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당삼채의 정의
2. 당삼채 출현의 시대적 배경
3. 당삼채의 제작기간
4. 당삼채의 발전과 몰락
5. 당삼채의 계승
6. 당삼채의 가치
7. 맺음말
2. 당삼채 출현의 시대적 배경
3. 당삼채의 제작기간
4. 당삼채의 발전과 몰락
5. 당삼채의 계승
6. 당삼채의 가치
7. 맺음말
본문내용
제국 치하의 장성 밖 초원지방에서 만들어진 요삼채와의 사이의 시간적.지역적 공백을 메우는 데는, 중앙으로부터 만당에 걸쳐 번진체제가 지배한 하북지구의 무변층 문화를 매개로 해서 설명하는 길밖에 다른 방도가 없을 듯하다. 아마도 이 경우에도 다른 문화 현상과 같이, 성당기의 집대성 문화였던 당삼채가 그 질을 훨씬 떨어뜨려 하북에 계승되고 이곳을 매개로 해서 다시 요삼채로 계승되었음이 틀림없다. 물론 이민족이 받아들인 것이므로 질의 저하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하더라도, 삼채도의 형식이 그대로 계승되었다는 점에서 당삼채 자체에 담겨 있는 당대 문화의 세계성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당제국의 문화유산은 상이한 두개의 타입으로서 후대에 계승되었다. 하나는 엄격한 비판 정신을 앞세워 먼저 전대문화의 모순을 척결해내고 그 후에 재편성하려는 타입이며, 또 하나는 스케일을 왜소화하고 질도 떨어뜨려 모순을 최소한도에 그치게 하면서 본래의 모습을 전승하려는 것이다. 전자는 신흥사대부 계급의 영지로써만이 가능한 것으로 송대에 이르러 성하게 되었으며, 후자는 하북군벌의 수준 낮은 무변을 매개로 해서 거란 왕조에 흘러들어가, 그 문화 형성의 영양원이 되었다.
6. 당삼채의 가치
1) 당삼채의 안료에는 대량의 납이 함유되어 있으며, 납의 산화물을 조용제로 하여 유약의 용융온도를 저하시켜서, 소성할 때 가마 내부에서 각종 금속(동, 철, 코발트, 망간 등)산화물이 연유 속에 용융되어 사방으로 확산되고 흘러내려서 황갈색 등의 여러 색깔이 서로 뒤엉켜 형성된 유면은 기이하도록 찬란하게 반짝이며 낭만적인 색채가 풍부한 성당의 웅혼한 기상을 표현해 내었다. 이것은 당대 이전의 각종 단색유 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예술적인 효과이다.
2) 당삼채의 기형에는 인물과 말 및 낙타 등이 가장 유명하다. 특히 삼채마는 머리가 작고 목은 길면서 풍만하고 건장한 체격에 눈동자가 형형하게 빛나며 예술적인 표현능력이 아주 뛰어나다. 그 중에 백색삼채와 흑색삼채가 가장 귀중하다. 황록갈 위주의 삼채마는 가치가 비교적 떨어진다.
7. 맺음말
당삼채는 역사상 특이한 발자취를 남겼지만 귀족의 향유물로써 실용성을 배제, 그 생명이 짧을 수밖에 없었다. 일반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유되지 않는 문화는 쉽게 사라질 수밖에 없다. 그 예를 우리나라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조선 건국 초 <악장>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하였으나 이것은 조선건국의 위업을 찬양하고 왕들의 업적을 기리는 것으로 궁중음악의 가사로 쓰였다. 백성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이 장르는 곧 소멸되었다.
반면에 고려 말에 완성된 모습을 드러낸 시조는 조선전기에는 양반들의 전용물이었지만 조선후기에 접어들면서 누구나 향유하는 문학이 되었다. 왕이나 양반이나 평민이나, 부녀자들까지도 자신의 감정을 시조로써 표출하게 되었다. 민중 속에 뿌리내린 시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간대에서도 그 힘찬 생명력을 내뿜고 있다. 이와 같이 진정한 그 시대의 문화는 대중 속에서 뿌리내린 특권층만의 전유물이 아닌 것이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당제국의 문화유산은 상이한 두개의 타입으로서 후대에 계승되었다. 하나는 엄격한 비판 정신을 앞세워 먼저 전대문화의 모순을 척결해내고 그 후에 재편성하려는 타입이며, 또 하나는 스케일을 왜소화하고 질도 떨어뜨려 모순을 최소한도에 그치게 하면서 본래의 모습을 전승하려는 것이다. 전자는 신흥사대부 계급의 영지로써만이 가능한 것으로 송대에 이르러 성하게 되었으며, 후자는 하북군벌의 수준 낮은 무변을 매개로 해서 거란 왕조에 흘러들어가, 그 문화 형성의 영양원이 되었다.
6. 당삼채의 가치
1) 당삼채의 안료에는 대량의 납이 함유되어 있으며, 납의 산화물을 조용제로 하여 유약의 용융온도를 저하시켜서, 소성할 때 가마 내부에서 각종 금속(동, 철, 코발트, 망간 등)산화물이 연유 속에 용융되어 사방으로 확산되고 흘러내려서 황갈색 등의 여러 색깔이 서로 뒤엉켜 형성된 유면은 기이하도록 찬란하게 반짝이며 낭만적인 색채가 풍부한 성당의 웅혼한 기상을 표현해 내었다. 이것은 당대 이전의 각종 단색유 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예술적인 효과이다.
2) 당삼채의 기형에는 인물과 말 및 낙타 등이 가장 유명하다. 특히 삼채마는 머리가 작고 목은 길면서 풍만하고 건장한 체격에 눈동자가 형형하게 빛나며 예술적인 표현능력이 아주 뛰어나다. 그 중에 백색삼채와 흑색삼채가 가장 귀중하다. 황록갈 위주의 삼채마는 가치가 비교적 떨어진다.
7. 맺음말
당삼채는 역사상 특이한 발자취를 남겼지만 귀족의 향유물로써 실용성을 배제, 그 생명이 짧을 수밖에 없었다. 일반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유되지 않는 문화는 쉽게 사라질 수밖에 없다. 그 예를 우리나라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조선 건국 초 <악장>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하였으나 이것은 조선건국의 위업을 찬양하고 왕들의 업적을 기리는 것으로 궁중음악의 가사로 쓰였다. 백성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이 장르는 곧 소멸되었다.
반면에 고려 말에 완성된 모습을 드러낸 시조는 조선전기에는 양반들의 전용물이었지만 조선후기에 접어들면서 누구나 향유하는 문학이 되었다. 왕이나 양반이나 평민이나, 부녀자들까지도 자신의 감정을 시조로써 표출하게 되었다. 민중 속에 뿌리내린 시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간대에서도 그 힘찬 생명력을 내뿜고 있다. 이와 같이 진정한 그 시대의 문화는 대중 속에서 뿌리내린 특권층만의 전유물이 아닌 것이어야 한다.
추천자료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를 읽고
백제유적지 감상문(몽촌토성,방이동,석촌동,풍납토성)
역사의 이해 용어정리
고려자기 분석
고려청자에 관하여
[미술관교육]미술관교육의 의미, 미술관교육의 역사, 미술관교육의 중요성, 미술관교육의 감...
[조선대](A+)중국민속에 숨은재미찾기 족보
락앤락의 중국 마케팅
전통도예와 인성(중간고사 대체 리포트)
중국문화를 통한 문화콘텐츠의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락앤락 마케팅전략 케이스연구 (락앤락 기업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락앤락 중...
젠한국 글로벌마케팅전략 [젠한국 글로벌마케팅]
락앤락 성공비결/ 락앤락 마케팅 4P,STP,SWOT분석/ 락앤락 중국진출 마케팅사례분석과 향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