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흥행영화의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흥행영화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마케팅 과정에 따른 전략 분석
(1) 영화 제작 전 단계
(2) 영화 제작 단계
2) 각 영화의 성공과 실패 요소
(1) <JSA>의 성공 요소
(2) <파이란>의 실패요소
3) 성공적인 영화 마케팅 전략
(1) 철저한 시장 분석
(2) 타깃의 선정과 분석
(3) PR, 광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작품 평가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한국 영화들은 이미 이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보도 자료를 만들어 언론에 배포하는데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다. 호현찬, 「영화의 특성에 대한 재조명- 기업이며 상품이다」서울: 영화진흥공사, 1999. 57~69면.
Ⅲ. 결론
국내 영화 시장에 있어서 소비자와 투자자 모두의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으며, 마케팅 비용을 포함하는 영화의 총 제작비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영화의 마케팅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못하고 있어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영화를 상품으로 인식하고 그를 판매하기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을 위해 개봉된 국내 영화 두 편의 사례를 분석하여 마케팅적 측면에서 성공과 실패 요소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도출해 보았다. 분석 결과 JSA의 성공 요소는 30대 남성의 세분화 집단을 표적으로 하는 타깃 전략, 영화와 관련된 요소들의 이슈화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파이란의 실패 요소는 잘못된 마케팅 콘셉트와 장르 선정, 부적절한 타깃 세분화 등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사례 분석에 따라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시장 분석을 통하여 영화의 타깃을 선정하고, 이들의 라이프사이클과 가치관을 분석하며 영화 작품의 분석을 통해서 마케팅 콘셉트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파이란의 실패요소와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파이란의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해 볼 수 있다. 우선, 타깃으로 선정한 20대 여성에게 어필할 수 있는 색다른 노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최민식보다는 장백지를 부각시키는 PR 방법도 있었으며, 극중 ‘당신을 사랑해도 되나요’라는 파이란의 가슴아린 대사를 유행화 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한편, 멜로물의 타겟이 20대의 여성이라는 고정 관념을 탈피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한국 영화 시장의 파이가 커지고 있으면, 친구나 JSA와 같이 30대를 타깃으로 하는 영화가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파이란의 장르를 ‘휴먼 드라마’로 설정하고 30대를 주 타깃으로 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멜로 영화 정사의 경우도 30대를 주 타깃으로 하여 이들에게 친숙한 주연배우인 이미숙을 내세우는 전략이 유효했었다. 파이란 역시 최민식이 30대에게 친숙한 배우이며, 작품성이 뛰어나고 철학적인 면을 지닌 영화이므로 30대를 표적으로 하는 것이 적합했을 것이다.
<참고문헌>
장갑상, 「영화와 비평」,서울: 삼산 서적, 2002, 121~125면.
위의 글, 142~146면.
i-cine21, 파이란-마케팅 기획서, 시네 21, 2003.2.5(WWW.CINE21.CO.KR, 2006.10.29).
i-cine21, JSA-마케팅 기획서, 시네 21, 2003.2.5(WWW.CINE21.CO.KR, 2006.10.29).
호현찬, 「영화의 특성에 대한 재조명- 기업이며 상품이다」서울: 영화진흥공사, 1999. 57~69면.
심상민, 「한국영화 도전과 성공 전략」,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1, 15~19면.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2.0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