [1762~1836]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읽고서
목민심서
'목민심서'에 대한 작품분석 및 나의 독후감
[감상문]몸을 다스리는 원칙과 백성을 사랑하는 방법 - 목민심서
[A+독후감] 목민심서를 읽고
[한문학]한시론(정약용의 조선시론
[독서감상문] 다산선생의 '지식경영법'을 읽고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교육철학]조선 성리학 이황 교육사상(교육철학), 조선 성리학 이이 교육사상(교육철학), 조...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