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계급의 형성(2002, 구해근)을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은 계급의식을 제대로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그들은 특별히 자신의 밥그릇에 손해가 가는 일이 없다면 그냥 그들은 국가나 기업이 이끄는 데로 끌려 다닐 것이다. 진정한 계급의식의 부재는 앞으로 자유 시장 원리에 따라 노동자들의 경쟁이 강화된 노동시장에서는 자기 이익만을 쫓는 경쟁자들이 되고 노동자 내부에서도 많은 분열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계급의식이 있다면 노동자들은 자유경쟁 사회에서도 하나로 통합될 수 있고 국가나 기업도 그들을 인정하고 같이 공존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 사회는 조화롭게 공존하며 살아가지 못하고 있지 않는가! 경제, 교육, 사회, 정치적으로 급속한 성장의 댓가를 지금 치르고 있다. 그 부작용이 바로 노동자 계급을 비롯한, 각 계층의 계급의식의 부재로 나타나는 총체적 문제로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독서후기 : 한국 노동 계급 형성에 관한 책이지만 노동자들의 삶이 우리가 발전해온 원동력이 되었기에 한국 사회 발전의 전반적인 모습을 알 수 있어 좋았다. 본인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지 못하여 아쉽다. 앞으로 관련 도서를 많이 읽으면서 한국 사회에 전반에 대해 체계적이고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1.2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