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와 쿠르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쿠르드족
2. 압둘라 오잘란과 테러리스트로 낙인 된 쿠르드족

Ⅱ. 본론 (터키내 쿠르드 분리운동)
1. 쿠르드족 분리운동의 역사
2. 터키내 쿠르드족 분리운동
1) 분쟁 배경
2) 분쟁 개요
3) 터키 내 쿠르드 분리운동의 배후
4) 터키내 쿠르드 분리운동의 시사점과 영향
5) 쿠르드족의 추후전망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의 "키프로스에서 처럼 평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강조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요. 20세기가 기름의 세기였다면 21세기는 물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나는 확신합니다."라는 말을 통해 우리는 왜 이 사건이 물과 연관된 문제인지를 바로 알 수 있다.
4) 터키내 쿠르드 분리운동의 시사점과 영향
중동지역에 있어서 쿠르드족 문제는 제2의 팔레스타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국가 없이 여기 저기 흩어져서 남의 나라에 거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의 처지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쿠르드족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아랍인으로서 광범한 민족적 유대감을 가지고 있고 아랍국가들의 지원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그들과 다른 외톨이 민족이다. 쿠르드족은 이슬람을 신봉하고 있으면서도 민족적 이질감 때문에 중동의 어느 국가로부터도 보호 내지는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하다. 더욱이 쿠르드족은 그 스스로 자신들이 거주하고 있는 국가에 동화되기보다 분리 독립을 추구하면서 조직적 무장 폭동과 테러에 나서고 있기 때문에 해당 국가들의 경계와 학살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쿠르드족은 국경을 넘어 외부에 지원세력과 거점을 가지고 있어 국제화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쿠르드족은 중동지역 정세의 최대 불안요인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쿠르드족 문제는 대규모의 인명 피해와 난민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유엔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인도주의적 지원을 크게 필요로 하고 있다. 한국 역시 쿠르드족 문제가 계속 악화될 경우 유엔의 인도주의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5) 쿠르드족의 추후전망
쿠르드족은 어느 한 국가 또는 지역에 거주하지 않고 여러 국가에서 집단적 난민촌을 형성하고 살고 있다. 특히, 이란과 터키 및 이라크에 집중 거주하고 있다. 그밖에 시리아 및 구 소련 아르메니아 등의 지역에도 거주하고 있다. 그들은 소수민족으로서 해당 국가에 동화되기보다 분리 독립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압제와 박해를 받아야 하는 처지이다. 일부 국가는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면 이를 쿠르드족 박해로서 완화시키려고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쿠르드족과 해당 국가는 근원적으로 대립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한 분쟁은 해결이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쿠르드족이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을 포기하고 해당 국가 내에 동화되어 살지 않는 한 분쟁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쿠르드족은 팔레스타인인들과는 달리 민족적으로나 종교적으로 중동지역 국가들의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도 그 문제가 내정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에 인도주의적 지원 외에는 달리 지원해 줄 방법이 없다. 또한 쿠르드족 문제는 여러 국가들이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풀기가 어렵다. 해당 국가들마다 정치적 상황과 쿠르드족에 대한 노선과 정책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쿠르드족 문제는 해결의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메대 사람 다리오 왕, 큰눈에 오똑한 코, 압둘라 외잘란, PKK, ... 이러한 모습들에서 우리는 쿠르드족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들의 지도자였던 외잘란이 잡히면서 유럽을 비롯한 전세계의 많은 쿠르드인들은 심하게 폭동을 일으켰고 많은 서구 언론은 쿠르드인 모두를 테러리스트며 잔인한 사람들로 묘사했었다. 있다. 며칠 전까지 쿠르드의 인권을 존중하라며 터키와 이라크를 비난하던 서구 각국은 손바닥을 뒤집어 버린 것이다. 하지만, 진짜 그들은 잔인한 자인가하는 의문이 든다. 우리나라도 일제 시대 때 독립을 위하여 일본군에게 테러도 하고 그들과 싸웠던 것처럼 오늘의 쿠르드인은 독립을 위하여 싸우고 있다. 하지만 다른 열강들은 그렇지가 못하다. 과연 그들은 비난을 들어 마땅한 자들인가라는 의문이 든다. 현재 쿠르드인들의 대부분은 가난하고 배우지 못하고 있다. 공장과 관광지가 없는 지역은 대부분 쿠르드인들이 사는 곳이다. 그들은 지금 아무 것도 할 일이 없다. 또한 그들은 정부를 불신임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지금 쿠르드인들의 상태이다. PKK를 따르는 쿠르드인들은 전체 인구의 20~25%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대부분의 쿠르드인들은 자기 민족이 인정받기를 원하고 있다. 터키에 사는 많은 수의 쿠르드인들은 자기들이 쿠르드인들이라는 것을 숨긴 채 지내고 살고 있다고 한다. 이런 현실 속에서 터키에는 많은 이들의 쿠르드인들이 살고 있다. 다만 드러내지 않을 뿐이다. 그들 중에 제 2, 제 3의 외잘란이 나올 것이라는 예상을 해본다. 쿠르드는 세계 2만 4,000 종족 중의 한 종족일 뿐이다. 하지만, 그들은 그들의 자유를 위해 외치고 있다. 과연 우리가 지금 그들에게 해 줄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보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장-노엘 로베르. 조성애 옮김, 2007, 「로마에서 중국까지」, 도서출판 이산
E. M. 번즈., R. 러너., S. 미첨., 박상익 옮김, 2005, 「서양 문명의 역사Ⅰ」, 소나무
뉴욕타임즈, 1999년 2월 28일 Week in Review p. 3
세계분쟁지역 Site, http://home.kida.re.kr/limdata/world/
터키내 쿠르드족 분리운동, http://home.kida.re.kr/cgi-win/bundet.exe/53
터키내 쿠르드족 분리운동 상세자료,
http://home.kida.re.kr/limdata/world/content/amc53.htm
쿠르드족이 땅을 원하는 곳에서 터키인들은 물을 원한다.
http://solo.chosun.com/jschoi/mideast/fi...and%20Turks.htm
쿠르드족, 그들은 왜 분노하는가, http://www.khan.co.kr/newsmaker/world/n312e01.htm
쿠르드족 Profile, http://my.netian.com/~jekim/profile.htm
쿠르드 약사, http://my.netian.com/~jekim/art03.htm
쿠르드족 개괄, http://my.netian.com/~jekim/art05.htm
김동근, 기독교사상 99년 4월호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2.12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