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선택문헌
Ⅱ. 선택문헌의 연구 개요
Ⅲ. 플라톤의 생애
Ⅳ. 국가론 교육관과 그에 대한 논의
Ⅴ. 국가론의 교육중심적 교육관 비판
Ⅵ. 맺음말
Ⅱ. 선택문헌의 연구 개요
Ⅲ. 플라톤의 생애
Ⅳ. 국가론 교육관과 그에 대한 논의
Ⅴ. 국가론의 교육중심적 교육관 비판
Ⅵ. 맺음말
본문내용
부독재 통치 체제하에서 합의란 불가능했다.
어느 쪽이든 극단적으로 가게 되면 항상 문제가 됩니다. 그리고 아무리 완벽한 이론이라도 실제로 그 이론이 완벽하게 실현될 가능성을 희박하다. 지나치게 닫힌 사회라면 열린사회로의 변화가 있어야 하고, 지나치게 닫힌 사회라면 열린사회로의 변화가 있어야 하리라고 본다.
Ⅵ. 맺음말
선한 사람은 인간 개인에 있어 이성의 지배하에 욕망과 기개를 잘 다스려 영혼을
정화시켜 선의 이데아를 보게 하며, 국가적으로는 인간의 영혼의 모습을 닮은 세 계급이 각자의 본분을 다하면서 조화를 이룬 상태, 즉 이상국가의 모습을 말함이며, 그것은 정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한 인간과 교육의 역할로 제시된 현실에서의 선한 사람을 확대하여 말하자
면 개인으로서는 선의 이데아를 볼 수 있게 하고, 국가적으로는 정의를 실현하게
하는 것이 플라톤이 말하는 교육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플라톤에 있어 교육은 정의를 실현하는 첫 번째 조건이며, 국가의 기반이며 교육 없이는 국가가 성립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이상 자체는 교육국가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플라톤은 그의 철학적 중심 사상인 이데아론, 영혼론, 정의론을 통하여 이상국가를 만들어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데아론을 통해서 이상국가라는 존재를 생각할 수 있게 하였고 영혼론을 통하여 이상국가의 구성원이 될 수 밖에 없는 인간들 각자의 위치를 만들어 주었으며, 정의론을 통해서 이상국가 안에서의 인간들의 생활과 관계를 설정해 주었다.
포퍼는 일종의 언어적 속임수와 인간의 감정과 무지를 이용하였다고는 하나 그런 표현 자체가 플라톤의 서술에 대한 일종의 감탄에 대한 반응이 아니었을 까하고 여겼다. 포퍼는 역사주의, 정신적 자연주의, 국가유기체이론, 유토피아주의 등에 대한 설명과 이를 플라톤의 철학적 중심사상과 연결시켜 신랄한 비판을 가하였으며 플라톤의 정의론을 포퍼는 엄격한 계급구분과 계급지배의 유지에 의해 모든 변화를 억제하여 국가의 이익을 되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상국가에 대해서는 국가의 기원에서부터 계급, 교육, 철인왕 등 이상국가의 주요 부분에 대한 비판을 가하면서 마지막에는 [국가] 자체가 플라톤이 왕이 되어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의미가 담긴 정치선언서라는 놀라운 결론에 이르게 한다. 여기서 우리는 포퍼의 비판에 있어 어떤 관점이나 형식에 있어 문제가 있음을 의심하기 시작하게 된다.
이번 플라톤에 대해 교육사상을 알아보고 이를 비판하기 위해 포퍼가 플라톤에 비한한 글까지 읽음으로써 다양한 플라톤에 대한 시각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으며 플라톤이 개인주의적인 시각에서는 인정을 받고 있지만 다양한 대중의 시각에서는 비판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이번에 알았으며 교육적인 면에서도 보았을 때 플라톤은 바람직한 인간상, 정의로운 인간상, 기개, 정의, 이성을 고루갖춘 인간상을 추구하는 것을 보았을 때 복지적인 측면에서는 인정을 받을 수 없지만, 사회적, 정치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현대적으로는 인정을 받는 사람이 될 수 있는 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어느 쪽이든 극단적으로 가게 되면 항상 문제가 됩니다. 그리고 아무리 완벽한 이론이라도 실제로 그 이론이 완벽하게 실현될 가능성을 희박하다. 지나치게 닫힌 사회라면 열린사회로의 변화가 있어야 하고, 지나치게 닫힌 사회라면 열린사회로의 변화가 있어야 하리라고 본다.
Ⅵ. 맺음말
선한 사람은 인간 개인에 있어 이성의 지배하에 욕망과 기개를 잘 다스려 영혼을
정화시켜 선의 이데아를 보게 하며, 국가적으로는 인간의 영혼의 모습을 닮은 세 계급이 각자의 본분을 다하면서 조화를 이룬 상태, 즉 이상국가의 모습을 말함이며, 그것은 정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한 인간과 교육의 역할로 제시된 현실에서의 선한 사람을 확대하여 말하자
면 개인으로서는 선의 이데아를 볼 수 있게 하고, 국가적으로는 정의를 실현하게
하는 것이 플라톤이 말하는 교육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플라톤에 있어 교육은 정의를 실현하는 첫 번째 조건이며, 국가의 기반이며 교육 없이는 국가가 성립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이상 자체는 교육국가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플라톤은 그의 철학적 중심 사상인 이데아론, 영혼론, 정의론을 통하여 이상국가를 만들어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데아론을 통해서 이상국가라는 존재를 생각할 수 있게 하였고 영혼론을 통하여 이상국가의 구성원이 될 수 밖에 없는 인간들 각자의 위치를 만들어 주었으며, 정의론을 통해서 이상국가 안에서의 인간들의 생활과 관계를 설정해 주었다.
포퍼는 일종의 언어적 속임수와 인간의 감정과 무지를 이용하였다고는 하나 그런 표현 자체가 플라톤의 서술에 대한 일종의 감탄에 대한 반응이 아니었을 까하고 여겼다. 포퍼는 역사주의, 정신적 자연주의, 국가유기체이론, 유토피아주의 등에 대한 설명과 이를 플라톤의 철학적 중심사상과 연결시켜 신랄한 비판을 가하였으며 플라톤의 정의론을 포퍼는 엄격한 계급구분과 계급지배의 유지에 의해 모든 변화를 억제하여 국가의 이익을 되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상국가에 대해서는 국가의 기원에서부터 계급, 교육, 철인왕 등 이상국가의 주요 부분에 대한 비판을 가하면서 마지막에는 [국가] 자체가 플라톤이 왕이 되어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의미가 담긴 정치선언서라는 놀라운 결론에 이르게 한다. 여기서 우리는 포퍼의 비판에 있어 어떤 관점이나 형식에 있어 문제가 있음을 의심하기 시작하게 된다.
이번 플라톤에 대해 교육사상을 알아보고 이를 비판하기 위해 포퍼가 플라톤에 비한한 글까지 읽음으로써 다양한 플라톤에 대한 시각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으며 플라톤이 개인주의적인 시각에서는 인정을 받고 있지만 다양한 대중의 시각에서는 비판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이번에 알았으며 교육적인 면에서도 보았을 때 플라톤은 바람직한 인간상, 정의로운 인간상, 기개, 정의, 이성을 고루갖춘 인간상을 추구하는 것을 보았을 때 복지적인 측면에서는 인정을 받을 수 없지만, 사회적, 정치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현대적으로는 인정을 받는 사람이 될 수 있는 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