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방법론과, 한국 교육 현장에서의 방법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Ⅰ

본문내용

는 데만 치중하여 교사들의 통제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 아이들은 학습내용에 관심이 없다. 그런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그러나 흥미를 끌기 위한 방법에만 치중하여 교과내용이 밀려난다면 이는 안 하느니만 못한 것이다. 굳이 이런 방법들을 활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잘 이루어지는 수업을 이미 앞에서 다루었으므로 더 이상 언급은 하지 않겠다. 하지만 루터나 퀸틸리아누스가 주장한 놀이로서의 학습도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권장할만한 방법은 아닌 듯하다. 과거에는 어떠하였는지 몰라도 급격하게 발전해나가는 시대에서 아이들의 통제와 흥미유발, 더 나아가 그것을 교육, 학습과 연계시키는 일은 더욱더 어려워지고 있다.
과학 실험, 요리 실습 등은 실제생활에서 쓸모 있는 것을 교육해야한다는 리얼리즘의 사상을, 교사가 시범을 보이며 아동들이 경험해 보아야 한다는 경험주의 학자들의 사상 등이 모두 반영된 방법이다. 이렇듯 모든 방법의 저변에는, 여러 가지 아동관과 교육관 등 다양한 사상이 바탕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수많은 사상과 이론들을 바탕으로 교육을 행한다 해도 현실에 꼭 맞는, 이상적인 교육방법은 어디에도 없었다. 아무리 훌륭한 이론과 방법이라 해도 현실에서는 장애에 부딪힐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시대의 변화 외에도 학교, 교육제도상의 문제로 인한 것으로 교사 개개인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 여겨진다.
이 레포트를 쓰면서 교육현장에서는 많은 선생님들이 아이들의 학습을 모두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을 개발하고 애쓰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현실적, 제도적 벽 앞에서 절름발이가 될 수밖에 없었고, 이론과 가치관, 신념만으로는 교육을 할 수 없음을 간접적으로나마 여실히 깨달았다. 나름대로는 과거와 현재의 교육 방법을 연계시켜 그 속에서의 교육적 철학적 의미를 찾아보려 했지만, 어려운 교육 현실 앞에서는 그마저도 힘겨웠다. 그렇게 힘들게 찾아낸 결론은 너무나 간단하고 어려웠다. 예전의 교육 사상가들의 이론은 그들의 것이며 참고는 하더라도 그것을 현재와 결부시켜 의미를 찾는다는 것은 어찌 보면 무의미 한 것이 아닐까. 무릇 교단에 선 교사라면 다른 방법과 다른 길을 궁리할 것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아이들에게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며 정진해나가는데 길이 있음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28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