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교육적 인간상에 대한 비판과 반성적 성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가. 교육 과정의 의미
나. 교육과정의 수준과 위상

II. 해방이후 학교교육과정에서 교육적 인간상의 변천

III. 교육적 인간상의 비판적 분석
1. 기능적 난점
2. 의미상의 난점

IV. 변화하는 교육과정 패러다임과 교육적 인간상의 가능성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앞글: 41-42).
이 논문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이 의도한 변화를 인도하지 못하는 근원적인 한계로서 교육적 인간상의 목표로서의 의미와 기능상에 내포된 문제를 탐구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이 단지 형식적인 문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려면, 현재 학교 교육의 실행 과정 안에서 목표이자 방법적 원리로서 기능 할 수 있는 성격의 인간상이 되어야 한다. 인간상이 추상화된 그 자체로 가치로운 목적으로서, 미래에 성취될 결과 지향적인 성격의 것일 때, 현재적 과정을 수단화하고 실효성 있는 변화를 구체적인 실제에서 인도하지 못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7차에 걸친 학교 교육과정 개정에서 개정의 요구가 교육 실제로부터 나오기보다는 교육외적인 조건의 변화에서 비롯되었고, 정치-경제적 요구에 의거하여 정당화되는 한계를 되풀이해 왔다. 이러한 문제를 넘어서 실제에서 기능하는 목표로서 교육적 인간상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교사와 학생들의 구체적으로 경험되는 질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교육의 과정을 통해 지향하는 가치가 교육외적인 편협된 관심에 의해 왜곡되고 변질되지 않도록, 교육 본질적인 관심으로부터 추구하는 목표의 의미를 존재론적 가치론적 토대 위에서 분석·평가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현대의 변화된 인간관과 세계관을 반영하는 일관된 철학적 토대에서 새롭게 부각되는 교육적 인간상의 대표적 특성은 독특한 개성을 발휘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창조하는 능력이다.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 목표 능력으로 설정한 특성들은 언어적 표현으로만 볼 때 현대 철학적 토대에서 지향하는 바와 방향이 일치하는 의미들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이 표명하는 바의 진정으로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사람으로의 교육이 실천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 실제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교육철학자와 교육과정학자, 그리고 각 교과 교육 전문가의 공동의 탐구가 필요하다. 즉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으로의 교육을 지향하는 가치로 설정하였을 때, 그것이 어떤 의미로서 개념화되는지 철학적 토대 위에서 합의가능한 정당성의 근거를 규명하고, 각 교과 학습의 구체적인 경험적 상황의 맥락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공동의 탐구가 필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강옥기 외(1997). 제7차 초·중·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 위원회.
곽병선 외(1996). 교육과정 2000 연구 개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구조안.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곽병선 외(1997).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의 교육적 인간상 및 교육 목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교육부(1994).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총론, 특별 활동-.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교육부(1997). 교육부고시 제1997-15호[별책 1] 초·중등 학교 교육 과정. 1997. 12. 30.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I) -총론, 특별 활동-.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재복 외(1996). 현행 교육과정의 분석·평가 연구 -제6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김재춘 외(2000). 예비·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1995).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1995. 5. 31. 제2차 대통령 보고서.
문교부(1955). 국민학교 교과과정.
문교부(1963). 국민학교 교육과정.
문교부(1973). 국민학교 교육과정.
문교부(1982). 중학교 새 교육과정 개요.
문교부(1988). 중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 해설
양은주·조경원(2000). 왜 창조적 인간인가?: 21세기 학교교육의 교육적 인간상에 대한 철학적 고찰. 2000년도 교육철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pp. 1-17). 서울: 교육철학회.
이귀윤(1996). 교육과정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이인제 외(1996).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정영근(1995). 인간과 교육의 이해. 서울: 문음사.
조경원 외(2000). 창조적 지식기반사회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실태조사. 교육과학연구 제31집 제2호(특별호).
한명희(1988). 교육과정 계획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연구. 교육학연구. 25(2). 115-136.
______(1990). 교육내용의 철학: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철학적 접근. 교육철학. 8. 46-57.
______(1993).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이유. 한명희 외(편), 국민학교 교육과정해설: 제6차 교육과정(pp. 3-34). 서울: 교육과학사.
홍후조(1999).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의 전환(1): 전면 개정형에서 점진 개선형으로. 교육과정연구. 17(2). 209-234.
Dewey, J.(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The later works vol. 13. Carbondale and Edwardsville: The Southern Illinois Univ. Press. 1-62.
______(1939). Theory of valuation. The later works vol. 13. Carbondale and Edwardsville: The Southern Illinois Univ. Press. 191-251.
Doll, Jr. W. E.(1988). Curriculum beyond stability: Schon, Prigogine, Piaget.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ses, ed. by W. F. Pinar(pp. 114-133). Scottsdale, AZ: Gorsuch Scarisbrick.
Pinar, W. F., Reynolds, W. M., Slattery, P., & Taubman, P. M. (1995). Understanding curriculum. New York: Peter Lang.

추천자료

  • 가격2,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2.0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