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과 기생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6-1. 개요

6-2. 채소류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생충
[1] 회충
[2] 구충 (鉤蟲 - 십이지장충)
[3] 동양모양선충 (東洋毛樣線蟲)
[4] 편충 (鞭蟲)
[5] 요충 (蟯蟲)
[6] 기타 기생충

6-3. 어패류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생충
[1] 간흡충 (간디스토마, 肝吸蟲)
[2] 폐흡충 (폐디스토마, 肺吸蟲)
[3] 요코가와 흡충
[4] 광절열두조충 (廣節裂頭條蟲, 긴촌충)
[5] 유극악구충 (有棘顎口蟲)
[6] 아니사키스
[7] 스팔가눔증

6-4. 육류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생충

6-5. 기생충병의 예방원칙

본문내용

돼지촌충)
회교도 국가에는 없으나, 힌두교 국가에는 많다.
조충의 길이는 2-7m이며 800~900개 편절, 20여년 생존
. 알이있는 편절-분변과 같이 배출-돼지 또는 사람-소장에서 부화
. 이환된 돼지고기에서 낭충이 많이 발견된다
. 오심, 구토, 두통, 과민한 감정상태, 때로는 소화장애가 있다
.돼지고기의 날것의 섭취를 피한다
[3] 선모충 (旋毛蟲)
전세계적으로 분포. 우리나라는 보고 없음.
자연계의 쥐에 만연. 2차적으로 돼지, 개, 여우가 감염.
사람은 돼지고기의 피낭유충으로 감염.
피낭유충 → 성충 → 유충 생산
유충이 주로 전신근육으로 이행 (미열, 오심, 구토, 설사, 복통)
[4] Toxoplasma증
Toxoplasma gondii에 의해 감염
독소를 생성하는 기생충
증식형; 초승달 모양 → 여러 장기의 망상 내피세포에서 증식
포낭형 → 감염
증상; 불현성이 많다.
임산부 → 태아에게 감염
유산, 사산, 뇌수증, 기형
감염경로; 설익은 돼지고기, 생달걀
고양이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식품
[5] Manson 열두조충
제1중간숙주; 물벼룩
제2중간숙주; 개구리, 뱀, 담수어, 조류, 포유류
종말숙주는 개, 고양이이나, 사람의 피하조직에 기생 - 고충병(孤蟲病)
6-5. 기생충병의 예방원칙
1) 분변을 완전처리하여 기생충란을 사멸 배제
2) 정기적으로 검변하여 조기에 구충한다
3) 감염성 충란 또는 유충으로 오염된 조리기구를 통하여 감염
4) 수육, 어육은 충분히 가열조리한 것을 섭취
5) 채소류는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한다
6) 손은 항상 깨끗이 씻는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2.05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