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세종 - 재주 있는 신하에게는 관대하라
2. 세종 - 사람에 대해 편견을 갖지 마라
3. 세종 - 먼저 말하지 말고 먼저 들어라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세종 - 재주 있는 신하에게는 관대하라
2. 세종 - 사람에 대해 편견을 갖지 마라
3. 세종 - 먼저 말하지 말고 먼저 들어라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그들이 느끼게 하는 지시의 강도가 훨씬 세며 더욱 뜻이 잘 전달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Ⅲ. 결론
새 시대와 함께 태평성대를 이룩한 세종대왕의 위업은 인재를 발탁하고, 관리하고, 적절히 배치하고 육성한, 인간경영 기술의 결정체였다. 이를 첫 번째 재주 있는 신하에게 개인적인 비리에 대해서는 용서하는 관대함을 보였다든 것, 두 번째 신분에 귀천은 있을지언정 실력에는 귀천이 없다고 여겨 천한 신분을 가진 자에게도 관직을 주어 국가 발전에 기여시켰다는 것, 끝으로 세 번째는 독단으로서의 정치가 아니라 귀를 크게 열어 신하는 물론 백성의 의견까지 듣고자 했던 숙의에 의한 정치를 행하여 실천했다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이 밖에도 세종이 나라를 이끌어가는 CEO로서의 자질을 보여준 것은 무궁무진하다. 백성들의 나은 삶을 위해서는 문제를 먼저 자각하고 먼저 선제공격하여 바꾸고 체계를 만드는 일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러기 위해서 세종은 모든 사안에 대해 늘 파수꾼처럼 깨어있어야 했다. 논쟁에 있어 모르는 것이 없어야 했고, 늦은 밤 쏟아지는 졸음을 쫓기 위해 냉수마찰을 마다하지 않았다. 또한 세종은 신하와 백성을 다스림에 있어 중요한 것은 오직 몸으로 실천하며 전범을 보이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때문에 항시 절약하고 검소하게 생활했으며, 매사에 몸소 신하들의 본보기가 됨으로써 신하들을 이끌었다. 그러나 백성과 신하를 다스림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을 닦는 일이었다. 세종은 마음을 닦는 첫 번째 방법으로 몸을 단련하였다. 어릴 적부터 잔병이 많았던 세종은 나라를 이끌어감에 있어 아무리 뛰어난 지략을 가졌더라도 몸이 성하지 않고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음을 깨달았던 것이다. 그 다음으로 항상 책을 가까이 하여 옛 성현의 금과옥조 같은 가르침을 본받아 이를 정책에 반영하였다. 이 밖에도 음악을 통해 우주의 조화와 삶의 질서를 깨닫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배움을 얻었다.
세종과 같이 다양한 얼굴을 가진 인물을 한국사의 박제 속에만 가두어두기에는 많은 아쉬움이 남았다. 오늘도 한국 지식인 사회는 구미 제국의 리더십에 대한 책자와 논문들을 무분별하게 국내에 소개하고 있다. 검증이 끝나지 않은 50년이 지속되지 못하는 외국 기업의 CEO들에 대해 설익은 논리를 전파하는 일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가장 위대한 CEO로 손꼽히는 빌 게이츠가 과연 앞으로도 그 영광을 이어나갈 수 있을까? GE의 잭 월치가 주장하는 인사와 관련한 이야기들이 과연 총체적인 진리이며, 우리나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사례일까? 언제까지 리더십이라는 분야가 서양인들의 사례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일까. 이에 한국인을 가장 잘 이해하고 한국인을 가장 잘 움직였던 인물인 CEO로서의 세종에 대해 조명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한우,『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서울: 해냄출판사, 2006.
최기억,『CEO 세종대왕 인간경영 리더십』서울; 이지북, 2005
-인터넷 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Ⅲ. 결론
새 시대와 함께 태평성대를 이룩한 세종대왕의 위업은 인재를 발탁하고, 관리하고, 적절히 배치하고 육성한, 인간경영 기술의 결정체였다. 이를 첫 번째 재주 있는 신하에게 개인적인 비리에 대해서는 용서하는 관대함을 보였다든 것, 두 번째 신분에 귀천은 있을지언정 실력에는 귀천이 없다고 여겨 천한 신분을 가진 자에게도 관직을 주어 국가 발전에 기여시켰다는 것, 끝으로 세 번째는 독단으로서의 정치가 아니라 귀를 크게 열어 신하는 물론 백성의 의견까지 듣고자 했던 숙의에 의한 정치를 행하여 실천했다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이 밖에도 세종이 나라를 이끌어가는 CEO로서의 자질을 보여준 것은 무궁무진하다. 백성들의 나은 삶을 위해서는 문제를 먼저 자각하고 먼저 선제공격하여 바꾸고 체계를 만드는 일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러기 위해서 세종은 모든 사안에 대해 늘 파수꾼처럼 깨어있어야 했다. 논쟁에 있어 모르는 것이 없어야 했고, 늦은 밤 쏟아지는 졸음을 쫓기 위해 냉수마찰을 마다하지 않았다. 또한 세종은 신하와 백성을 다스림에 있어 중요한 것은 오직 몸으로 실천하며 전범을 보이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때문에 항시 절약하고 검소하게 생활했으며, 매사에 몸소 신하들의 본보기가 됨으로써 신하들을 이끌었다. 그러나 백성과 신하를 다스림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을 닦는 일이었다. 세종은 마음을 닦는 첫 번째 방법으로 몸을 단련하였다. 어릴 적부터 잔병이 많았던 세종은 나라를 이끌어감에 있어 아무리 뛰어난 지략을 가졌더라도 몸이 성하지 않고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음을 깨달았던 것이다. 그 다음으로 항상 책을 가까이 하여 옛 성현의 금과옥조 같은 가르침을 본받아 이를 정책에 반영하였다. 이 밖에도 음악을 통해 우주의 조화와 삶의 질서를 깨닫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배움을 얻었다.
세종과 같이 다양한 얼굴을 가진 인물을 한국사의 박제 속에만 가두어두기에는 많은 아쉬움이 남았다. 오늘도 한국 지식인 사회는 구미 제국의 리더십에 대한 책자와 논문들을 무분별하게 국내에 소개하고 있다. 검증이 끝나지 않은 50년이 지속되지 못하는 외국 기업의 CEO들에 대해 설익은 논리를 전파하는 일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가장 위대한 CEO로 손꼽히는 빌 게이츠가 과연 앞으로도 그 영광을 이어나갈 수 있을까? GE의 잭 월치가 주장하는 인사와 관련한 이야기들이 과연 총체적인 진리이며, 우리나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사례일까? 언제까지 리더십이라는 분야가 서양인들의 사례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일까. 이에 한국인을 가장 잘 이해하고 한국인을 가장 잘 움직였던 인물인 CEO로서의 세종에 대해 조명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한우,『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서울: 해냄출판사, 2006.
최기억,『CEO 세종대왕 인간경영 리더십』서울; 이지북, 2005
-인터넷 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추천자료
[경영]도요타와 GE의 조직구조 및 리더십 분석
[경영]도요타와 GE의 조직구조 및 리더십 분석
세종처럼-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과 그 감상을 중심으로.
경영, 역사에서 길을 찾다를 읽고 - 역사에서 배우는 리더십
교사의 리더십과 학급경영
[경영자][기업가][경영인][리더십]경영자(기업가) 정의, 경영자(기업가) 종류, 경영자(기업가...
세종대왕의 리더십
서비스 업종의 경영자 리더십
[호텔경영관리][호텔][경영][호텔경영관리 특징][호텔경영관리 리더십][호텔경영관리 동향][...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전략과 리더쉽 및 네트워킹에 관한 논의 - 리더십 유형 : 프로그램, 정책...
[경영]경영자(기업인, 기업가, 경영인)의 의미, 정신, 경영자(기업인, 기업가, 경영인)의 리...
[내 삶을 경영하라] 우수 독후감 요약 _ 김태우 지음
지속가능경영 레포트 - 리더십의 정의와 리더십 이론의 변천과정,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및 ...
세종대왕의 정치적 리더십과 그 밑의 뛰어난 인재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