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 목
2. 이 론
1) 수은 온도계의 장점
2) 수은 온도계의 단점 (보정 필요성)
3) 온도계의 보정 방법
3. 실 험
1) 기기 및 시약
2) 실험방법
가) 0 ℃ 검정
나) 100 ℃ 검정
다) 32.38 ℃ 검정
4. 결 과
1) 0 ℃ 검정
2) 100 ℃ 검정
3) 32.38 ℃ 검정
4) 보정값
5. 결 론
2. 이 론
1) 수은 온도계의 장점
2) 수은 온도계의 단점 (보정 필요성)
3) 온도계의 보정 방법
3. 실 험
1) 기기 및 시약
2) 실험방법
가) 0 ℃ 검정
나) 100 ℃ 검정
다) 32.38 ℃ 검정
4. 결 과
1) 0 ℃ 검정
2) 100 ℃ 검정
3) 32.38 ℃ 검정
4) 보정값
5. 결 론
본문내용
③ 모래욕조를 가열하고, 큰 비커의 수온이 40℃ 가 되면 가열을 멈춘다.
④ 이때 작은 비커에서는 Na2SO410H2O→Na2SO4 + 10H2O 의 전이가 일어난다. 작은 비커의 모든 결정이 녹을 때까지 일정한 온도(32.38℃)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
⑤ 이때의 눈금을 읽고, 몇 초간 온도가 멈추어 있는지 그 시간을 측정 한다.
4. 결 과
1) 0 ℃ 검정
시간
온도(℃)
5분
0℃
10분
- 0.5℃
15분
- 0.5℃
(※ 15분 이후로도 온도는 -0.5℃ 로 계속 유지되었다.)
2) 100 ℃ 검정
횟 수
시간(초)
온도(℃)
1 회
38초
103.5℃
3 회
44초
104℃
3 회
42초
104℃
평 균
41.3초
103.8℃
3) 32.38 ℃ 검정
32℃에서 110초간 유지되었다.
(시간이 더 지나 35℃ 까지 올라가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그때의 외부 온도는 52℃ 였다.)
100℃ : (tb - tm) = (T - tm) : X
우리가 실험에서 얻은 값은 tb = 130.8 , tm = - 0.5 , T=32 였다.
이것을 식에 대입하면, 100 : 104.3 = 32+0.5 : X 이고, X는 33.9℃ 이 된다.
4) 보정값
정확한 온도(t)
보정할 온도계(t\')
온도계(t\'-t)
0 °C
-0.5°C
- 0.5 °C
32.38 °C
32.0 °C
- 0.38 °C
100 °C
103.8 °C
3.8 °C
(B: 끓는점)
(A: 녹는점)
5. 결 론
이번 실험은 수은 온도계 보정에 관한 실험 이였다. 보통 실험실에서 쓰는 온도계는 부정확한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온도계의 보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온도계를 이용하여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을 측정하여 그것의 보정값을 얻어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정확한 온도 값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수은 온도계의 0℃ 검정에서는 -0.5℃ 로 결과가 나왔고, 100℃ 의 검정에서는 103.8℃ 로 결과 가 나왔다. 32.38℃을 수은 온도계로 읽은 값은 32℃ 였지만, 보정값을 통해 얻은 결과는 33.9℃으로 계산 되었다. 이것은 실제 이론상의 값과 1.5℃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시 온도계를 삽입할 때 온도계를 어느 쪽에 삽입하느냐에 따라 측정되어지는 온도가 조금씩 차이가 날수 있다. 특히 얼음의 온도를 측정 할 때는 얼음이 많이 있는 부분에 정 가운데 부분에 있을 때와 비커 가장자리에 있을 때의 온도는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끓는점의 온도를 측정할 때 에는 알코올램프의 영향 때문에 온도계가 액체의 아래쪽에 있을수록 온도가 조금 높게 측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실험을 진행 할 때 오차가 발생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평소 실험에 많이 사용하는 수은온도계로 읽은 눈금 값이 항상 정확한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서 정확한 온도를 알기 위해서는 온도계 보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온도계보정 법과 그에 관한 이론을 알 수 있는 좋은 실험 이였다.
④ 이때 작은 비커에서는 Na2SO410H2O→Na2SO4 + 10H2O 의 전이가 일어난다. 작은 비커의 모든 결정이 녹을 때까지 일정한 온도(32.38℃)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
⑤ 이때의 눈금을 읽고, 몇 초간 온도가 멈추어 있는지 그 시간을 측정 한다.
4. 결 과
1) 0 ℃ 검정
시간
온도(℃)
5분
0℃
10분
- 0.5℃
15분
- 0.5℃
(※ 15분 이후로도 온도는 -0.5℃ 로 계속 유지되었다.)
2) 100 ℃ 검정
횟 수
시간(초)
온도(℃)
1 회
38초
103.5℃
3 회
44초
104℃
3 회
42초
104℃
평 균
41.3초
103.8℃
3) 32.38 ℃ 검정
32℃에서 110초간 유지되었다.
(시간이 더 지나 35℃ 까지 올라가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그때의 외부 온도는 52℃ 였다.)
100℃ : (tb - tm) = (T - tm) : X
우리가 실험에서 얻은 값은 tb = 130.8 , tm = - 0.5 , T=32 였다.
이것을 식에 대입하면, 100 : 104.3 = 32+0.5 : X 이고, X는 33.9℃ 이 된다.
4) 보정값
정확한 온도(t)
보정할 온도계(t\')
온도계(t\'-t)
0 °C
-0.5°C
- 0.5 °C
32.38 °C
32.0 °C
- 0.38 °C
100 °C
103.8 °C
3.8 °C
(B: 끓는점)
(A: 녹는점)
5. 결 론
이번 실험은 수은 온도계 보정에 관한 실험 이였다. 보통 실험실에서 쓰는 온도계는 부정확한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온도계의 보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온도계를 이용하여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을 측정하여 그것의 보정값을 얻어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정확한 온도 값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수은 온도계의 0℃ 검정에서는 -0.5℃ 로 결과가 나왔고, 100℃ 의 검정에서는 103.8℃ 로 결과 가 나왔다. 32.38℃을 수은 온도계로 읽은 값은 32℃ 였지만, 보정값을 통해 얻은 결과는 33.9℃으로 계산 되었다. 이것은 실제 이론상의 값과 1.5℃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시 온도계를 삽입할 때 온도계를 어느 쪽에 삽입하느냐에 따라 측정되어지는 온도가 조금씩 차이가 날수 있다. 특히 얼음의 온도를 측정 할 때는 얼음이 많이 있는 부분에 정 가운데 부분에 있을 때와 비커 가장자리에 있을 때의 온도는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끓는점의 온도를 측정할 때 에는 알코올램프의 영향 때문에 온도계가 액체의 아래쪽에 있을수록 온도가 조금 높게 측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실험을 진행 할 때 오차가 발생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평소 실험에 많이 사용하는 수은온도계로 읽은 눈금 값이 항상 정확한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서 정확한 온도를 알기 위해서는 온도계 보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온도계보정 법과 그에 관한 이론을 알 수 있는 좋은 실험 이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