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장르
‧ 감독
‧ 배우
‧ 줄거리
‧ 인물간의 관계
‧ 씬분석
‧ 감독
‧ 배우
‧ 줄거리
‧ 인물간의 관계
‧ 씬분석
본문내용
히로코씨에게 잘 지내셨어요? 저는 늘 그대로 지내고 있습니다. 그건 그렇고 오늘 굉장한 일이 있었어요.
#70
후이지(남)이 이츠키(여)를 좋아했었다는 것이 드러남.
집 대문
안녕하셨어요? - 무슨 일이야? -재미있는 걸 발견해서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뒤요! 뒤를 보세요. (도서카드 뒤에 자신의 어릴 때 모습이 연필로 스케치되어있다)
(울 듯 말듯 감동한 후지이 이츠키의 얼굴)
# 와타나베 히로코씨에게
아무래 이 편지는 가슴이 아파서 보내지 못하겠습니다.
씬분석
영화에 대한 해석
- 후지이 이츠키, 동명이인으로 만들게한 의미 : 후지이(남)의 애인인 히로코가 시간을 뛰어넘어 이츠키(여)에게 후지이의 숨겼던 마음을 찾을 수 있게 해주는 가교 역할, 모든 사건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
- 이츠키가 항상 달고 사는 감기의 의미 : 후지이를 기억해 내는 계기, 아버지와 이어진 매개체.
- 죽은 잠자리 : 하마구치 선생님을 만나고 오는 길에 얼은 잠자리를 보는 장면에서도 아버지의 죽음이 이츠키(남)의 죽음과 연결되어, 아버지를 잃은 상실감과 조난당해 죽은 이츠키의 존재가 확인된다.
- 이츠키(남)이 마지막에 불렀다던 노래 : 그 노래는 이츠키가 매우 싫어했던 노래인데, 마지막에 그 노래를 불렀다는 것은 이츠키의 죽음을 의미한다, 첫사랑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담은 노래.
- 책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의 의미 : 서로 좋아하는 것을 모른 체 지나가 잊고 지내왔던 두 사람의 잃어버린 시간을 의미하는 것 같다.
- “이 편지는 가슴이 아파서 보내지 못하겠습니다.” : 영화의 표면상에는 이츠키(여)가 후지이(남)를 좋아하는 장면이 나오지 않지만, 사실 좋아했던 것 같다. 이제야 그 사실을 알게 된 이츠키(여)의 마음이 드러난다.
영화의 의미
편지를 통해 잃어버린 시간들을 찾아가고, 한 남자에 대한 추억을 공유하며 각자의 상처를 치유해 가는 두 여자의 이야기
구성점
<1장>
히로코는 죽은 후지이 이츠키의 집에 갔다가 우연히 졸업앨범에서 이츠키의 주소를 발견하고 적어 간다. 그 주소로 편지를 보내게 되고 이츠키란 사람에게서 답장이 온다. 계속해서 그 낯선 사람과 편지를 주고받는다. 이츠키(여)의 집을 찾아 가게 되고 히로코는 이츠키를 우연히 본다. 그녀가 자신과 매우 닮은 사람임을 알게 되고 이츠키가 동명이인임을 알게 된다.
<2장>
히로코에게 후이지 이츠키와 학창시절 같이 다녔던 학교를 찍어달라는 부탁을 받고 학교에 갔다가 도서관에서 선생님과 후배들을 만나 죽은 후지이 이츠키(남)가 빌렸던 책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3장>
아키바와 히로코는 후지이 이츠키가 죽었던 산으로 올라가고, 이츠키(여)는 앓아 눕는다.
“잘 지내고 있나요 저는 잘 지내고 있어요” 히로코와 이츠키(여)가 다른 장소에서 똑같은 말을 반복한다. (클라이막스 - 히로코에서 이츠키로 가슴앓이가 전이되는 과정)
<4장>
이츠키(여)의 집에 찾아온 학교 후배들은 그녀가 그려진 독서카드를 내민다. 히로코에게 편지를 쓰지만 보내지 못한다.
#70
후이지(남)이 이츠키(여)를 좋아했었다는 것이 드러남.
집 대문
안녕하셨어요? - 무슨 일이야? -재미있는 걸 발견해서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뒤요! 뒤를 보세요. (도서카드 뒤에 자신의 어릴 때 모습이 연필로 스케치되어있다)
(울 듯 말듯 감동한 후지이 이츠키의 얼굴)
# 와타나베 히로코씨에게
아무래 이 편지는 가슴이 아파서 보내지 못하겠습니다.
씬분석
영화에 대한 해석
- 후지이 이츠키, 동명이인으로 만들게한 의미 : 후지이(남)의 애인인 히로코가 시간을 뛰어넘어 이츠키(여)에게 후지이의 숨겼던 마음을 찾을 수 있게 해주는 가교 역할, 모든 사건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
- 이츠키가 항상 달고 사는 감기의 의미 : 후지이를 기억해 내는 계기, 아버지와 이어진 매개체.
- 죽은 잠자리 : 하마구치 선생님을 만나고 오는 길에 얼은 잠자리를 보는 장면에서도 아버지의 죽음이 이츠키(남)의 죽음과 연결되어, 아버지를 잃은 상실감과 조난당해 죽은 이츠키의 존재가 확인된다.
- 이츠키(남)이 마지막에 불렀다던 노래 : 그 노래는 이츠키가 매우 싫어했던 노래인데, 마지막에 그 노래를 불렀다는 것은 이츠키의 죽음을 의미한다, 첫사랑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담은 노래.
- 책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의 의미 : 서로 좋아하는 것을 모른 체 지나가 잊고 지내왔던 두 사람의 잃어버린 시간을 의미하는 것 같다.
- “이 편지는 가슴이 아파서 보내지 못하겠습니다.” : 영화의 표면상에는 이츠키(여)가 후지이(남)를 좋아하는 장면이 나오지 않지만, 사실 좋아했던 것 같다. 이제야 그 사실을 알게 된 이츠키(여)의 마음이 드러난다.
영화의 의미
편지를 통해 잃어버린 시간들을 찾아가고, 한 남자에 대한 추억을 공유하며 각자의 상처를 치유해 가는 두 여자의 이야기
구성점
<1장>
히로코는 죽은 후지이 이츠키의 집에 갔다가 우연히 졸업앨범에서 이츠키의 주소를 발견하고 적어 간다. 그 주소로 편지를 보내게 되고 이츠키란 사람에게서 답장이 온다. 계속해서 그 낯선 사람과 편지를 주고받는다. 이츠키(여)의 집을 찾아 가게 되고 히로코는 이츠키를 우연히 본다. 그녀가 자신과 매우 닮은 사람임을 알게 되고 이츠키가 동명이인임을 알게 된다.
<2장>
히로코에게 후이지 이츠키와 학창시절 같이 다녔던 학교를 찍어달라는 부탁을 받고 학교에 갔다가 도서관에서 선생님과 후배들을 만나 죽은 후지이 이츠키(남)가 빌렸던 책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3장>
아키바와 히로코는 후지이 이츠키가 죽었던 산으로 올라가고, 이츠키(여)는 앓아 눕는다.
“잘 지내고 있나요 저는 잘 지내고 있어요” 히로코와 이츠키(여)가 다른 장소에서 똑같은 말을 반복한다. (클라이막스 - 히로코에서 이츠키로 가슴앓이가 전이되는 과정)
<4장>
이츠키(여)의 집에 찾아온 학교 후배들은 그녀가 그려진 독서카드를 내민다. 히로코에게 편지를 쓰지만 보내지 못한다.
추천자료
[영화분석] 친구 - 태생적인 한계와 그에 대한 콤플렉스
[영화분석] 박하사탕을 보고
[영화분석감상] 프랑켄슈타인 - 여자도 인간인가?
[영화분석감상문] 물랑루즈 - 물랑루즈의 다이아몬드는 누구의 것인가?
[영화분석감상] 델마와 루이스를 통해서 본 <가부장제 사회에 대한 도전>
[영화분석 감상문] <와호장룡>과 <다찌마와 Lee> - 오마주 혹은 새로운 의미로의 도전
[영화분석 감상문] 존 말코비치 되기
[영화분석감상문] 아메리칸 뷰티(American Beauty) - 나의 뷰티(Beauty)- 나에게 충실하기
[영화분석감상] 책상 서랍 속의 동화 (웨이의 휘거 찾기 --잃어버린 고리를 찾아서)
[영화분석감상] Dolores Claiborne - 남성 중심적 사회에서 악녀의 탈벗기
[영화작품분석 감상문] 아멜리에 - 자신만의 행복 찾기
[영화작품분석감상문] 올모스트 훼이모스 - 음악을 사랑하여 그들도 사랑했다
[영화분석 감상문] 길버트 그레이프
[영화분석감상문] 레옹 - 몸만 커버린 소년과 조숙한 소녀의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