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증일아함경』에서는 국왕이 지켜야 할 열 가지 윤리덕목에 대해여 십법 재물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신하의 충고를 받아들이고, 보시하기를 좋아하며, 법으로 재물을 거두고, 남의 여자를 탐하지 않으며, 술을 마셔 마음이 거칠거나 어지럽게 하지 않고, 희소를 하지 말 것이며, 법을 따라 다스리고, 신하들과 화목하여 다툼이 없으며, 국왕은 병이 없고 기력이 강성해야 한다.
이라고 하는데 불교도들은 국왕을 추앙하고 절대시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국왕에게도 십법과 같은 윤리적 실천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국왕의 지위를 보존하기에 필요한 열 가지 덕목이 제시되어 있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자면 이러한 덕목을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국왕은 그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국왕이 지켜야할 의무로 『대살차니건자소설경』에서 밝히듯이 다섯 가지의 임무 백성의 부모로 백성을 돌보며, 언제나 백성의 고락을 관찰하며, 공적 유무를 알아 상벌을 명확히 하며, 위엄과 힘으로 백성을 보호해야 한다.
가 있으며 범죄를 처리할 때에도 자비심을 잃지 말고 밝은 지혜에 의해 잘 판단하며 다섯 가지 방침 사실을 규명해 처단해야 하며, 범죄의 처벌에 때를 기다리지 말며,, 범행의 고의 유무를 잘 살펴 처벌해야 하며, 온화한 말씨로 범죄자의 죄를 자각하게 하며, 죄를 미워하되 사람을 미워말며 자비로운 마음을 바탕으로 죄를 뉘우치게끔 한다.
에 의해 처벌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국왕은 특히 관료와 공직자에 대한 관리를 잘해야 한다는 것을 경에서 설하고 있다. 초기불교에서 상정하는 이상적인 통치자상은 무엇보다도 전륜성왕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전륜성왕은 지도자로서의 자질과 능력, 덕성과 건강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 인간의 두 가지 욕구 즉 정신적 요구와 물질적 욕구를 조화롭게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전륜성왕은 백성들의 도덕성을 증대시키고 부의 평등분배를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주나라의 통치력이 약화되어 제후국들의 권력 다툼과 잦은 전쟁으로 혼란했던 춘추전국시대에 등장한 묵자의 사상은 유가와 쌍벽을 이룰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 사상이었다. 그러나 한나라 이후 묵자와 그의 사상은 철저히 외면당해야 했다. 그 이유는 묵자가 유가를 매우 강도 높게 비판했기 때문이었다. 묵자는 유가와 그 사상이 위선적이고 형식적이라는 이유로 비판을 서슴지 않았는데 특히 공자를 노골적으로 비판했다.
그런데 한나라 이후 오랜 세월동안 유가 사상이 중국 역대 왕조의 통치이념으로서 자리를 잡고 있어서 공자와 유가를 정면으로 비판한 묵자의 사상은 당연히 배척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 묵자의 사상은 중국 역사에서 약 2천 년간 빛을 보지 못하다가 중국의 근대 지식인들에 의해 새롭게 재조명 되면서 중요한 사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것은 묵자의 사상이 근대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묵자의 핵심사상은 신분이나 친분을 초월해서 모든 사람들을 두루 사랑하라는 겸애. 강대국의 침략전쟁을 반대하고 약소국들의 방어 전쟁을 옹호한 비공, 사회 지도층의 사치를 경계하고 검소한 장례 의식을 권장한 절용과 절장이다. 이러한 사상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 만연된 각종 이기주의 풍조와 비인간화 현상, 개발을 앞세운 환경파괴, 무절재하고 충동적인 소비문화, 자기 과시적이고 형식에 치우친 혼례와 상례 등을 생각하게 한다. 또한 지구촌 곳곳에서 아직도 그치지 않고 있는 민족 및 인종 간의 갈등, 약소국에 대한 강대국의 부당한 간섭과 횡포문제 등을 돌아보게 한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볼 때 묵자의 사상은 인간의 생명과 가치를 존중하며 인류애를 강조한 평화사상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라고 하는데 불교도들은 국왕을 추앙하고 절대시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국왕에게도 십법과 같은 윤리적 실천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국왕의 지위를 보존하기에 필요한 열 가지 덕목이 제시되어 있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자면 이러한 덕목을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국왕은 그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국왕이 지켜야할 의무로 『대살차니건자소설경』에서 밝히듯이 다섯 가지의 임무 백성의 부모로 백성을 돌보며, 언제나 백성의 고락을 관찰하며, 공적 유무를 알아 상벌을 명확히 하며, 위엄과 힘으로 백성을 보호해야 한다.
가 있으며 범죄를 처리할 때에도 자비심을 잃지 말고 밝은 지혜에 의해 잘 판단하며 다섯 가지 방침 사실을 규명해 처단해야 하며, 범죄의 처벌에 때를 기다리지 말며,, 범행의 고의 유무를 잘 살펴 처벌해야 하며, 온화한 말씨로 범죄자의 죄를 자각하게 하며, 죄를 미워하되 사람을 미워말며 자비로운 마음을 바탕으로 죄를 뉘우치게끔 한다.
에 의해 처벌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국왕은 특히 관료와 공직자에 대한 관리를 잘해야 한다는 것을 경에서 설하고 있다. 초기불교에서 상정하는 이상적인 통치자상은 무엇보다도 전륜성왕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전륜성왕은 지도자로서의 자질과 능력, 덕성과 건강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 인간의 두 가지 욕구 즉 정신적 요구와 물질적 욕구를 조화롭게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전륜성왕은 백성들의 도덕성을 증대시키고 부의 평등분배를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주나라의 통치력이 약화되어 제후국들의 권력 다툼과 잦은 전쟁으로 혼란했던 춘추전국시대에 등장한 묵자의 사상은 유가와 쌍벽을 이룰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 사상이었다. 그러나 한나라 이후 묵자와 그의 사상은 철저히 외면당해야 했다. 그 이유는 묵자가 유가를 매우 강도 높게 비판했기 때문이었다. 묵자는 유가와 그 사상이 위선적이고 형식적이라는 이유로 비판을 서슴지 않았는데 특히 공자를 노골적으로 비판했다.
그런데 한나라 이후 오랜 세월동안 유가 사상이 중국 역대 왕조의 통치이념으로서 자리를 잡고 있어서 공자와 유가를 정면으로 비판한 묵자의 사상은 당연히 배척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 묵자의 사상은 중국 역사에서 약 2천 년간 빛을 보지 못하다가 중국의 근대 지식인들에 의해 새롭게 재조명 되면서 중요한 사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것은 묵자의 사상이 근대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묵자의 핵심사상은 신분이나 친분을 초월해서 모든 사람들을 두루 사랑하라는 겸애. 강대국의 침략전쟁을 반대하고 약소국들의 방어 전쟁을 옹호한 비공, 사회 지도층의 사치를 경계하고 검소한 장례 의식을 권장한 절용과 절장이다. 이러한 사상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 만연된 각종 이기주의 풍조와 비인간화 현상, 개발을 앞세운 환경파괴, 무절재하고 충동적인 소비문화, 자기 과시적이고 형식에 치우친 혼례와 상례 등을 생각하게 한다. 또한 지구촌 곳곳에서 아직도 그치지 않고 있는 민족 및 인종 간의 갈등, 약소국에 대한 강대국의 부당한 간섭과 횡포문제 등을 돌아보게 한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볼 때 묵자의 사상은 인간의 생명과 가치를 존중하며 인류애를 강조한 평화사상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추천자료
동서양 문화 비교(동양문화와 서양문화의 차이점)
[우수 독후감] 동양 철학 에세이
[자연관][동서고금]동서고금의 다양한 자연관 분석(동양의 자연관, 장자의 자연관, 도가의 자...
[환경, 환경문제] 동양사상과 환경문제
기독교적 입장에서 본 동양사상
황금율의 기원과 정의을 설명하고, 유사한 동양의 사상과 비교한 후 황금율의 전제조건에 대...
환경 문제 해결에 대해 동양적 철학관이 주는 시사점
황금율의 정의와 기원을 설명하고 유사한 동양의 사상과 비교한 후 황금율의 전제조건에 대한...
[인간관계론] 황금률(황금율)의 정의와 기원을 설명하고 유사한 동양의 사상과 비교한 후 황...
[독서감상문,독후감] 동양 철학 에세이 _ 김교빈 & 이한구
교육철학 정리 - 임용고시 대비 {교육철학,피터스와 허스트,동양 교육철학,진보주의,본질주의...
[한국전통문화] 죽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이해 - 동양과 서양, 종교(이슬람교, 기독교...
현대 성인병에 있어서 새로운 대안 동양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