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2. 서정주의 사상 및 작품별 변모과정 1
3. 각 시기별 특징 3
3.1 초기시 3
3.2 중기시 4
3.3 후기시 4
4. 서정주 시의 특징과 위상 5
5. 결론 7
6. 참고문헌 8
2. 서정주의 사상 및 작품별 변모과정 1
3. 각 시기별 특징 3
3.1 초기시 3
3.2 중기시 4
3.3 후기시 4
4. 서정주 시의 특징과 위상 5
5. 결론 7
6. 참고문헌 8
본문내용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작품성과 흥행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경우가 이에 속하는데 그중 서정주는 시대배경을 같이 하는 동시대의 시인들중 단연 으뜸이다. 현재까지도 가장 많은 연구의 대상중에 포함되는 것이 그 증명이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과연 무엇이 서정주를 그런 영광의 자리를 차지하게 하였는지를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며 또한 그 것을 토대로 그의 시세계를 3단계로 나누어 논해보았다.
서정주의 시는 자신의 문체를 통해서 강한 개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사에서 독자적인 한 장을 차지한다. 그의 시는 자신의 삶의 궤적을 누구보다도 솔직하게 표현하고자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은 부단히 이전의 세계를 부정하면서 우리 문학의 전통을 심화 확대하려는 노력의 소산이었다.
일반적으로 서정주의 시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우리 문학사의 대가를 이루고 있음이 인정되고 있다. 참으로 인간적 소재를 통하여 우리들이 살고 있는 현실 세계의 아름다움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이런 인간들이 지향하는 영원의 세계에 대한 끝없는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그는 시적 대상을 자신의 체험 속에서 찾고 있으며, 이를 적절한 언어와 이미지를 통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그동안 서정주의 문학에 대해서는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자신의 과거에 대하여 자기 비판을 감행하면서, 그의 시사적 위상이 새롭게 정립되고 있기도 하다. 아울러 시인은 시로서 남는 것만이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6. 참고문헌
김기림, “시론” 백앙당, 1989, p.144
김시태, “상상의 패러독스”, 현대시와 전통, 성문각, 2000, p.220
김시태, “시인의 초상”, 문학과 삶의 성찰, 이우, 2001, p.229
김시태, “식민지 시대의 비평문학”, 이우출판사, 2000, pp.497~568
김용직, “한국현대시연구”, 일지사, 1996, pp.255~262
김윤식, “역사의 예술화”, 현대문학, 2000, p.188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90
김현,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84, p.260
문옥식, “미당 서정주 연구”, 논문집 vol 2. No-, 광주대학교, 1982
문덕수 김용직 박명용 정순진, “한국현대 시인연구 下”, 푸른사상, 2001.
문덕수·함동선, “한국 현대 시인론”, 보고사, 1996.
상허학회, “새로쓰는 한국시인론”, 백년글사랑, 2003.
서정주, “미당 서정주 시 전집”, 민음사, 1983.
서정주, “역사의식의 자각”, 현대문학, 1964. 9.
서정주, “미정체 사상”, 문학사상, 1972. 10. p.243
송하선, “서정주 예술언어”, 국학자료원, 2000.
안동주, “미당 서정주 연구-그 시정신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교육대학교, 1992
오세영, “20세기 한국시 연구”, 새문사, 1991.
윤재웅, “미당 서정주”, 태학사, 1998.
이남호, “서정주의 화사집을 읽는다”, 열림원, 2003
이승대, “서정주 시의 역설적 의미”, 현대문학, 1998, 4
엘리아데, “우주와 역사”, 현대사상사, 2001, pp. 13~17
윌리스 스티븐스, “가치로서의 상상력”, 시의이해, 민음사, 1998, p.166
유혜숙, “서정주 시의 이미지 연구”, 시문학사 , 1996.
조연현 외, “미당연구”, 민음사, 1994.
최두석, “서정주론”, 先淸語文 제20호 Vol.20 No.1, 1992
최동호, “시 읽기의 즐거움”,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천이두, “서정주 시의 작법”, 선문사, 1999, p.104
천이두, “지옥과 열반”, 시문학, 1982. pp.6-9
본문에서는 과연 무엇이 서정주를 그런 영광의 자리를 차지하게 하였는지를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며 또한 그 것을 토대로 그의 시세계를 3단계로 나누어 논해보았다.
서정주의 시는 자신의 문체를 통해서 강한 개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사에서 독자적인 한 장을 차지한다. 그의 시는 자신의 삶의 궤적을 누구보다도 솔직하게 표현하고자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은 부단히 이전의 세계를 부정하면서 우리 문학의 전통을 심화 확대하려는 노력의 소산이었다.
일반적으로 서정주의 시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우리 문학사의 대가를 이루고 있음이 인정되고 있다. 참으로 인간적 소재를 통하여 우리들이 살고 있는 현실 세계의 아름다움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이런 인간들이 지향하는 영원의 세계에 대한 끝없는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그는 시적 대상을 자신의 체험 속에서 찾고 있으며, 이를 적절한 언어와 이미지를 통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그동안 서정주의 문학에 대해서는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자신의 과거에 대하여 자기 비판을 감행하면서, 그의 시사적 위상이 새롭게 정립되고 있기도 하다. 아울러 시인은 시로서 남는 것만이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6. 참고문헌
김기림, “시론” 백앙당, 1989, p.144
김시태, “상상의 패러독스”, 현대시와 전통, 성문각, 2000, p.220
김시태, “시인의 초상”, 문학과 삶의 성찰, 이우, 2001, p.229
김시태, “식민지 시대의 비평문학”, 이우출판사, 2000, pp.497~568
김용직, “한국현대시연구”, 일지사, 1996, pp.255~262
김윤식, “역사의 예술화”, 현대문학, 2000, p.188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90
김현,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84, p.260
문옥식, “미당 서정주 연구”, 논문집 vol 2. No-, 광주대학교, 1982
문덕수 김용직 박명용 정순진, “한국현대 시인연구 下”, 푸른사상, 2001.
문덕수·함동선, “한국 현대 시인론”, 보고사, 1996.
상허학회, “새로쓰는 한국시인론”, 백년글사랑, 2003.
서정주, “미당 서정주 시 전집”, 민음사, 1983.
서정주, “역사의식의 자각”, 현대문학, 1964. 9.
서정주, “미정체 사상”, 문학사상, 1972. 10. p.243
송하선, “서정주 예술언어”, 국학자료원, 2000.
안동주, “미당 서정주 연구-그 시정신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교육대학교, 1992
오세영, “20세기 한국시 연구”, 새문사, 1991.
윤재웅, “미당 서정주”, 태학사, 1998.
이남호, “서정주의 화사집을 읽는다”, 열림원, 2003
이승대, “서정주 시의 역설적 의미”, 현대문학, 1998, 4
엘리아데, “우주와 역사”, 현대사상사, 2001, pp. 13~17
윌리스 스티븐스, “가치로서의 상상력”, 시의이해, 민음사, 1998, p.166
유혜숙, “서정주 시의 이미지 연구”, 시문학사 , 1996.
조연현 외, “미당연구”, 민음사, 1994.
최두석, “서정주론”, 先淸語文 제20호 Vol.20 No.1, 1992
최동호, “시 읽기의 즐거움”,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천이두, “서정주 시의 작법”, 선문사, 1999, p.104
천이두, “지옥과 열반”, 시문학, 1982. pp.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