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공무도하가
2.제망매가
3.찬기파랑가
4.도이장가
5.망부석 설화
2.제망매가
3.찬기파랑가
4.도이장가
5.망부석 설화
본문내용
받고, 결국은 불태워 죽임을 당하였다. 그의 아내가 자녀를 데리고 치술령에 올라가 일본을 바라보며 박제상을 기다리다가 돌이 되었다. 뒤에 사람들은 그녀를 치술령의 신모(神母)로 모시고, 이를 소재로 지은 노래가 \'치술령곡\'이다.
- 감상 -
남편의 죽음 앞에 멈춰버린 아내의 가슴 아픈 이야기이다. ‘선 채로 돌이 된다’는 표현을 통해서 남편의 죽음을 인정할 수 없고, 여기 계속 서 있을테니 돌아와야만 한다는 강한 의지를 볼 수 있다. 죽음 앞에서도 하나도 두렵지 않은 그런 강한 사랑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망부석설화의 죽음도 앞의 공무도하가의 죽음과 같이 이별하지만 영원히 사랑할 것이라는 느낌을 받게 한다.
- 결론 -
몇 편의 작품에서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죽음은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과 동시에 영원한 만남을 주기도 했고, 높은 이에 대한 자신의 충성심 표현의 매개체도 되었으며, 더 높은 위상을 갖게 하는 것도 되었다. 죽음의 문제는 단순히 죽는 일로 쉽게 해석해버릴 수 도 있지만, 그 안에 담겨진 수많은 사연과 깊은 의미들은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존경하는 이를 위해 바치는 충성의 죽음, 사랑하는 이와의 영원한 사랑을 위한 죽음 등 그 모든 죽음은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문학을 통해 비춰진 죽음을 우리의 삶에서도 분명히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사람 사는 곳 어디에나 삶과 죽음은 존재한다. 죽음은 문학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과 관계된 모든 곳에서 문제가 될 것이다.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한국고전문학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어문학부 031063
박전옥
- 감상 -
남편의 죽음 앞에 멈춰버린 아내의 가슴 아픈 이야기이다. ‘선 채로 돌이 된다’는 표현을 통해서 남편의 죽음을 인정할 수 없고, 여기 계속 서 있을테니 돌아와야만 한다는 강한 의지를 볼 수 있다. 죽음 앞에서도 하나도 두렵지 않은 그런 강한 사랑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망부석설화의 죽음도 앞의 공무도하가의 죽음과 같이 이별하지만 영원히 사랑할 것이라는 느낌을 받게 한다.
- 결론 -
몇 편의 작품에서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죽음은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과 동시에 영원한 만남을 주기도 했고, 높은 이에 대한 자신의 충성심 표현의 매개체도 되었으며, 더 높은 위상을 갖게 하는 것도 되었다. 죽음의 문제는 단순히 죽는 일로 쉽게 해석해버릴 수 도 있지만, 그 안에 담겨진 수많은 사연과 깊은 의미들은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존경하는 이를 위해 바치는 충성의 죽음, 사랑하는 이와의 영원한 사랑을 위한 죽음 등 그 모든 죽음은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문학을 통해 비춰진 죽음을 우리의 삶에서도 분명히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사람 사는 곳 어디에나 삶과 죽음은 존재한다. 죽음은 문학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과 관계된 모든 곳에서 문제가 될 것이다.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한국고전문학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어문학부 031063
박전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