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로크의 삶
1. 시대적 배경
2. 로크의 생애 (John Locke, 1632-1704)
Ⅱ. 로크의 사상
1. 인식론 - 직관․경험, 그 경험의 반성
2. 윤리학
3. 정치학 - 사회계약설
Ⅲ. 교육사상 및 교육내용
1. 교육사상
가. 덕육론 - 예의, 절재와 극기를 통한 정신훈련
나. 체육론 - 건강, 습관형성
다. 지육론 - 교육방법, 내용
2. 교육방법
가. 개인의 자발성 강조
나. 개별화된 교육방법 - 개인차 인정
다. 체벌 반대
라. 부모교육 강조
마. 학교교육과 가정교육(가정교사)의 병행
바. 노동학교 안 - 교육의 책무성을 인식
Ⅳ. 시사점
1. 시대적 배경
2. 로크의 생애 (John Locke, 1632-1704)
Ⅱ. 로크의 사상
1. 인식론 - 직관․경험, 그 경험의 반성
2. 윤리학
3. 정치학 - 사회계약설
Ⅲ. 교육사상 및 교육내용
1. 교육사상
가. 덕육론 - 예의, 절재와 극기를 통한 정신훈련
나. 체육론 - 건강, 습관형성
다. 지육론 - 교육방법, 내용
2. 교육방법
가. 개인의 자발성 강조
나. 개별화된 교육방법 - 개인차 인정
다. 체벌 반대
라. 부모교육 강조
마. 학교교육과 가정교육(가정교사)의 병행
바. 노동학교 안 - 교육의 책무성을 인식
Ⅳ. 시사점
본문내용
로 엮어진 것이다. 『서양교육사』, 집문당, 김경희 외1, p-256
1. 교육사상
가. 덕육론 - 예의, 절재와 극기를 통한 정신훈련
로크는 “교육에서 습득되어야 할 성취하기 힘들고 가치가 충만한 목표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바로 진정한 예절이다. 그 밖의 다른 지식들과 고려들은 모두 이 예절에 자리를 양보하여야 하며, 우선순위에서 밀려나야 마땅하다. 예절은 간단없이 계속되어야하며 아주 본질적인 선행이다.”라고 말할 정도도 덕육을 강조하였다. 건전한 정신이란 의지의 도야에 중점을 두고 이치에 맞게 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욕망억제와 이성에 따른 행동훈련을 통해 키울 수 있다고 보았다. 절제와 극기를 통한 정신훈련과 백지상태(tabula rasa)에 형성될 이상적 인격을 중시 했다.
나. 체육론 - 건강, 습관형성
‘훌쩍한 키에 호리호리한 다소 연약한 골격의 소유자’ 『로크』, 한길사, 우도 틸, p-27
라고 묘사할 정도로 로크의 건강은 좋지 못했다. 더구나 그이 동생인 토머스가 1637년에 태어났고 26세의 나이로 죽었던 것은 로크가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한 계기가 되었다.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a sound mind in a sound body)라는 표어와 ’몸이 마음의 명령에 복종하고 그것을 실행하도록 몸을 튼튼하고 힘차게’ 가꾸어야 한다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신체 단련을 강조했다. 겨울에도 얇은 옷을 입도록 하는 것, 냉수마찰법, 활동적인 의복의 필요성, 소박한 식사에 독한 술은 금하는 내용, 운동과 숙면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 약을 가급적 피하고 자연에 맡기는 것, 신선한 공기와 머리와 발을 차게 하라는 구체적 방법은 신체단련의 중요성을 명시했다.
다. 지육론 - 교육방법, 내용
로크는 지식교육은 탐구심과 지적욕구를 기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교육내용은 모국어로 읽기와 쓰기 등 기본적인 내용을 익힌 이후에 외국어를 가르치도록 하였다. 언어교육의 강조는 그가 웨스트민스터 퍼브릭 스쿨(Westerminster Public School)과 옥스퍼드(Oxford)대학에서 수학하던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 나아가 미술지리학수학기하학역사학천문학자연철학의학수사학논리학철학무용음악 등을 두루 익혀야 하며, 그리고 승마운동수공오락취미여행 등과 같은 실제적 학과목을 부과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범지적 학습은 신사(GentleMan) 양성에 필요하며 실용적인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한데 있다. 신사에게는 미덕(virtue), 지혜(wisdom), 예의(breeding) 등을 꼽았다.
2. 교육방법
가. 개인의 자발성 강조
로트의 『오성론』을 보면, 로크는 ‘생득권’으로서 개인의 자유의지를 강조했다. 인간을 자유로운 존재로 간주하면서 인간 자연연의 권리인 ‘의지의 자유(freedomin willing)를 통한 합리적인 사고와 행위를 존중하였다. “인간은 자유와 이성을 행할 수 있는 존재인 것이며, 우리는 합리적인 존재인 동시에 자유로운 존재로 태어나는 것이다”(Locke,1966b:308)「존 로크의 자유-개인주의 교육관」, 교
1. 교육사상
가. 덕육론 - 예의, 절재와 극기를 통한 정신훈련
로크는 “교육에서 습득되어야 할 성취하기 힘들고 가치가 충만한 목표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바로 진정한 예절이다. 그 밖의 다른 지식들과 고려들은 모두 이 예절에 자리를 양보하여야 하며, 우선순위에서 밀려나야 마땅하다. 예절은 간단없이 계속되어야하며 아주 본질적인 선행이다.”라고 말할 정도도 덕육을 강조하였다. 건전한 정신이란 의지의 도야에 중점을 두고 이치에 맞게 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욕망억제와 이성에 따른 행동훈련을 통해 키울 수 있다고 보았다. 절제와 극기를 통한 정신훈련과 백지상태(tabula rasa)에 형성될 이상적 인격을 중시 했다.
나. 체육론 - 건강, 습관형성
‘훌쩍한 키에 호리호리한 다소 연약한 골격의 소유자’ 『로크』, 한길사, 우도 틸, p-27
라고 묘사할 정도로 로크의 건강은 좋지 못했다. 더구나 그이 동생인 토머스가 1637년에 태어났고 26세의 나이로 죽었던 것은 로크가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한 계기가 되었다.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a sound mind in a sound body)라는 표어와 ’몸이 마음의 명령에 복종하고 그것을 실행하도록 몸을 튼튼하고 힘차게’ 가꾸어야 한다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신체 단련을 강조했다. 겨울에도 얇은 옷을 입도록 하는 것, 냉수마찰법, 활동적인 의복의 필요성, 소박한 식사에 독한 술은 금하는 내용, 운동과 숙면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 약을 가급적 피하고 자연에 맡기는 것, 신선한 공기와 머리와 발을 차게 하라는 구체적 방법은 신체단련의 중요성을 명시했다.
다. 지육론 - 교육방법, 내용
로크는 지식교육은 탐구심과 지적욕구를 기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교육내용은 모국어로 읽기와 쓰기 등 기본적인 내용을 익힌 이후에 외국어를 가르치도록 하였다. 언어교육의 강조는 그가 웨스트민스터 퍼브릭 스쿨(Westerminster Public School)과 옥스퍼드(Oxford)대학에서 수학하던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 나아가 미술지리학수학기하학역사학천문학자연철학의학수사학논리학철학무용음악 등을 두루 익혀야 하며, 그리고 승마운동수공오락취미여행 등과 같은 실제적 학과목을 부과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범지적 학습은 신사(GentleMan) 양성에 필요하며 실용적인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한데 있다. 신사에게는 미덕(virtue), 지혜(wisdom), 예의(breeding) 등을 꼽았다.
2. 교육방법
가. 개인의 자발성 강조
로트의 『오성론』을 보면, 로크는 ‘생득권’으로서 개인의 자유의지를 강조했다. 인간을 자유로운 존재로 간주하면서 인간 자연연의 권리인 ‘의지의 자유(freedomin willing)를 통한 합리적인 사고와 행위를 존중하였다. “인간은 자유와 이성을 행할 수 있는 존재인 것이며, 우리는 합리적인 존재인 동시에 자유로운 존재로 태어나는 것이다”(Locke,1966b:308)「존 로크의 자유-개인주의 교육관」, 교
추천자료
도산 안창호 선생의 교육사상과 현 교육과의 비교 고찰
[교육학개론]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F. Froebel의 교육사상과 유치원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이 현대교육에 주는 실천적 의미 연구
신라인의 화랑정신과 화랑도 교육사상의 교육사적 의의
존 듀이의 교육사상과 특징 및 교육사적 의의 (2007년 최신 레포트)
[교육학]루소의 계몽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고찰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의 강조점 및 아동중심교육사상
<교육철학>진보주의와 본질주의 교육사상 개념정리,비교 및 평가
[페스탈로치]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과 교육이론
프뢰벨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론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과 현대교육에 주는 시사점
계몽주의 교육과 루소의 교육사상
17C 실학주의와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적용 (실학주의 등장배경·특징·유형, 감각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