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만성기관지염
2.폐기종
3.천식
4.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위험인자
5.합병증
6.만성폐쇄성폐질환의 치료
7.일상 생활상의 주의

결론

본문내용

mode of action bronchodilation
stimulates respiration
diuretic properties
cardiotonic action (ventricular systolic pump action ↑)
diaphragmatic contractibility ↑
therapeutic serum level : 5-12 ug/ml
side effect : insomnia, nervousness, N/V, tachyarrhythmia, seizure
②베타2 항진제
③항콜린제
④스테로이드제
2-4주간의 경구용 스테로이드 또는 6-8주간의 흡입용 스테로이드 치료 후 FEV1이 200 mL (또는 12%) 이상 증가한 경우 스테로이드 처방 적응증이 된다.
⑤거담제
⑥항생제
흔한 원인균 : H influenza, S pneumoniae, M catarrhalis
항생제 :macrolides, cephalosporin, quinolones
⑦예방접종
pneumococcus, influenza
-산소요법
효과: a) 폐동맥 혈관 수축을 감소
b) 환기-관류 균형을 향상
c) 폐성심에 의한 우심부전의 개선 효과
d) 이차적인 적혈구 증가증을 역전
e) 신경정신적 기능 및 운동 능력과 일상생활의 활동능력을 향상
산소투여방법:
1)비강배관
비강배관은 일회용이며 비공에 삽입하기 위해 2개의 앞으로 튀어나온 발이 있는 프라스틱 장치이다. 비교적 낮은 농도의 산소투여시 이용되며, 35%의 산소를 주입하기 위해 2~4ℓ/분의 속도로 주입된다. 배관은 식사하거나 말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2)비강 카테타
대개 낮은 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때 이용되나 비강배관 보다는 높은 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이것은 한쪽 비공을 통해 인두 부위까지 삽입하는 것으로 매 8시간마다 다른쪽 비공으로 바꾸어 주어야만 한다. 후두궤양과 위팽만의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3)경기관 산소운반
계속적인 보조적 산소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가 사용할 수 있다. 작은 카테타를 국소마취하에 기관으로 삽입한다. 대상자는 대개 운동성과 편안감이 증진되며 이 운반 체계는 가격이 저렴하다. 이 체계는 대상자나 가족이 매일 카테타의 간호를 책임져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4)안면마스크
일회용 혹은 재사용할 수 있으며 프라스틱과 고무로 만든다. 마스크는 산소의 누출을 피하기 위해 대상자의 얼굴에 잘 고정되어야 한다. 마스크는 편안해야 하며 얼굴을 너무 조이지 않도록 한다.
-호흡재활 치료
①물리요법
 기침과 forced expiratory maneuvers는 호흡기 분비물의 제거를 촉진
②운동요법
 일반적인 유산소운동, 즉 걷기 운동, 계단 오르기, 자전거 타기 운동 등
 심한 근육 약화가 있는 환자에서는 운동 요법이 well-being 느낌을 줌
 호흡곤란, 기침, 객담 등의 증상을 감소
③영양상태
 비만 또는 body mass의 소실이 흔히 관찰됨
 영양 공급 :호흡근육의 기능을 향상
 고탄수화물 음식은 과도한 이산화탄소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
④정신사회적 지원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환자와 가족의 교육 및 정신사회적 도움이 필요
일상 생활상의 주의
객담을 배출하도록 노력한다.
숨이 가빠질 때 호흡을 조절하는 법을 익힌다.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일과 휴식의 균형을 유지한다.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한다.
결론
지금까지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해 알아보았다. 호흡기 질환은 정확한 진단과 치료뿐 아니라 교육과 정서적인 지지요법을 통하여 문제를 호전시키거나 안정시켜서 가능한 한 활동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건강관리자는 호흡기 문제가 있는 대상자에게 올바른 흉부물리요법의 여러 방법들을 실시하며 또한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도 시범을 보이고 교육을 시켜 이들이 퇴원한 후에도 흉부물리요법을 계속하여 만성적인 호흡기 문제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하겠다.
참고문헌
김조자, 김남초, 김매자, 김소선, 김옥수, 김용순, 김춘길, 노유자, 박제희, 서연옥, 송라윤, 신경림, 오의금, 오복자, 최영의 , 태영숙, 허혜경, 홍미순 (2002), 성인간호학2, 현문사, pp.514~562
서문자, 이정희, 김영숙, 이향련, 박춘자, 유성자, 박오장, 최철자 외 (2000), 성인간호학下(Ⅱ), 수문사, pp.904~1101
이강이, (1995. 11.12월호) 흉부물리요법, 대한간호 제34권 제5호 통권 183호, 서울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2.30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