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1930년대 소설의 전반적 특성
1) 모더니즘 소설
2) 가족사 소설
Ⅲ. 결론
<참고문헌>
Ⅱ. 1930년대 소설의 전반적 특성
1) 모더니즘 소설
2) 가족사 소설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에 대한 경외감과 부친에 대한 동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가 조부 조의관의 전통적인 가치관과 허세에도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고, 부친인 조상훈의 현실과 괴리된 태도에도 부정적이라는 점에서 그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덕기는 이 소설에서 가장 온유한 인물로 이 성격으로 인해 그는 모든 인물과 관계를 맞고 그들과 대화를 이끌어 갈 수 있고 그들과 공존할 수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위의 책, P.200
Ⅲ. 결론
지금까지 1930년대 소설의 전반적인 특성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나타난 모더니즘적 특징, 그리고 가족사 소설로 대표되는 염상섭의「삼대」에 대해 알아보았다. 짧은 지면에 1930대의 소설을 모두 고찰한다는 것은 불가능했지만 구보씨의 눈을 통해 소외된 지식인의 모습과 물질에 가치를 두는 모습으로 변하가는 세상에 대한 아쉬움을 볼 수 있었고 조의관의 구시대적인 모습, 조병화의 개화기에 적응하지 못한 패배한 인물의 모습, 그리고 그것을 아우르는 조덕기의 모습에서 단편적이나마 당시 우리시대의 고뇌를 읽을 수 있었다. 비록 1937년 중일 전쟁이 일어나면서 우리나라는 더욱 문학을 하기 어려운 시기가 되었지만 이 시기의 소설은 우리나라 소설의 역사에 있어서 분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도였음을 가벼이 여길 수는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염상섭, 「삼대」, 문학과지성사, 2005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학과지성사, 200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2005
김종균, 「염상섭 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9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1
Ⅲ. 결론
지금까지 1930년대 소설의 전반적인 특성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나타난 모더니즘적 특징, 그리고 가족사 소설로 대표되는 염상섭의「삼대」에 대해 알아보았다. 짧은 지면에 1930대의 소설을 모두 고찰한다는 것은 불가능했지만 구보씨의 눈을 통해 소외된 지식인의 모습과 물질에 가치를 두는 모습으로 변하가는 세상에 대한 아쉬움을 볼 수 있었고 조의관의 구시대적인 모습, 조병화의 개화기에 적응하지 못한 패배한 인물의 모습, 그리고 그것을 아우르는 조덕기의 모습에서 단편적이나마 당시 우리시대의 고뇌를 읽을 수 있었다. 비록 1937년 중일 전쟁이 일어나면서 우리나라는 더욱 문학을 하기 어려운 시기가 되었지만 이 시기의 소설은 우리나라 소설의 역사에 있어서 분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도였음을 가벼이 여길 수는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염상섭, 「삼대」, 문학과지성사, 2005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학과지성사, 200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2005
김종균, 「염상섭 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9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1
추천자료
주홍글씨 속에 나타난 페미니즘과 소설의 분석
흐르는 세계사속의 1930년대 한국 소설사
[국문학개론] 국문학사 - 1960년대 소설에 대해서
◈ 박태원의 ‘소설가(小說家) 구보 씨(仇甫氏)의 일일’ 분석하기
한국 근대문학의 기점과 조벽암 소설의 공간설정 양상 및 작가의식
[문예사조] 아이디얼리즘 소설의 구조와 특성
모던보이 박태원- 소설가 구보와 작가 구보
(국문학연습)북한문학사에서 가정소설의 위상과 <장화홍련전>의 가치에 대한 평가에 대하여 서술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감상 및 논평
상허 이태준 연구 - 소설 패강랭을 중심으로
생태주의적 특성이 나타나는 시와 소설 연구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공간 연구
(방송대)이태준 소설의 특징과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식민지 시대의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