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타고난 성향에 따라 각각 자신에게 맞는 제 일을 하는 것이 ‘올바름’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사회에서 약자들은 불만족스러운 삶을 살지라도 대부분 표출을 하지 못한 채 웅크리면서 살아 갈 것이다.
또, 자신에게 맞는 제 일을 하는 것이 올바름이라면, 자신의 능력이 어찌되었든 자신이 태어난 신분에 맞는 제 일을 하고 자신의 능력을 죽이는 것이 과연 올바름이라고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노력하면 얻지 못할 것이 없다. 하지만 플라톤은 자신의 신분에서 벗어나서는 안되며 그것이 올바름이라고 이야기한다. 즉, 약자의 입장에서는 힘을 키우고, 자신들이 살아갈 수 있는 그리고 더욱 더 자신의 능력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올바름이라고 생각한다. 자기에게 맞는 역에만 종사하려 한다면, 이것은 올바름이 아니고 단지 소수의 강자가 자신들의 위치를 지키기 위해서 만들어낸 이론일 뿐이라고 본다. 플라톤은 이런 생각을 해서는 안된다고 이야기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정의란 모든 이에게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플라톤이 이야기한 전쟁의 정당성은 강자의 이익에서 본, 그들의 관점에서 본 정의라는 생각이 든다. 즉 플라톤은 올바름을 부르주아, 강자들의 주관적인 입장에서만 고려했을 뿐, 강자와 약자 모두 이해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입장에서의 올바름은 말하지 못하였다고 보여진다.
이제 현대 사회에서 기술은 더 이상 빼어 버릴 수 없는 무엇이 되었다. 그러므로 단순히 기술을 열광하거나 혐오하는 것은 불필요할 것이다. 다만 비판적인 대결이 남아 있을 뿐이다. 우리는 이를 위해서 플라톤의 철학이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믿는다.
또, 자신에게 맞는 제 일을 하는 것이 올바름이라면, 자신의 능력이 어찌되었든 자신이 태어난 신분에 맞는 제 일을 하고 자신의 능력을 죽이는 것이 과연 올바름이라고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노력하면 얻지 못할 것이 없다. 하지만 플라톤은 자신의 신분에서 벗어나서는 안되며 그것이 올바름이라고 이야기한다. 즉, 약자의 입장에서는 힘을 키우고, 자신들이 살아갈 수 있는 그리고 더욱 더 자신의 능력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올바름이라고 생각한다. 자기에게 맞는 역에만 종사하려 한다면, 이것은 올바름이 아니고 단지 소수의 강자가 자신들의 위치를 지키기 위해서 만들어낸 이론일 뿐이라고 본다. 플라톤은 이런 생각을 해서는 안된다고 이야기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정의란 모든 이에게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플라톤이 이야기한 전쟁의 정당성은 강자의 이익에서 본, 그들의 관점에서 본 정의라는 생각이 든다. 즉 플라톤은 올바름을 부르주아, 강자들의 주관적인 입장에서만 고려했을 뿐, 강자와 약자 모두 이해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입장에서의 올바름은 말하지 못하였다고 보여진다.
이제 현대 사회에서 기술은 더 이상 빼어 버릴 수 없는 무엇이 되었다. 그러므로 단순히 기술을 열광하거나 혐오하는 것은 불필요할 것이다. 다만 비판적인 대결이 남아 있을 뿐이다. 우리는 이를 위해서 플라톤의 철학이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믿는다.
추천자료
정치발전론의 태동과 정치발전의 3가지 패러다임 - 발전주의(근대화론), 저발전(종속이론, 세...
플라톤의국가론
플라톤의 이데아와 플라톤의 국가론
국가의 개념과 유형, 변화
[A+]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영역, 형성과정, 유형과 복지국가론
[교육사회학] 갈등이론, 경제적 재생산, 헤게모니, 저항이론, 제국주의론, 국가론
복지국가론(발표)
민족주의 역사학, 동북공정 이란 ,동북공정의 방향,민족주의 주관성,한국의 민족주의,서양의...
[노인장기요양제도 총정리 - 복지 국가론 보고서] 노인복지 : 노인장기요양제도에 대한 연구 ...
[복지국가론] 아동 복지 정책의 방향 - 아동복지와 현대사회의 아동문제 및 아동복지의 과제 ...
[복지국가론] 장애인 복지 정책의 모든 것 - 장애인 복지정책 분석, 장애인연금, 장애인 고용...
[복지국가론] 사회복지 민영화 논의 - 사회복지 민영화 개념, 사회복지 민영화 현황, 바우처 ...
(교육고전의이해) 교육고전의 이해 교재에 소개된 고전 중 1권을 선택하여 읽고, 독후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