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의 지주전호제와 사회 및 경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당대의 시대적 배경 고찰

2. 농업 생산력의 발전

3. 지주전호제의 발달
(1) 지주전호제에 대한 두 가지 관점
(2) 경제형태를 통해 본 지주전호제
(3) 일전양주제와 전호의 지위
(4) 지주전호제와 국가

4. 상업과 도시의 발달
(1) 연구의 현상
(2) 교통과 운수
(3) 농업 및 수공업물의 상품화
(4) 대외무역
(5) 상인과 상업조직
(6) 화폐
(7) 도시

5. 송의 관료제와 문치주의

6. 왕안석의 개혁정치

7. 맺음말

본문내용

폐 봉헌뿐이었다. 이에 따라 송은 국가 재정이 고갈되기 시작하였는데 송의 이같은 무력약화, 그리고 재정 파탄이 神宗때 왕안석의 개혁을 추진시키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6. 왕안석의 개혁정치
20세의 신종이 英宗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을 때 송은 정치, 사회, 경제, 군사 등의 면에서 여러 가지 어려운 고비에 직면해 있었다. 이미 仁宗때에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范仲淹이 개혁을 주장하였으나 사대부의 격렬한 반대와 인종의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제대로 시행해 보지도 못 하였다. 이후 인종이 사망하고 영종이 즉위하였으나 6년 만에 다시 사망하고 신종이 즉위하였다. 이 시기 송의 내부는 정치, 경제, 사회적 비리와 부정이 더욱 심해지고 갈등과 반목이 심화되어 정치 부재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었다. 국가 재정은 완전히 파탄되어 지탱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이에 총명하고 결단성 있는 神宗은 당시 신예 의학자 왕안석을 기용하여 정치에 대한 전반적인 개혁을 단행하여 나라를 쇄신하려고 하였다.
이에 왕안석은 많은 대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天子직속의 制置三司條例司라는 정책심의기구를 설치하여 新法을 추진하였다. 왕안석이 입인 실시한 정책을 보면 부국책으로 靑苗法, 市易法, 均輪法, 募役法, 方田均稅法을 들 수 있고 강병책으로는 保甲法과 保馬法이 있었다. 이 신법의 목적은 농민 생활의 안정, 생산의 증가, 국가 재정의 충실, 그리고 强兵육성에 있었다. 당시 성의 입장에서는 시기적절한 개혁이었으나, 이것의 시행으로 막대한 손해를 보게 된 官戶, 富商, 地主들이 맹렬히 반대하였고 정부에서도 官戶, 地主출신의 관료들이 격렬한 반대를 하였다. 한때 적자 재정을 흑자 재정으로 전환시키는 등의 상당한 효과를 이룩했으나 관리들의 부정과 반대파의 공격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이 신법의 실패로 송은 국력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고 오히려 新法黨과 舊法黨의 새로운 黨爭이 발생하였다. 신, 구법당간의 당쟁이 장기간 전개되는 과정에서 정책 제시와 경쟁은 사라지고 오직 반대를 위한 반대로서 他黨을 비방 모략하고 또 정권 쟁탈의 교체과정에서 개인 감정이 누적되고 원한이 깊이 쌓여 상호 격렬한 보복을 가하였으므로 마침내 國事는 도외시되고 國庫는 탕진되어 徽宗 말년에는 정치가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
송이 말기적 현상을 노출하고 있는 시기에 북방의 강적 요에서도 정치가 어지러워지고 있었다. 이 때 북만주의 삼림지대에 거주하고 있던 女眞사회에서는 새로운 부족이 흥기하고 있었다. 원래 여진족은 퉁구스계의 일종으로 반농반목의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는데 12세기 초에 여진의 諸部族이 송화강변의 完顔部族 추장 阿骨打 중심으로 결속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115년에는 金을 건국하고 阿什河畔에 도읍을 정하였다. 이후 아골타는 수 차 요군을 물리친 후에 남만주로 남하하여 남만주 여진족을 다시 통합하고 요의 上京을 취하였다. 마침내 금은 송과의 군사 동맹으로 요를 멸하고 송으로부터 연운 16주를 할양받았다. 더우기 금은 송의 내부적 혼란과 弱兵을 알자 1127년 수도를 점령하여 宋朝를 단절시켰다. 그 후 송은 강남으로 도피하여 臨安을 도읍으로 부흥되었다. 이것이 곧 남송이다. 이에 중국은 강북의 금과 강남의 남송으로 다시 분열되었고 한편 이것은 중국 경제, 문화의 중심 활동 무대를 강남으로 확장시켰다. 그러나, 송은 금에게 도전하지 못 하고 국세는 더욱 기울어졌고, 금 또한 지나친 漢化와 장기간의 평화시대의 계속으로 사치와 文弱에 빠져 국력이 점차 기울어지고 있었는데 이 때에 북방에서 몽고족이 새로이 출현하여 中原 정세를 일변시켰다.
7. 맺음말
중국 전근대사의 전개과정 속에서 송대가 차지하는 역사적 위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송대가 변혁의 시대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사회의 성립을 향한 시발점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른바 당송변혁'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송대의 사회와 경제는 크게 변화하게 되었다. 경제의 중심지는 화북지역으로부터 강남지역으로 이동하였다. 강남지역의 높은 생산성과 선진적인 경제적 환경은 이러한 변화의 주된 원인이 되었다. 지주전호제는 송대 이후 명청대에도 농촌 사회의 기본적 생산관계로서 지속되었다는 점에서 송대에서의 이의 성립과 발달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지주전호제에 대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유력한 과정을 둘러싸고 연구자들간에 대립과 논쟁이 계속되어 왔다.
첫째는 송대 중세 봉건론을 배경으로 하여 지주와 전호의 관계를 장원영주와 농노의 관계에 비정(比定)하는 입장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송대 장원의 실체는 영세하며 분산된 자편(자片)의 집적에 불과하여 서양의 장원에 비정시킬 수 없으며 또한 전호의 지위도 원칙적으로 지주와 자유로운 계약을 체결한 자유인이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최근의 지주전호제문제에 대한 접근방식의 특징의 하나로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국가와 자영농의 존재를 새롭게 평가하려는 태도이다. 송대에서는 주로 주객호제와 관련하여 지주전호제에 대한 국가의 간여와 규제, 그리고 자영농의 육성과 그 객관적 존재가 재검토되고 있다. 송대의 사회와 경제의 변화, 발달을 말해주는 현상의 하나로서 또 하나 주목한 만한 것은 상업과 도시의 발달이다. 이 상업과 도시의 발달에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을 들면 첫째, 화폐의경제의 발달이다. 그 제도사적 측면에서 볼 때 송조는 국초부터 폐제(幣制)의 통일을 기하여 사천 등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동본위제(銅本位制)를 전국적으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화폐의 보급과 발달을 배경으로 하여 송조는 세역의 전납화를 확대할 수 있었다.
둘째, 초보적인 형태이나 송대부터 상인들에 의한 상업자본이 점차 형성되기 시작했다. 상인의 분화와 상업조직의 발달에 의해 후대의 합고(合股)'의 맹아형태로서 송대에는 합본(合本)'이라는 자본의 집중이 발생하였다.
셋째, 종전 화폐경제의 해방력이 일면적으로 강조되어 왔다는 비판이 학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송대 상업사 연구에서 최근 새로운 움직임은 종전의 사실의 실증에 치중한 제도사적 접근 방법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구사, 사회사, 역사지리, 지역사, 구조사 등의 방법의 도입이 시도되고 있는 점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1.1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