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이장가(悼二將歌)
...仍賜御製四韻一絶 短歌二章
詩曰
見二功臣像 濫有所恩 公山踪寂寞 平壤事留遺
忠義明千古 死生惟一時 爲君蹈白刀 從此保王基
歌曰
主乙完乎白乎心聞際天乙及昆魂是去賜矣中三烏賜敎職麻又欲望彌阿里刺及彼可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려온 자료에 이미 두 수라고 밝혀져 있었기 때문에 그대로 옮겼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우(又)’자를 통하여 도이장가의 형식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즉 ‘우(又)’는 일반적으로 한시에서 연시(聯詩)를 나누는데 쓰는데, 이 ‘우(又)’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이장가」와 같은 향가의 잔존 형태가 사라지면서, 유교적 문학관의 대두와 함께 재도론(載道論)이 등장하여 내용 중심의 문학 작품이 높은 평가를 받는 경향이 확산되었다.
④ 형식을 중시하고 표현을 정교하게 다듬는 창작 경향을 중시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4.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2. 칭찬여래가 4
3. 광수공덕가 6
4. 참회업장가 7
5. 수희공덕가 8
6. 청전법륜가 9
7. 청불주세가 11
8. 상수학불가 12
9. 항순중생가 13
10. 보개회향가 14
11. 총결무진가 15
Ⅲ. 「도이장가」 16
< 참고 문헌 > 19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3.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일신라 제망매가(향가), 통일신라 처용가(향가), 고려 처용가(향가), 고려 도이장가(향가), 고려 보개회향가(향가), 고려 총결무진가(향가) 분석
Ⅰ. 통일신라 제망매가(향가)
1. 제망매가의 원문과 해독
2. 제망매가의 작품이해
Ⅱ. 통일신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