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현십원가」 2
1. 예경제불가 3
2. 칭찬여래가 4
3. 광수공덕가 6
4. 참회업장가 7
5. 수희공덕가 8
6. 청전법륜가 9
7. 청불주세가 11
8. 상수학불가 12
9. 항순중생가 13
10. 보개회향가 14
11. 총결무진가 15
Ⅲ. 「도이장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3.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문과학연구』 9, 서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최철, 「향가 형식에 대하여 : 三句六名의 재고」, 『동방학지』 36·37,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3.
한영환, 균여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돈암어문학 1, 돈암어문학회, 1988. Ⅰ. 서론
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현십원가》 덕분에 향가는 고려시대까지 생명을 이었을 뿐 아니라 깊은 이치를 갖춘 철학시의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 그러나 고독한 시인이 세상과 부딪치면서 느끼는 갈등을 승화시킨 순순한 서정의 모습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가의 소멸시기를 추정하였고, 결론적으로 향가와 형식은 비슷하나 한역된 작품들은 향찰로 지어졌다가 한역될 가능성이 크다고 결론 내렸다.
고려시대 향가계열의 작품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은 균여의 <보현십원가> 이후 향찰로 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가
신라시대의 향가는 고려 초기까지 그 명맥이 유지 ·계승되었다.
특히 신라 말기에서 고려 광종(光宗) 때까지 생존한 고승(高僧) 균여(均如)가 불교의 정토사상(淨土思想)을 읊은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는 오늘날까지 전해지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1.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