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 한 번 놀란다.
55
앤 공주는 예정에 없던 앞줄의 모든 기자들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눈다. 어빙과 인사를 하고 어빙은 앤에게 로마방문 기념사진이라며 사진을 건네준다. 사진 속은 자신이 비밀요원을 기타로 때렸던 사진이었고 앤 공주는 고맙다고 인사한다. 조와의 인사. 형식적인 자기소개와 만나서 반갑다는 인사로 지나간다.
56
앤 공주는 무대로 올라가자 기자들의 박수소리가 이어지고 환하게 웃으면서 기자들을 바라본 후 조에게도 환하게 웃어주며 서로를 쳐다본다.
57
공주의 퇴장으로 기자들도 전부 흩어진다.
58
조는 앤이 떠나간 자리를 끝까지 지켜보며 자리를 쉽게 뜨지 못하지만 이내 기자회견장을 천천히 걸어 나오며 한 번 더 기자회견장을 바라본 후 자리를 뜬다.
59
엔딩
엔딩크레딧
구성점 찾기
제 1구성점 (#17)
- 조가 자신의 집에서 자고 있는 사람이 평범한 여자가 아니라 앤 공주라는 것을 알게 되 는 장면.
제 2구성점 (#48)
- 앤 공주를 데려다 주는 차 안에서 가고 싶지 않지만 가야하는 신분의 앤 공주와 보내고 싶지 않은 조가 둘이 함께 있고 싶어도 어쩔 수 없이 헤어져야 하는 장면.
클라이막스 (#53)
- 기자회견 장에서 조가 기자라는 것을 알게 되고, 어느 나라가 가장 좋았냐는 기자의 질문 에 조의 눈을 쳐다보며 "로마를 기억하겠어요. 살아있는 한 이곳의 방문을 기억 하겠 어요" 라고 말하는 장면.
감상평
이 영화는 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영화관에서 본 영화이기 때문에 가장 기억에 남는다. 어렸을 때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랐는데, 그 때 엄마가 대학생이셨는데 조만한 고전영화 극장에서 이 영화가 상영을 한다고 보러 가자고 하시면서 엄마가 수업을 땡땡이 치면서(?)까지 보러 간 영화다. 로마의 휴일은 엄마가 처음으로 본 영화라고 하셨고, 이 영화가 니가 처음으로 기억하게 될 영화였으면 좋겠다고 하셨던 것이 기억이 난다. 그 때 화면 속에서 본 오드리 헵번은 내가 가지고 놀던 인형과 같이 너무 예뻤고, 그레고리 펙은 어렸을 때도 결혼하고 싶다(?)라고 생각할 만큼 너무 멋진 아저씨였다. 그래서 두 사람이 서로 좋아하지만 어쩔 수 없이 헤어져야하는 장면에서는 내가 애인과 헤어지는 것 같이 아쉬워서 가슴이 아팠다. 영화를 보고 너무 머릿속에 남았기 때문에 이태리 로마에 오드리 헵번과 그레고리 펙이 다녔던 모든 곳에 가보고 스페인 광장에서 젤라토를 사먹고 베네치아 광장에서 베스파를 타보는 등 똑같이 따라해 봤다. 원래부터 영화 보는 것을 즐기고 특히 고전영화를 좋아해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티파니에서 아침을, 사브리나, 카사블랑카, 시민케인, 모던타임즈 , 대부, 사랑은 비를 타고 등 많은 영화를 봤다. 그래도 나에게는 공주 같은 오드리 헵번이 나오고 이국적인 이태리의 로마의 매력이 화면에 모두 담아져 있는 로마의 휴일이 가장 기억에 남기 때문에 이번 신 분석 과제에서도 망설임 없이 이 영화를 선택했다.
로마의 휴일은 그 당시(1953년) 상업성의 영화였기에 영화 자체에 깊은 의미나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다. 물론 그 당시로서는 획기적이고 대단한 시도들이었을 것이고, 그 전에도 있었겠지만 계층 차이가 있음에도 펼쳐지는 로맨스는 최고의 흥미 요소다.
하지만 이 영화가 아직까지 사랑받고 기억되며 다시 보아지며 찬사 받는 이유는, 바로 배우들에게 있는 것 같다. 배우들의 연기는 과장(약간의 과장이 있다면 영화적 과장인 수준이다. 어떻게 보면 그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개성적인 과장인 정도)이 없다. 너무 자연스럽고 당연한 듯한 연기는 확실히 그 작품과 캐릭터에 빠져들게 만들어 버렸다. 누가 뭐래도 오드리 헵번과 그레고리 펙은 최고의 배우니까.
55
앤 공주는 예정에 없던 앞줄의 모든 기자들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눈다. 어빙과 인사를 하고 어빙은 앤에게 로마방문 기념사진이라며 사진을 건네준다. 사진 속은 자신이 비밀요원을 기타로 때렸던 사진이었고 앤 공주는 고맙다고 인사한다. 조와의 인사. 형식적인 자기소개와 만나서 반갑다는 인사로 지나간다.
56
앤 공주는 무대로 올라가자 기자들의 박수소리가 이어지고 환하게 웃으면서 기자들을 바라본 후 조에게도 환하게 웃어주며 서로를 쳐다본다.
57
공주의 퇴장으로 기자들도 전부 흩어진다.
58
조는 앤이 떠나간 자리를 끝까지 지켜보며 자리를 쉽게 뜨지 못하지만 이내 기자회견장을 천천히 걸어 나오며 한 번 더 기자회견장을 바라본 후 자리를 뜬다.
59
엔딩
엔딩크레딧
구성점 찾기
제 1구성점 (#17)
- 조가 자신의 집에서 자고 있는 사람이 평범한 여자가 아니라 앤 공주라는 것을 알게 되 는 장면.
제 2구성점 (#48)
- 앤 공주를 데려다 주는 차 안에서 가고 싶지 않지만 가야하는 신분의 앤 공주와 보내고 싶지 않은 조가 둘이 함께 있고 싶어도 어쩔 수 없이 헤어져야 하는 장면.
클라이막스 (#53)
- 기자회견 장에서 조가 기자라는 것을 알게 되고, 어느 나라가 가장 좋았냐는 기자의 질문 에 조의 눈을 쳐다보며 "로마를 기억하겠어요. 살아있는 한 이곳의 방문을 기억 하겠 어요" 라고 말하는 장면.
감상평
이 영화는 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영화관에서 본 영화이기 때문에 가장 기억에 남는다. 어렸을 때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랐는데, 그 때 엄마가 대학생이셨는데 조만한 고전영화 극장에서 이 영화가 상영을 한다고 보러 가자고 하시면서 엄마가 수업을 땡땡이 치면서(?)까지 보러 간 영화다. 로마의 휴일은 엄마가 처음으로 본 영화라고 하셨고, 이 영화가 니가 처음으로 기억하게 될 영화였으면 좋겠다고 하셨던 것이 기억이 난다. 그 때 화면 속에서 본 오드리 헵번은 내가 가지고 놀던 인형과 같이 너무 예뻤고, 그레고리 펙은 어렸을 때도 결혼하고 싶다(?)라고 생각할 만큼 너무 멋진 아저씨였다. 그래서 두 사람이 서로 좋아하지만 어쩔 수 없이 헤어져야하는 장면에서는 내가 애인과 헤어지는 것 같이 아쉬워서 가슴이 아팠다. 영화를 보고 너무 머릿속에 남았기 때문에 이태리 로마에 오드리 헵번과 그레고리 펙이 다녔던 모든 곳에 가보고 스페인 광장에서 젤라토를 사먹고 베네치아 광장에서 베스파를 타보는 등 똑같이 따라해 봤다. 원래부터 영화 보는 것을 즐기고 특히 고전영화를 좋아해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티파니에서 아침을, 사브리나, 카사블랑카, 시민케인, 모던타임즈 , 대부, 사랑은 비를 타고 등 많은 영화를 봤다. 그래도 나에게는 공주 같은 오드리 헵번이 나오고 이국적인 이태리의 로마의 매력이 화면에 모두 담아져 있는 로마의 휴일이 가장 기억에 남기 때문에 이번 신 분석 과제에서도 망설임 없이 이 영화를 선택했다.
로마의 휴일은 그 당시(1953년) 상업성의 영화였기에 영화 자체에 깊은 의미나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다. 물론 그 당시로서는 획기적이고 대단한 시도들이었을 것이고, 그 전에도 있었겠지만 계층 차이가 있음에도 펼쳐지는 로맨스는 최고의 흥미 요소다.
하지만 이 영화가 아직까지 사랑받고 기억되며 다시 보아지며 찬사 받는 이유는, 바로 배우들에게 있는 것 같다. 배우들의 연기는 과장(약간의 과장이 있다면 영화적 과장인 수준이다. 어떻게 보면 그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개성적인 과장인 정도)이 없다. 너무 자연스럽고 당연한 듯한 연기는 확실히 그 작품과 캐릭터에 빠져들게 만들어 버렸다. 누가 뭐래도 오드리 헵번과 그레고리 펙은 최고의 배우니까.
추천자료
[연극 감상문 및 작품분석] 신의 아그네스
영화 [타짜]와 만화[타짜]의 스토리 텔링 구조 분석,성공적인 향유의 예
[성과 사랑] 영화 '가족의 탄생' - 그들은 왜 결합했으며, 여기서 나타나는 성과사랑은 어떤...
[영화] '트루먼 쇼(The Truman Show)' 시퀀스 분석과 감상
가족의 문제가 나타나는 영화나 드라마를 한 편 선택, 극 중 대상 가족을 복지적으로 접근하...
영상 예술의 이해 - 영화 클래식 [The Classic, 2003] 분석
(최신A+) 혹성탈출(Dawn of the Planet of the Apes) 시리즈 영화감상문[혹성탈출[진화의시작...
영화나 문학 작품 속에 삽입된 음악 한 편을 감상하고 감상기를 쓰시오. 감상기에는 그 음악...
[다문화교육론 공통] 다문화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다문화주의적 준거’를 기반으로, 주변의...
농심 기업분석 신(辛)라면 (기업 선정동기, 경제분석, 산업분석, 기업분석).pptx
[영화연출론] 『굿 윌 헌팅(Good Will Hunting) 1997』 플롯 분석
[조직행동론] BIG5 성격이론을 설명하고 그에 대한 사례를 2011-2013년까지 개봉한 국내영화...
성격이론과 평가,고전적 정신분석 이론,신 프로이트 학파 이론,Freud의 의식의 빙산 모델
(현대중국입문 공통)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5일의 마중>을 보고 중국 현대사의 소용돌이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