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명대(明代)의 당송고문 유파 -당송파(唐宋派)
2. 청대(淸代)의 당송고문 유파
1) 청 초의 고문
2) 청 중엽의 고문
3) 청 말의 고문
2. 청대(淸代)의 당송고문 유파
1) 청 초의 고문
2) 청 중엽의 고문
3) 청 말의 고문
본문내용
子) 부의 문장까지 보충하여 「경사백가잡초(經史百家雜)」26권을 편찬하였다. 여기에서 우리는 의리(義理)와 고증(考證)와 사장(詞章)을 융합시키는 그의 포부를 느끼게 된다.
② 양호파(陽湖派)
동성파 안에는 양호파라고 불리는 색다른 일파가 있었다. 이는 동성파의 고문 의법(義法)이 요내의 문제(門弟)인 전노사(錢魯斯)·왕회생(王悔生) 등을 통하여 운경(敬)과 장혜연(張惠言)에게 전수된 바 있는데, 이들 두 사람이 특수한 고문의 경지를 개척하겠다고 하여 그들의 출생지 명에 따라 ‘양호파’라고 호칭, 동성파와 구별이 있음을 나타냈다. 그들은 원래 변문파(騈文派)로부터 고문으로 옮겨온 사람들인 만큼 변문도 잘 지었고, 문장의 규범으로서 육경 이외에 자사잡가(子史雜家)의 글도 취하였다. 때문에 그들의 문장은 아정(雅正)하기만 한 방포나 요내의 글과는 달리, 문세(文勢)가 거침없고 호방하며 표현이 심후(深厚)하였다. 이들의 명맥은 진영(秦瀛)·동사석(董士錫) 등을 거쳐 청 말의 왕사탁(王士鐸)·왕개운(王運)에 이르기까지 끊이지 않았으나, 소속된 문인의 수가 적고 뛰어난 인물과 작품도 많지 않아 동성파의 방계로서 그 존재가 인정될 뿐이다.
3) 청 말의 고문
① 책사파(策士派)
대표인물은 공자진(自珍)과 위원(魏源)등이 있고, 이들은 동성파와 관계없이 독자적인 문체로 우수한 산문을 창작했다.
② 통속파(通俗派)
대표인물은 양게초(梁啓超) 등이 있고, 이들은 청 말에 신문과 잡지가 대량으로 발행되자 평이하고 통속적인 문장을 기고하여 새로운 산문의 기풍을 조성했다.
☞ 참고 문헌
중국문학사 김학주 1989 신아사
② 양호파(陽湖派)
동성파 안에는 양호파라고 불리는 색다른 일파가 있었다. 이는 동성파의 고문 의법(義法)이 요내의 문제(門弟)인 전노사(錢魯斯)·왕회생(王悔生) 등을 통하여 운경(敬)과 장혜연(張惠言)에게 전수된 바 있는데, 이들 두 사람이 특수한 고문의 경지를 개척하겠다고 하여 그들의 출생지 명에 따라 ‘양호파’라고 호칭, 동성파와 구별이 있음을 나타냈다. 그들은 원래 변문파(騈文派)로부터 고문으로 옮겨온 사람들인 만큼 변문도 잘 지었고, 문장의 규범으로서 육경 이외에 자사잡가(子史雜家)의 글도 취하였다. 때문에 그들의 문장은 아정(雅正)하기만 한 방포나 요내의 글과는 달리, 문세(文勢)가 거침없고 호방하며 표현이 심후(深厚)하였다. 이들의 명맥은 진영(秦瀛)·동사석(董士錫) 등을 거쳐 청 말의 왕사탁(王士鐸)·왕개운(王運)에 이르기까지 끊이지 않았으나, 소속된 문인의 수가 적고 뛰어난 인물과 작품도 많지 않아 동성파의 방계로서 그 존재가 인정될 뿐이다.
3) 청 말의 고문
① 책사파(策士派)
대표인물은 공자진(自珍)과 위원(魏源)등이 있고, 이들은 동성파와 관계없이 독자적인 문체로 우수한 산문을 창작했다.
② 통속파(通俗派)
대표인물은 양게초(梁啓超) 등이 있고, 이들은 청 말에 신문과 잡지가 대량으로 발행되자 평이하고 통속적인 문장을 기고하여 새로운 산문의 기풍을 조성했다.
☞ 참고 문헌
중국문학사 김학주 1989 신아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