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탕(개고기) 문제에 관한 나의 생각 (문화 상대주의적 입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개고기 문화의 역사

3. 개고기(보신탕) 문화의 원인

4. 개고기(보신탕)에 대한 문헌기록

5. 개고기(보신탕)의 영양적 가치

6. 식생활 문화와 문화 상대주의

7. 개고기(보신탕)에 투영된 오리엔탈리즘

8. 보신탕 문제에 대한 나의 생각과 입장

9. 참고자료

본문내용

그 정복자와 정복당한 자 간에는 아무런 문화적 우월이 있을 수 없다. 마찬가지로 풍성한 농작물을 가질 수 있었던 한 종족이 다른 종족보다 좀 더 그럴듯한 식생활을 가졌다 해도 다른 종족의 식생활을 야만스럽다 불러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런 것을 일컬어서 문화인류학에선 문화 상대주의라고도 한다. 어떤 절대적 기준과 잣대를 가지고 다른 문화를 재단하고 평가 내릴 수는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만약 한 종족의 문화가 위생적으로 문제가 있다거나 한다면 문제는 좀 다르다. 어떤 종족의 음식이 먹어서 질병에 걸릴만큼 병균이 많다거나 한다면 그 음식은 야만적이라고 비판되어질 수 있다. 주거 환경이 너무나 불결(느낌이 아니라 실제로)하여 거기 사는 사람이 항상 피부병에 시달리거나 한다면 그건 야만적이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보신탕은 먹으면 바로 병에 걸릴 정도로 비위생적이지도 않다. 오히려 가난한 사람은 잘 사먹지도 못하는 고급 음식에 속하고 그만큼 음식의 위생상태도 서양의 음식보다 좋으면 좋았지 못하지는 않다.
7. 개고기(보신탕)에 투영된 오리엔탈리즘
결국 지금 해외에서 우리가 개를 먹는 것을 보고 야만스럽다 하는 것은 자기 종족의 입장만을 생각한 편견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도 자신이 우월한 것인지 자신이 있는 환경이 우월한 것인지도 구별을 못하는 무지함까지 곁들여진 편견이다. 약한 나라가 먹는 음식은 모두 야만적이라는 턱없는 오만이다. 일종의 확장된 의미에서의 오리엔탈리즘이라는 생각도 든다.
물론 이질적인 식문화를 접할 때 불쾌한 느낌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도 "느낌"을 떨쳐버리기는 힘들다는 사실을 자주 느낀다. 특히 좋은 느낌보다 안 좋은 느낌일 경우가 더욱. 감정은 때때로 이성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하고 오감에 의해 발생한 감정일 수록 더욱 그렇다. 우리 역시 개미를 먹는다거나 원숭이 골을 먹는다는 종족의 식탁 앞에선 저절로 인상이 찌푸려 질 것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그런 나라의 대통령에게 그런 음식 먹지 말아달라는 편질 보낸 사람이 있었단 소린 못 들어봤다. 감히 일개국의 대통령에게 그런 편지를 보내기 위해선 불쾌한 느낌만이 아닌, 위에서 말한 우월한 환경과 편견, 무엇보다도 오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런 것들을 좀 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8. 보신탕 문제에 대한 나의 생각과 입장
물론 우리가 보신탕을 포기하는 방법도 있다. 지금은 먹을 것도 풍부해서 보신탕을 포기한다고 해서 굶어죽지는 않는다. 하지만 왜 우리가 그래야만 하는가? 왜 우리의 다양한 식생활을 포기하고 서양의 입맛에 우리를 맞춰야 하는가? 먹을 수 있는 음식의 가짓수를 줄이는 것은 먼 훗날에 있을지도 모르는 식량난에 대비하는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고 다양화 다원화의 세계추세에도 어긋난다. 게다가 보신탕은 영양가도 높고 단백질도 풍부하고 소화도 잘되는 좋은 음식이다. 우리는 다른 나라 사람들의 이런 말도 안 되는 주장을 듣고 우리의 식문화를 포기하는 얼치기 짓은 말아야한다. 그럴수록 보아란 듯이 꿋꿋이(?) 보신탕을 먹어줘야 한다.
68년 일본 도쿄올림픽 때 미국에서는 야만스럽게 날 것을 먹는다는 이유로 `생선회(스시)'를 문제삼았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들도 즐기는 식품이지 않는가? 한 여배우의 말을 너무 성급히 일반화시킨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지만 여태껏 있어온 소수 혹은 열세 민족 문화에 대한 강대국들의 무시에 대한 반발이라 생각하고 읽어주면 좋겠다.
9. 참고자료
안용근, 한국인과 개고기, 효일
주영하, 음식 전쟁 문화전쟁, 사계절
주강현,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례 신문사
에드워드 W.사이드, 문화와 제국주의, 문예출판사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2.1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9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