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수표에 관해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측우기를 만든 역사적 배경

측우기 발명 과정

측우기의 재료와 측정방법

측우기의 의문점

다른나라의 측우기와 특성비교 (기능,목적)


수표는 무엇인가?
수표를 만든 역사적 배경 
About 수표
수표속 한자
About 수표교
다른나라의 수표와 비교

본문내용

측우기를 만든 역사적 배경
[ 세종 ] 작황의 풍흉에 관계 없이 정액세 징수
토지의 등급 + 작황의 등급 조합 => 세금 부과
-> 불확실 + 부정이 빈번하게 이루어짐
[ 실록 ] 매년 봄만 되면 가뭄이라고 근심걱정이
많았음
->지속 사업 (토지측량, 호구조사, 축성
사업) 이 불가능 하다는 점
측우기 제작. 전국에 보급. 지방행정망을 통해 정기적인 강우량 측정. 보고
측우기 발명 이전의 강우측정?
세종 7년(1425년)
- 각 현에 명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드는 정
도를 조사하여 보고케 했다’는 기록이 있음.
나름 고민은 많이 했지만, 이 방법은 쫌.. 아니졍 ~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08.01.22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48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