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비유의 의미

2. 비유의 필요성

3. 비유와 사물간의 거리

4. 죽은 비유와 살아있는 비유

5. 비유의 종류
1) 의미의 비유
2) 말의 비유

본문내용

험한 산길 꽃 사이로.
* 바다여/ 날이면 날마다 속삭이는 /너의 수다스런 이야기에 지쳐/ 해안선의 바위는/베에토벤처럼 귀가 멀었다. <신석정 '바다에게 주는 시'에서>
* 전나무, 잣나무들만이 대장부의 기세로 활개를 쭉쭉 뻗고···<정비석 '산정무한'에서>
- 활유: 무생물에다 생물적 특성을 부여하여 살아있는 생물처럼 나타내는 방법이다.
* 안개가 날개를 치면서 산 정산으로 기어오르고 있었다.
* 청산이 깃을 친다.
* 대지가 꿈틀거리는 봄이 소리도 없이 다가오면···
*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낳고, 꽃을 낳는다(생명의 모태로서의 '어둠'의 긍정적 이미지를 활유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생명이 없는 무생물에게 생명성을 부여하여 생물처럼 그리는 것이 활유법이고, 인간이 아닌 비인물체에게 인격을 부여하여 사람처럼 표현하는 것이 의인법이다.
2) 말의 비유 - 단어를 잘 배열함으로써 특별한 효과를 얻는 수사적 표현
- 도치 과장 대조 열거 반복 영탄 반어 역설 모순
1. 도치
: 문장상의 순서를 바꾸어서 내용을 강조하는 기교이다. 문장의 순서는 〔주어 + 목적어(보어) + 서술어〕의 형식으로 나타나는 데, 이 순서가 바뀐 형태가 도치법이다.
다른 비유에서와 마찬가지로, 도치 또한 인식의 깊이와 표현의 적절성 속에서만 의도하는 바의 기능을 한다.
2. 과장
: 의미나 인상을 강조하기위하여 사실이나 현상을 실제보다 더 보태거나 더 줄여서 하는 수사법이다.
3. 대조와 모순 어법
* 대조와 대구의 차이
- 대조: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어구를 연결하여 대비의 느낌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 대비와 대립 자체가 또 하나의 통일을 이루게 하는 수사법.
- 대구: 어조(語調)가 비슷한 말을 병립한 형태의 수사법.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단어나 어구를 병립시키지 않고 유사한 어조를 그 바탕으로 한다.
- 모순어법: 대조와 유사한 대립의 구조를 갖고 있지만, 모순되는 관념의 결합 상태.
4. 반복과 열거
- 반복: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구를 반복하며 그 의미를 강조하고, 동시에 리듬을 살리는 수사법.
- 열거: 동위(同位)의 어구를 적절히 살려 강조와 리듬을 표현하는 수사법.
5. 반어와 역설
- 반어: 실상 또는 진실을 안으로 숨기는 수사법
- 역설: 표면적으로는 모순되는 것 같지만, 그 표현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고 있는 수사법
6. 영탄과 돈호법
- 영탄: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서 '오, 아아...' 등의 감탄사, 감탄조사, 감탄형어미등을 활용하는 수사법
- 돈호법: 시문의 중간에 갑작스럽게 사물 또는 사람의 이름을 넣어 정서적 충격을 불러일으키는 수사법
7. 역언법
: 어떤 부분을 의도적으로 생략함으로써 오히려 작가가 생략한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수사법
8. 수사적 의문법
: 응답을 바라고 하는 질문의 형태가 아니다. 질문이라기보다 질문의 형식을 빈 주장이다.
9. 완곡 어법
: 불유쾌하거나 무섭거나 비위에 거슬리는 것을 가리키는 데 쓰이는 말 대신 이보다 모호하거나 우회적인, 또는 덜 일반화된 말을 사용하는 수사법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2.03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