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창원 지방의 문화재 현황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산, 창원 지방의 문화재 현황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마산, 창원지방의 문화재 현황
1. 마산의 문화재 현황
2. 창원의 문화재 현황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알려져 있다. 빗살무의 토기에 비해 대체로 태토가 정선되지 못하고 기벽이 두터우며, 노천에서 낮은 온도로 구워졌기 때문에 흔히 적갈색을 띠고 있다. 기형의 측면에서도 볼 때는 대부분 납작 바닥이라는 점이 특징이고, 그릇에 목이 달린 토기가 많아진 것도 하나의 특색이다.
(무문토기)와 간석기(마제석기)가 나왔다. B지구에서는 적갈색 연질토기, 회청색 경질토기 등과 철기가 나왔고, C지구에서는 민무늬토기와 반달돌칼, 돌도끼, 와질토기 등이 나왔다.
유적에서 나온 오수전은 유적의 처음 쌓인 시기를 알려주는 자료로서 기원전·후 시기부터 유적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라토기의 형식을 보면 A·D 4세기 무렵까지 이어지며, 성벽에서 나온 중국 당나라 화폐인 개원통보의 연대를 통해서 A·D 5세기 무렵까지도 계속 이어지는 유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산 조개더미는 그 위치나 규모로 보아 오랜 기간동안 창원지역의 중심지이었음을 보여주며, 창원 분지내에 있는 내동 조개더미, 가음정동 조개더미 등의 유적과 함께 당시의 생활유적으로 중요하다.
Ⅲ. 맺음말
(우리는 앞서 각각 마산과 창원지역의 문화재 현황에 대해서 간략하게 표로 알아보고, 그 대표적인 예에 해당하는 문화재를 사진과 더불어 자세히 살펴보았다.) 경남지역의 역사와 문화 수업시간에, 지방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의 사료를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중앙권력이나, 다른 누군가에게 의지할 것이 아니라, 바로 지역사람들이 지역연구에 더욱 힘써야 한다는 것을 들은바 있다. 그리고 이번 마창지역의 문화재를 조사하면서 의외로 고층아파트들이 즐비하게 들어서고 있는 현대적인 도시 주변에도 문화재들이 곳곳에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렇게 조금만 눈을 돌리면 충분히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경남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많은데, 내가 얼마나 우리지역 역사와 문화에 대해서 무관심했는지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우리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면서 우리지여 역사와 문화에 대해서 귀를 귀울리려 노력해야겠다.
Ⅳ. 참고자료
국립문화재 연구소 문화학술정보지식센터 창원문화재연구소 연보
국립 창원 문화재 연구소, 우리지역 문화재 > 도지정문화재, http://www.ccp.go.kr/
NAVER, 테마백과사전 > 국내문화탐방 > 경상남도, http://100.naver.com/travelworld/
문화재정보센터 > 문화재 통계 경남 http://info.cha.go.kr/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29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