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살모넬라증이란?
*) 살모넬라증의 개요
(1) 균의 특징
(2) 발병사례
(3) 감염원 및 질병의 특징
*) 동물에 따른 살모넬라 감염증 - 소, 돼지에 대하여 자세히 분석
*) 살모넬라증의 개요
(1) 균의 특징
(2) 발병사례
(3) 감염원 및 질병의 특징
*) 동물에 따른 살모넬라 감염증 - 소, 돼지에 대하여 자세히 분석
본문내용
S. typhisuis의 경우 연한 핑크색을 나타내지만 대분분의 살모넬라의 경우 빨간색의 집락을 형성한다. 한편 이후의 동정과정에서, Salmonella균은 TSI(triple sugar iron)agar에서 red slant, yellow butt, 황화수소 생성의 반응을 보이지만 S. choleraesuis는 황화수소를 생성하지 않으며, S.typhisuis는 황화수소의 생성이 가변적이다. 그리고 Lysine decarboxylation 반응에서는 거의 모든 Salmonella균이 양성반응을 나타내지만 S. typhisuis는 음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분변 내에서의 균 배양과정은 믿을만 하지 못한데, 이는 균을 분변에서 분리하기 어려우며, 자주 균이 장간막 임파절에 존재는 하지만 장관 내에는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살모넬라균으로 의심되는 집락은 여러 가지 양성혈청을 이용하여 동정될 수 있다.
한편으로 최근 덴마크 등 유럽국가에서는 혈청학적 진단법으로 주요 살모넬라 원인균에 대한 특이 LPS항원을 이용한 Mix-LPS ELISA법을 도축장을 연계· 적용하여 농장에 대한 살모넬라 감염여부의 스크린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4. 치료 및 예방대책
본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균돈과 오염된 사료가 중요한 전염원이기때문에 사료위생이 중요하며 스트레스, 영양결핍, 합병증 등이 발병원인이 됨으로 철저한 위생적 사양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겨울철의 보온과 여름철의 통풍, 환기, 설사변 등 분뇨의 신속한 제거, 정기적인 축사소독, 이환축의 신속한 격리 등을 통해서 본병을 효과적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분변 내에서의 균 배양과정은 믿을만 하지 못한데, 이는 균을 분변에서 분리하기 어려우며, 자주 균이 장간막 임파절에 존재는 하지만 장관 내에는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살모넬라균으로 의심되는 집락은 여러 가지 양성혈청을 이용하여 동정될 수 있다.
한편으로 최근 덴마크 등 유럽국가에서는 혈청학적 진단법으로 주요 살모넬라 원인균에 대한 특이 LPS항원을 이용한 Mix-LPS ELISA법을 도축장을 연계· 적용하여 농장에 대한 살모넬라 감염여부의 스크린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4. 치료 및 예방대책
본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균돈과 오염된 사료가 중요한 전염원이기때문에 사료위생이 중요하며 스트레스, 영양결핍, 합병증 등이 발병원인이 됨으로 철저한 위생적 사양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겨울철의 보온과 여름철의 통풍, 환기, 설사변 등 분뇨의 신속한 제거, 정기적인 축사소독, 이환축의 신속한 격리 등을 통해서 본병을 효과적 예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