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 전기소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당대의 시대적 배경

2. 전기의 명칭과 역사

3. 전기소설의 개념정의

4. 전기와 지괴의 비교분석

5. 전기소설의 흥기와 발전원인
(1) 경제력의 발전
(2) 당대의 과거제도
(3) 당대의 고문운동
(4) 당대의 정치, 사회적 혼란
(5) 문학적 전통과 발전
(6) 불교의 성행

6. 전기소설의 발전양상 및 대표작품
(1) 초당, 성당시기
(2) 중당시기
(3) 만당시기

7. 작품내용에 따른 분류
(1) 연애
(2) 의협
(3) 신비
(4) 역사고사

8. 대표적 전기 작품들과 그 내용

9. 당대 변문

10. 당대 전기소설의 사상성과 예술성 및 그 문학사적 영향

11.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는 것을 이상적인 애정의 표준으로 내세운 것은 <<문벌이 맞아야 한다>>는 지배계급들의 혼인표준보다 역사적으로 일정하게 진보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작자들이 과거에 급제하는 것으로 모순의 매듭을 푸는 원만한 해결책으로 삼은 것은 용속한 봉건사상의 표현이다.
<<류의전>>과 <<임씨전>>은 괴이한 색채를 띤 애정소설이나 사회적 성격이 체현되어 있고 인간생활의 기분이 짙게 풍기고 있다. 이 조위(李 朝威)의 <<류의전>>은 인물묘사가 잘 되었고 시적정서가 흘러넘치며 낭만적색조가 짙고 극성이 강한 이야기줄거리로 엮어졌다. 또 비교적 교묘하게 환상적 표현수단으로 현실적 문제를 반영하였다.
심기제의 <<임씨전>>에서는 임씨의 형상을 잘 부각하였는데 그는 아름답고 다정하며 총명하고 용감하다. 그는 정생과의 애정에 충성하였기 때문에 약한 여자의 몸으로 위음의 패덕적인 행동에 반항해 나섰다. 임씨의 형상은 실제상에서 폭압을 두려워하지 않고 죽을 때까지 남편을 따르는 장악원 여성들의 성격특징을 개괄한 것이다.
장 방(蔣 防)의 <<곽소옥전>>은 모욕받고 압박받는 당조 봉건사회 부녀들의 비참한 운명을 반영하고 지체높은 봉건문벌가족과 시민사이의 모순을 폭로하였으며 광범위한 사회생활을 바탕으로 하여 당대 애정생활의 일부 면모를 진실하게 묘사하였다. 이 작품은 인물성격이 생동하고 극적갈등이 첨예하며 세부묘사가 서로 맞물리고 구성체계가 정연하여 당조 때 전기소설가운데서 명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 백 행간(白 行簡)의 <<리와전>>은 사회적 지위가 부동한 청년남녀가 파란곡절을 거쳐 행복한 가정을 이룬 이야기로 봉건문벌제도를 맹렬히 공격하였다. 그러나, 부자가 한데 모여 부귀영화를 누리게 된 장면과 이화에게 현모양처의 색채를 가미한 것은 작품의 사상에 손색을 주었다. 그럼에도, <<리와전>>은 현실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는 사회적 의식의 특수한 형태로서 등장인물의 성격은 물론 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를 잘 나타낸 작품이다. 이밖에 애정을 묘사한 전기소설로는 <<이혼기>>, <<류씨전>>등이 있다.
역사이야기를 제재로 한 전기소설로는 <<고력사전(高力士傳)>>, <<안록산사적(安祿山事迹)>>, <<이림보외전(李林甫外傳)>>이 있는데 모두 그들의 신변잡사를 썼다.
<<장한가전>>은 당 현종과 양 옥환의 황음무치한 생활이 나라를 망치게 되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반영하였다. <<동성로부전>>은 닭싸움을 시키는데 뛰어난 재간을 가진 어린이 가창(賈昌)이 현종의 총애를 받게된 경과를 묘사하여 현종의 부화한 생활을 폭로하였고 악정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시하였다.
당조때의 전기소설은 인물형상의 부각, 구성과 세부묘사, 언어표현 기교면에서 자기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전기소설에는 황제, 황후로부터 문무관료, 서생, 규수, 중, 도사, 협객, 상인, 기녀등 각 계층의 선명한 개성이 있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전기작가들은 세부묘사, 인물의 성격을 규정하는 정황과 심리활동 그리고 대화를 통하여 인물형상을 잘 부각하였다. 전기소설은 구성이 입체적으로 짜여지고 구성의 체계가 정연하며 슈제트가 복잡하지만 앞뒤가 맞물려 떨어지고 기본갈등을 줄기차게 끌고 나간 특색을 보이고 있다. 전기소설이 문언문으로 썼다고 하나 적지 않은 당대의 구두어를 흡수하였으며 문장가운데 시와 사를 삽입해 넣었다. 소설은 어휘가 풍부하고 언어가 세련되었으며 흐름이 유창한 풍격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러한 전기의 성과는 위와 같은 문학 내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매우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역사적 배경에서 살펴볼 수도 있다. 생산력의 증대에 따른 도시와 시민계층의 형성, 그에 따른 기존의 사회적 질서 변화 계층구조의 변화에 따른 정치적 변화와 사상적 변화 등을 그 기본적인 변화의 動因으로 지적해야 한다. 결국 당대의 전기는 남북조시대와는 역사발전 단계가 판이하게 다른 보다 발전된 唐이라는 사회의 토양에서 형성된 훨씬 발달된 문학양식이었다. 이런 점에서 전기의 탄생은 중국 소설양식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중국의 소설은 시나 산문보다 시기적으로 상당히 늦게 출발했지만 후대로 가면서 시문의 발전속도가 둔화되었던 것과 달리 소설의 발전 속도는 갈수록 빨라졌으며 내적으로도 성숙해 갔다. 전기의 출현으로 중국의 소설양식은 비로소 새로운 단계로 진입했다고 할 수 있다
당대 전기는 다양한 계층의 인물의 서로 다른 처지를 개성 있게 그리고 형상화하여 자아의 서정을 반영하는 한편 복잡해진 당대의 도시사회의 사회상과 역사성, 그리고 정의와 호협 등이 표현되어 있다. 그리하여 당대 전기는 송·원·명·청의 소설은 물론 극작이나 시가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으니, 소설로는 송대 이후의 문언필기소설에 직접 영향을 주어 포송령의 요제지이로 발전되었고, 희곡에도 당 전기의 제재를 윤색·개작한 많은 극본을 낳았으며, 그 중에서도 서상기는 앵앵전에서 출원하는 등이 그 예다. 결국 당의 전기는 뒷날 송·원·명·청의 소설, 희곡작가들의 소재나 구상의 예를 찾는 보고가 되었다. 또 한편 전기소설은 우리나라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우수한 전기작가들은 당대에 발생한 사건을 소재로 삼았으며 사회적 현실생활을 개괄하였다. 작품은 다양한 인물들의 운명선을 따라 봉건문벌제도, 봉건예의를 반대하고 애정과 혼인의 자유를 제출하여 작품의 주제사상적 의의를 높여주었다. 이리하여 전기소설은 우리나라 소설발전사상에서 하나의 이정표로 되며 사실주의 창작의 길을 탐색해 주었다. 당조의 전기소설은 후세의 백화소설과 희곡창작의 중요한 제재로 되었다. 송조의 화본, 원조의 잡극, 명조와 청조의 전기소설은 당조 전기소설의 슈제트를 이용하고 당대의 사회적 실천에 근거하여 우수한 인물형상들을 창조하였다.
그러나, 당조 때의 전기소설은 작가들의 생활과 사상적 제약성으로 말미암아 민간의 질고를 반영하는 노동인민의 형상이 없는데 이것은 미봉할 수 없는 손색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11. 참고자료
정범진, 중국문학사, 학연사
김장환, 간추린 중국문학사, 도서출판 학고방
편집부 편, 중국문학사의 이해, 지영사
김학주, 중국문학입문, 도서출판 학고방
中國小說硏究會 編, 中國小說史의 理解, 서울학고방
  • 가격1,4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1.1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