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food poisoning)의 종류와 원인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중독 (food poisoning)의 종류와 원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식중독(food poisoning)

☞ 식중독의 분류

Ⅰ. 세균성 식중독

Ⅱ. 자연독 식중독

Ⅲ. 화학성 식중독

본문내용

일으켜 일주일간 이내에 사망한다. 독성에는 계절적소장이 보이며 1∼4월에 높고, 6∼11월은 무독이다.
9. 고둥의 독
중독증상은 섭식하여 3∼18시간 후에 시력감퇴, 동공산대, 구갈, 복부팽창, 변비, 혈압강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수일간 계속한다. 독력에는 계절적 소장이 있어 7∼10월에 현저하게 상승한다.
무독의 조개를 독화해역으로 옮기면 약 50일간에 독화하고, 반대로 유독고둥을 수조에서 사육하면 약 1개월 후에는 무독화된다.
10. 전복의 독
이른봄의 전복의 내장을 다식하면 중독된다. 식후 1∼2일로 안면이나 손끝에 발적, 부음, 동통 등이 나타난다. 전치하는 데 20일 정도가 걸리는 일이 있다.
이 독은 전복, 떡조개, 소라 외에 야채잎의 소금절임에도 존재한다.
조개가 독화되고 있을 때에는 중장선의 색이 농록흑색으로 변화하고 있다. 유독기간은 2∼5월의 이른 봄뿐이다.
Ⅲ. 화학성 식중독
유해, 유독물질은,
① 식품의 제조, 가공 또는 보존과정에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하여 첨가 또는 혼입 되는 경우
② 식품의 제조 가공 과정에 우연히 혼입 되는 경우
③ 기구, 용기, 포장재료의 소재가 용출되어서 식품으로 이행되는 경우
④ 식품의 제조, 가공, 보존 과정 중에 생성되는 경우
⑤ 환경오염물질로서 식품에 잔류하는 경우
화학성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1. 유해착색료
1) auramine
염기성의 황색 타르색소로 많은 양을 섭취하면 20∼30분 후에 두통, 심계항진, 맥박감소, 의식불명 등을 일으킨다. 또한 간장에 대한 발암성도 의심되고 있다.
2) rhodamin B
핑크색의 염기성 타르색소로 많이 섭취하면 온몸의 착색, 핑크색 오줌의 배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3) p-nitroaniline
황색의 유용성 합성착색료로 섭취한지 10∼30분 후에 두통, 심계항진, 황색 오줌의 배설 등이 나타난다.
4) silk scarlet
등적색의 수용성 타르색소로 중독되면 구토, 두통, 복통, 오한,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합성착색료명
유해성
ponceau R
성장억제, 간선종, 신변성
ponceau 3R
간장해, 간암
ponceau SX
부신 구상대의 위축
orange I
신장출혈
orange SS
간, 심장장해
oil red XO
성장저하, 간, 비장, 심장장해
oil yellow AB
성장억제, 빈혈, 피하부종, 간, 심장장해
oil yellow OB
성장억제, 약한 발암성
naphthol yellow S
결장, 맹장의 궤양, 신장장해
guinea green B
빈혈, 간장해, 간종양
<표> 식품첨가물에서 삭제된 합성착색료
2. 유해보존료
1) 붕산
붕산은 방부효과가 비교적 좋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경향이 잇고 오랜 기간 섭취하면 체내에 축적하여 각 장기에 장해를 일으키며 소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식욕감퇴, 소화불량 등을 일으킨다. 1∼3g을 섭취하면 중독을 일으키며 구토, 설사, 위통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치사량은 성인이 8∼17g, 소아는 5∼6g이다.
2) 포름알데하이드
방부력이 강해서 5만배의 희석농도(0.002%)에서도 세균의 발육을 억제한다. 중독되면 두통, 현기증, 호흡곤란 등을 일으키고 소화관을 해친다.
3. 유해표백제
1) rongalit
수용액을 가열하면 강력한 환원력을 나타내며, 식품에 사용하면 아황산과 포름알데하이드가 잔류하여 독성을 나타낸다.
2) 과산화수소
500ppm 정도에서 인후통, 메스꺼움 등의 증상을 보인다.
3) 아황산염
많이 섭취하면 구토, 설사, 발열 등의 중독증상이 나타난다.
4. 유해감미료
1) dulcin
단맛이 설탕의 250배이나 중독되면 두통, 구토, 손, 발의 마비, 간기능 저하 등의 증상을 나타난다.
2) p-nitro-o-toluidine
설탕의 200배의 단맛이 있다. 중독증상은 섭취한지 2∼3일 후에 위통, 식욕부진, 메스꺼움, 권태, 미열, 황달 등을 일으키고 혼수상태에 빠져 사망한다.
3) perillartine
설탕의 2,000배나 되는 감미를 가진다. 독성이 강하여 불안정하기 때문에 입안에서 침에 의하여 알데하이드로 분해되고 체내에 흡수되면 간장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5. 금속
1) 주석
통조림관 내면에 도금한 것이 과일이나 채소 등의 주스 중으로 용출하여 식중독을 일으킨다. 증상은 섭취후 30∼1시간에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을 나타내며 성인의 중독량은 0.1∼0.3g이다.
2) 아연
산성인 음료에 의하여 용기에서 다량의 아연이 용출되어 식중독을 일으킨다.
중독량은 체중 1kg 당 400∼500mg이며 증상은 식후 20∼4시간 정도에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두통, 경련, 권태감 등을 나타낸다.
3) 구리
구리제 기구나 용기가 물이나 탄산에 의하여 부식되어 생긴 유독물질인 녹청에 의하여 식중독을 일으킨다. 중독량은 3∼10g이며 증상은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인후 작렬감, 두통, 발한, 경련 등이고 다량 섭취하면 사망한다.
4) 카드뮴
기구나 용기에 도금된 것이 용출되어서 중독을 일으킨다. 증상은 섭취한지 30∼2시간 후에 메스꺼움, 구토, 오한, 두통, 복통, 설사 등을 나타낸다.
6. 기타
1) methyl alcohol
중독증상은 두통, 현기증, 구토, 설사 외에 시신경장해를 일으켜 실명하는 수가 있다. 중증인 때에는 마취상태에 빠지고 호흡마비, 심장쇠약 등을 거쳐 사망한다. 만성중독되면 두통, 흉통, 신경통 등을 나타낸다.
2) 비소화합물
비소화합물을 살포한 농작물을 잘 씻지 않고 식용하여 중독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배설이 아주 느리기 때문에 간장이나 신장에 축적되어 만성중독이 되는 수도 있다.
3) DDT
섭취한지 20∼30분 후에 두통, 구토, 복통, 설사, 현기증 등에 이어 피부나 입술이 저리고 손발의 마비와 경련 ,시력감퇴, 권태 등을 일으키고 심하면 혼수상태에 빠져 사망하게 된다.
7. 예방법
화학성 식중독의 예방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식품의 제조, 가공업자 등의 올바른 위생지식의 향상, 위생관리의 철저 및 식품위생법의 준수 등이다.
일반가정에서도 유해물질의 보관장소를 일정한 곳에 정하고 유해물질의 오용을 금지한다.

키워드

식중독,   세균,   독성,   food,   posining,   포이즌,   식품,   음식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12.16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