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쿵-덕쿵덕
덩-덕쿵덕 쿵-덕쿵덕
덩-덕쿵덕 쿵-덕쿵덕.”
- “그리고 주제는 ‘2006년 월드컵’이구요. 이제 월드컵이 한 달도 남지 않았는데 우리의 태극전사들에게 힘과 용기를 줄 수 있는 노래를 만들어 보아요. 그리고 받는 소리는 모두 같은 것으로 통일하겠어요. ‘오오 필승 코리아’로요. 다 함께 따라해 보세요. ‘오오 필승 코리~아~’
汰
오
오
필
승
汰
汰
淋
淋
淋
코
리
아
아
淋
예, 잘 했어요.“
- “모둠활동이 끝나면 발표를 통해서 가장 잘한 모둠을 선정할거에요. 그럼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6. 창작곡 발표하기
⇒ 조별로 창작한 곡을 발표한다.
- “자, 다 끝난 모둠은 끝났다는 신호로 모둠이 하나가 되어 손으로 무릎을 자진모리장단으로 쳐주세요.”
- “이제 거의 다 끝난 거 같네요. 모둠별로 발표를 해보겠어요.”
- “모둠 발표를 할 때는 활동지 하단에 써있는 대로 모둠원 중 한 명은 장구반주를 해주고 또 한 명은 메기는 소리를, 나머지 모둠원은 받는 소리를 해주세요. 장구반주는 작고 약하게 하고 메기는 소리는 큰 소리로 해주세요.”
- “자, 지금부터 모둠별 노래를 부를 텐데. 어느 모둠이 잘 했는지 잘 들어보세요. 여러분들이 모두 심사위원이 되어 잘 된 모둠을 선정할 거에요. 1모둠 장구반주 시작해주세요.”
예시)
汰
그
뉘
수
비
도
汰
오
오
필
승
그
뉘
공
인
들
汰
오
오
필
승
汰
汰
汰
汰
汰
汰
淋
淋
뚫
어
내
자
淋
淋
코
리
아
아
막
아
내
며
淋
淋
코
리
아
아
淋
淋
- “잘 해 주었어요. 가사도 알맞고, 율명도 장단에 맞게 잘 바꿔 주었어요. 이제 2모둠이 창작한 곡을 들어볼까요? 2모둠 시작해주세요.”
예시)
汰
십
오
대
영
으
로
汰
오
오
필
승
淋
십
대
영
으
로
汰
오
오
필
승
汰
汰
汰
淋
汰
潢
汰
潢
潢
潢
淋
淋
汰
스
위
스
이
겨
淋
淋
코
리
아
아
潢
프
랑
스
이
겨
淋
淋
코
리
아
아
潢
淋
淋
淋
淋
淋
- “가사가 좀 비현실적이고 율명도 약간 어색하네요. 3모둠 시작해주세요.”
- “3모둠 역시 가사는 조금 어색하지만 율명은 장단에 맞게 잘 창작해 주었어요. 이제 4모둠 노래를 들어볼까요?”
- “4모둠의 가사는 우리 태극 전사들에게 힘을 북돋아 주는 아주 좋은 가사였던 것 같아요. 그런데 장단에 조금 안 맞는 거 같죠? 이 부분은 OO식으로 바꾸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메기는 소리요~”
- “받는 소리요~”
-“쾌지나 칭칭 나네요~”
- 1모둠은 메기는 소리를 부르고 2모둠은 받는 소리를 하며, 노래를 부른다.
(아이들 교사의 노래를 듣는다.)
“재미있어요.”
- 선생님을 따라서 자진모리장단 손으로 연습한다.
- 아이들 따라 부른다.
“오오 필승 코리~아~”
(활동이 다 끝난 모둠은 손과 무릎을 이용해 자진모리장단 친다.)
(아아들 활동지 하단을 보면서 대답한다.)
“네~”
- 1모둠이 노래한다.
- 2모둠이 노래한다.
- 3모둠이 노래한다.
- 4모둠이 노래한다.
이해
및
활동
활동
이해
및
활동
활동
3’
15‘
6’
☞ 교사는 아이들의 노래에 맞게 장구반주를 넣어 준다.
☞ 모둠 활동지를 나누어 준다.
☞ 한자로 적는 게 어려운 아이들은 한글로 적어도 좋다.
☞ 교사는 칠판을 보고 뒤돌아서서 손을 머리위로 올려 시범을 보인다.
☞ 아이들이 모둠 활동을 시작하면 교사는 돌아다니면서 어려운 점이 있는지 살피고 도와준다.
☞교사는 모둠 활동지를 모아서 실물화상기로 보여준다.
이 때 실물 화상기를 최대배율로 확대하여 손으로 활동지를 움직여가며 아이들이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 모둠 노래를 부를 때 아이들이 가락의 음역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교사는 단소로 가락을 잡아준다.
☞ 교사는 아이들의 활동지를 보고 잘못된 점은 지적해 주고, 잘 된 점은 칭찬 해 준다.
정리
학습
활동
4
끝
인사
7. 잘 된 모둠 선정하기
- “이렇게 네 모둠의 창작노래를 들어보았어요. 그럼 여러분이 직접 가장 잘 만든 모둠이 어떤 모둠인지 손을 들고 발표를 해주세요. 발표를 할 때에는 선정한 이유도 함께 이야기해주세요.”
- “네, 다수의 의견을 따라서 창의적인 가사를 만들고 가락도 쉽게 만들어서 월드컵 응원가에 알맞게 만든 ○모둠 오늘 창작상을 받게 되었어요.”
8. 선정된 모둠의 노래 다 함께 불러보기
- “그럼 ○모둠의 노래를 다함께 따라 불러보아요.
- “네, 이 노래를 들으니깐 벌써 월드컵이 개막한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잘 불러주었어요.”
9. 인사하기
- “여러분, 오늘 창작활동을 해본 소감이 어땠나요? 너무 어렵거나 힘들지는 않았나요?
- “직접 활동을 해보니깐 생각했던 것보다 어렵지 않았을 거에요. 선생님이 예상했던 것보다 여러분들이 훨씬 잘 해주어서 기뻐요. 마지막으로 ○모둠의 노래를 다시 한 번 부르면서 이 시간 마치도록 해요.”
“○모둠이요. 가사가 월드컵 응원에 적합하고 가락도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어서 ○모둠을 뽑았습니다.”
“○모둠이요. 가사가 재미있습니다.”
“네~”
(아이들 노래 부른다.)
- “재밌었어요~” 등의 대답
활동
활동
4‘
1.5‘
1.5’
☞ 특별히 잘 된 모둠의 추천이 많으면 그 모둠으로 선정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손을 들게 하여 가장 많은 동의를 얻은 모둠을 선정한다.
☞ 교사는 자진모리장단으로 장구반주 한다.
▷ 평가하기 ◁
이해영역
1. 정간보의 명칭과 기호를 이해하였는가?
2. 한자 율명의 음역을 이해하였는가?
◎ ○ △
활동영역
1. 주제와 바꾼 가사가 잘 어울리는가?
2. 창작한 가락에 알맞게 노래 부르는가?
3. 장단에 맞추어 노래 부르는가?
◎ ○ △
汰
오
오
필
승
汰
오
오
필
승
汰
汰
汰
汰
淋
淋
淋
淋
코
리
아
아
淋
淋
코
리
아
아
淋
淋
모둠 활동시 유의사항
주제에 어울리게 메기는 소리를 창작한다.
발표할 때는 장구반주(자진모리장단): 1명, 메기는 소리: 1명, 나머지는 받는 소리를 한다.
메기는 소리는 1명이므로 큰 소리로 부른다.
다른 모둠이 발표할 때는 심사위원의 입장에서 바른 자세로 듣는다.
덩-덕쿵덕 쿵-덕쿵덕
덩-덕쿵덕 쿵-덕쿵덕.”
- “그리고 주제는 ‘2006년 월드컵’이구요. 이제 월드컵이 한 달도 남지 않았는데 우리의 태극전사들에게 힘과 용기를 줄 수 있는 노래를 만들어 보아요. 그리고 받는 소리는 모두 같은 것으로 통일하겠어요. ‘오오 필승 코리아’로요. 다 함께 따라해 보세요. ‘오오 필승 코리~아~’
汰
오
오
필
승
汰
汰
淋
淋
淋
코
리
아
아
淋
예, 잘 했어요.“
- “모둠활동이 끝나면 발표를 통해서 가장 잘한 모둠을 선정할거에요. 그럼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6. 창작곡 발표하기
⇒ 조별로 창작한 곡을 발표한다.
- “자, 다 끝난 모둠은 끝났다는 신호로 모둠이 하나가 되어 손으로 무릎을 자진모리장단으로 쳐주세요.”
- “이제 거의 다 끝난 거 같네요. 모둠별로 발표를 해보겠어요.”
- “모둠 발표를 할 때는 활동지 하단에 써있는 대로 모둠원 중 한 명은 장구반주를 해주고 또 한 명은 메기는 소리를, 나머지 모둠원은 받는 소리를 해주세요. 장구반주는 작고 약하게 하고 메기는 소리는 큰 소리로 해주세요.”
- “자, 지금부터 모둠별 노래를 부를 텐데. 어느 모둠이 잘 했는지 잘 들어보세요. 여러분들이 모두 심사위원이 되어 잘 된 모둠을 선정할 거에요. 1모둠 장구반주 시작해주세요.”
예시)
汰
그
뉘
수
비
도
汰
오
오
필
승
그
뉘
공
인
들
汰
오
오
필
승
汰
汰
汰
汰
汰
汰
淋
淋
뚫
어
내
자
淋
淋
코
리
아
아
막
아
내
며
淋
淋
코
리
아
아
淋
淋
- “잘 해 주었어요. 가사도 알맞고, 율명도 장단에 맞게 잘 바꿔 주었어요. 이제 2모둠이 창작한 곡을 들어볼까요? 2모둠 시작해주세요.”
예시)
汰
십
오
대
영
으
로
汰
오
오
필
승
淋
십
대
영
으
로
汰
오
오
필
승
汰
汰
汰
淋
汰
潢
汰
潢
潢
潢
淋
淋
汰
스
위
스
이
겨
淋
淋
코
리
아
아
潢
프
랑
스
이
겨
淋
淋
코
리
아
아
潢
淋
淋
淋
淋
淋
- “가사가 좀 비현실적이고 율명도 약간 어색하네요. 3모둠 시작해주세요.”
- “3모둠 역시 가사는 조금 어색하지만 율명은 장단에 맞게 잘 창작해 주었어요. 이제 4모둠 노래를 들어볼까요?”
- “4모둠의 가사는 우리 태극 전사들에게 힘을 북돋아 주는 아주 좋은 가사였던 것 같아요. 그런데 장단에 조금 안 맞는 거 같죠? 이 부분은 OO식으로 바꾸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메기는 소리요~”
- “받는 소리요~”
-“쾌지나 칭칭 나네요~”
- 1모둠은 메기는 소리를 부르고 2모둠은 받는 소리를 하며, 노래를 부른다.
(아이들 교사의 노래를 듣는다.)
“재미있어요.”
- 선생님을 따라서 자진모리장단 손으로 연습한다.
- 아이들 따라 부른다.
“오오 필승 코리~아~”
(활동이 다 끝난 모둠은 손과 무릎을 이용해 자진모리장단 친다.)
(아아들 활동지 하단을 보면서 대답한다.)
“네~”
- 1모둠이 노래한다.
- 2모둠이 노래한다.
- 3모둠이 노래한다.
- 4모둠이 노래한다.
이해
및
활동
활동
이해
및
활동
활동
3’
15‘
6’
☞ 교사는 아이들의 노래에 맞게 장구반주를 넣어 준다.
☞ 모둠 활동지를 나누어 준다.
☞ 한자로 적는 게 어려운 아이들은 한글로 적어도 좋다.
☞ 교사는 칠판을 보고 뒤돌아서서 손을 머리위로 올려 시범을 보인다.
☞ 아이들이 모둠 활동을 시작하면 교사는 돌아다니면서 어려운 점이 있는지 살피고 도와준다.
☞교사는 모둠 활동지를 모아서 실물화상기로 보여준다.
이 때 실물 화상기를 최대배율로 확대하여 손으로 활동지를 움직여가며 아이들이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 모둠 노래를 부를 때 아이들이 가락의 음역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교사는 단소로 가락을 잡아준다.
☞ 교사는 아이들의 활동지를 보고 잘못된 점은 지적해 주고, 잘 된 점은 칭찬 해 준다.
정리
학습
활동
4
끝
인사
7. 잘 된 모둠 선정하기
- “이렇게 네 모둠의 창작노래를 들어보았어요. 그럼 여러분이 직접 가장 잘 만든 모둠이 어떤 모둠인지 손을 들고 발표를 해주세요. 발표를 할 때에는 선정한 이유도 함께 이야기해주세요.”
- “네, 다수의 의견을 따라서 창의적인 가사를 만들고 가락도 쉽게 만들어서 월드컵 응원가에 알맞게 만든 ○모둠 오늘 창작상을 받게 되었어요.”
8. 선정된 모둠의 노래 다 함께 불러보기
- “그럼 ○모둠의 노래를 다함께 따라 불러보아요.
- “네, 이 노래를 들으니깐 벌써 월드컵이 개막한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잘 불러주었어요.”
9. 인사하기
- “여러분, 오늘 창작활동을 해본 소감이 어땠나요? 너무 어렵거나 힘들지는 않았나요?
- “직접 활동을 해보니깐 생각했던 것보다 어렵지 않았을 거에요. 선생님이 예상했던 것보다 여러분들이 훨씬 잘 해주어서 기뻐요. 마지막으로 ○모둠의 노래를 다시 한 번 부르면서 이 시간 마치도록 해요.”
“○모둠이요. 가사가 월드컵 응원에 적합하고 가락도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어서 ○모둠을 뽑았습니다.”
“○모둠이요. 가사가 재미있습니다.”
“네~”
(아이들 노래 부른다.)
- “재밌었어요~” 등의 대답
활동
활동
4‘
1.5‘
1.5’
☞ 특별히 잘 된 모둠의 추천이 많으면 그 모둠으로 선정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손을 들게 하여 가장 많은 동의를 얻은 모둠을 선정한다.
☞ 교사는 자진모리장단으로 장구반주 한다.
▷ 평가하기 ◁
이해영역
1. 정간보의 명칭과 기호를 이해하였는가?
2. 한자 율명의 음역을 이해하였는가?
◎ ○ △
활동영역
1. 주제와 바꾼 가사가 잘 어울리는가?
2. 창작한 가락에 알맞게 노래 부르는가?
3. 장단에 맞추어 노래 부르는가?
◎ ○ △
汰
오
오
필
승
汰
오
오
필
승
汰
汰
汰
汰
淋
淋
淋
淋
코
리
아
아
淋
淋
코
리
아
아
淋
淋
모둠 활동시 유의사항
주제에 어울리게 메기는 소리를 창작한다.
발표할 때는 장구반주(자진모리장단): 1명, 메기는 소리: 1명, 나머지는 받는 소리를 한다.
메기는 소리는 1명이므로 큰 소리로 부른다.
다른 모둠이 발표할 때는 심사위원의 입장에서 바른 자세로 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