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아시아관
3. 결론
2. 본론
(1) 아시아관
3. 결론
본문내용
세기. 네고로 칠기.
일본의 주칠(네고로 根來)로 16세기경에 만
들어진 술병이다.
정말 일본 냄새가 나는 작품이다. 어떻게
하면 이런모양의 이런 색채가 나는 작품을
만들 수 있는지 의문이다.
잘 만들어진 작품이긴 하지만 역시 우리나
라 작품이 훨씬 뛰어남을 다시금 확인 할
수 있었다.
도슈사이 샤라쿠
일본 에도시대. 18세기. 다색판화. 그의 생
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신비에
싸인 화가이다.
이 그림을 보고 있자니 김홍도나 신윤복의
민화가 얼마나 잘 그린 그림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은 그 나라의 시대상과
그 민족의 민족성을 반영하는 것 같다.
역시 필자는 한국인이라 김홍도의 민화에
더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 일본인은 이 그
림에 더 매력을 느끼지 않을까(?)
3. 결론
국립중앙 박물관 아시아관을 두루 살피며 작품을 감상했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느낌의 작품이 만들어졌다. 작품마다 그 나라의 민족성을 반영하므로 차이를 보이지만 그 이면에서 서로 중복되는 느낌도 많이 받았다. 특히 불상 같은 경우에는 우리나라나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즉, 동아시아 지역의 불상은 간다라 양식을 수용하여 불상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양각기법과 부처의 얼굴은 그 시대의 인물이나 그 시대의 이상적인 인물을 반영하여 조금씩은 다르지만 부처의 미소만큼은 중생들을 아우를 수 있는 하나같이 평온한 미소였다.
동양미술 시간에 배웠던 것을 작품에 적용하려니깐 조금 어려운 점이 없진 않았다. 억지로
끼워 맞추는게 아닌가 생각도 해 봤는데 양식과 경향은 보는 이의 입장에서 그렇게 생각되면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일본의 주칠(네고로 根來)로 16세기경에 만
들어진 술병이다.
정말 일본 냄새가 나는 작품이다. 어떻게
하면 이런모양의 이런 색채가 나는 작품을
만들 수 있는지 의문이다.
잘 만들어진 작품이긴 하지만 역시 우리나
라 작품이 훨씬 뛰어남을 다시금 확인 할
수 있었다.
도슈사이 샤라쿠
일본 에도시대. 18세기. 다색판화. 그의 생
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신비에
싸인 화가이다.
이 그림을 보고 있자니 김홍도나 신윤복의
민화가 얼마나 잘 그린 그림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은 그 나라의 시대상과
그 민족의 민족성을 반영하는 것 같다.
역시 필자는 한국인이라 김홍도의 민화에
더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 일본인은 이 그
림에 더 매력을 느끼지 않을까(?)
3. 결론
국립중앙 박물관 아시아관을 두루 살피며 작품을 감상했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느낌의 작품이 만들어졌다. 작품마다 그 나라의 민족성을 반영하므로 차이를 보이지만 그 이면에서 서로 중복되는 느낌도 많이 받았다. 특히 불상 같은 경우에는 우리나라나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즉, 동아시아 지역의 불상은 간다라 양식을 수용하여 불상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양각기법과 부처의 얼굴은 그 시대의 인물이나 그 시대의 이상적인 인물을 반영하여 조금씩은 다르지만 부처의 미소만큼은 중생들을 아우를 수 있는 하나같이 평온한 미소였다.
동양미술 시간에 배웠던 것을 작품에 적용하려니깐 조금 어려운 점이 없진 않았다. 억지로
끼워 맞추는게 아닌가 생각도 해 봤는데 양식과 경향은 보는 이의 입장에서 그렇게 생각되면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추천자료
중국, 일본, 한국의 전통의상
[식사예절][일본][한국][중국][서양][일본의 식사예절][한국의 식사예절][중국의 식사예절][...
한국, 일본. 중국. 유럽의 육류조미 방법
일본 역사교과서왜곡의 원인, 일본 역사교과서왜곡과 새역사교과서를 만드는모임, 일본 역사...
일본의 다기와 중국 다기와의 비교
중국, 일본의 음식 문화
남한, 북한 통일과 동북아 정세, 내부적, 외부적 인식, 미국의 시각, 미국의 천안함 인식, 미...
[음절구조, 최적성이론, 고대국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불어, 프랑스어]음절구조와 최적...
(관광) 한국과 일본, 중국의 다도 체험 안내 (茶, 다도의 유래, 다도의 방법, 중국 & 일...
중국, 일본, 미국인 대상 문화적 특성을 이용한 관광상품기획 - 나라별 문화적특성을 이용한 ...
놀부보쌈의 중국 및 일본에서의 현지화와 표준화 전략
[산업보안학 産業保安學] 외국의 산업보안정책(industrial security policy) - 미국의 산업보...
한국기업의 중국 및 일본시장 진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