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강 조동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춘강 조동식의 생애와 활동
2. 춘강 조동식의 교육사상
1) 여성 교육관
▶ 춘강이 바랐던 부도와 현모양처의 내용
2) 민족 교육관
3) 도덕 교육관
▶ 동덕여학교의 교지(敎旨) : 수덕(修德), 헌성(獻誠), 수분(守分)으로 제정.
▶ 동덕여자대학교의 교시(校是)
3.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기초를 두고 그 위에 능력을 키우며 서로 돕고 의지하고 화합하여 대도의 길을 가게끔 지도하고 격려하였다고 볼 수 있다.
3.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첫째, 그는 가정과 국가의 미래가 결국 여성에 의해 좌우되며 나아가 자녀 교육도 한 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믿었다. 결국 한 사회, 한 나라 발전은 여성의 삶의 질과 병행한다고 보았다. 그는 유교 중심의 현모양처의 여성상은 그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하며 이것을 가정과 국가의 발전의 기틀로 보았다.
둘째, 그는 세계인, 국제인이기 앞서 한국인을 기르는 교육에 매진하였다. 그는 국가를 무척 사랑했고, 이 민족얼을 만인에게 고취하려고 전 생애를 바쳤다. 외국으로 나아가 독립운동에 매진하는 것도 우리들이 할 일 임에 틀림이 없었다. 그러나 그는 일제 강점의 와중에서 조국을 떠나지 못하고 있는 정성을 다하여 교육일선에서 온몸을 던져 쓰러진 국가의 재건을 위하여 교육입국을 위하여 촛불처럼 순간을 몸으로 태우면서 민족의 새로운 건설과 그 기획에 혼신의 노력을 다하였다. 앞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태극기에 얽힌 그의 사랑과 정성으로서도 그의 민족애의 핵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도의적인 인간의 기틀에서 가정과 사회를 올바로 이룩하려고 하였고, 이 기틀 위에 직업교육, 지식교육, 기능교육을 세우려고 하였다. 독일의 피히테가 독일을 재건하기 위하여는 도덕교육의 기본을 강조한 것처럼 춘강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민족은 먼저 도덕적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하였다. 이 도덕적인 혁신은 우리민족의 절박한 요청이요, 교육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위적 위치에 서야 한다고 하였다.
이 세 가지는 모두가 강조되어야 할 요체이나 그 중에서도 가장 핵이 되는 것은 나중에 강조한 도의교육, 도덕교육의 회복을 으뜸으로 재음미해야 할 것이다.
참고
* 현대한국교육사상, 김선양
* naver.com 자료 검색
1) 春江趙東植先生古稀記(同進會, 1956)
春江趙東植先生傳記(春江趙東植先生記念事業會, 1979). 〈韓基彦〉
2) 조동식,“韓國女學生의 基本姿勢” 「갈매」1969,12월호(창간호)
3) 순교부,「민주생활」서울: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66, p120~124
4) 조동식, 교육자가 본 사회상, 서울신문, 1959.11.16.
5) 同德七十年史編纂委員, 「同德七十年史」, 서울: 同德女學園,1988,p64~65, p217
6) 同德三十年史編纂委員, 「同德三十年史」, 1980, p128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2.1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