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로크의 삶
1. 시대적 배경
2. 로크의 생애 (John Locke, 1632-1704)
Ⅱ. 로크의 사상
1. 인식론 - 직관․경험, 그 경험의 반성
2. 윤리학
3. 정치학 - 사회계약설
Ⅲ. 교육사상 및 교육내용
1. 교육사상
가. 덕육론 - 예의, 절재와 극기를 통한 정신훈련
나. 체육론 - 건강, 습관형성
다. 지육론 - 교육방법, 내용
2. 교육방법
가. 개인의 자발성 강조
나. 개별화된 교육방법 - 개인차 인정
다. 체벌 반대
라. 부모교육 강조
마. 학교교육과 가정교육(가정교사)의 병행
바. 노동학교 안 - 교육의 책무성을 인식
Ⅳ. 시사점
1. 시대적 배경
2. 로크의 생애 (John Locke, 1632-1704)
Ⅱ. 로크의 사상
1. 인식론 - 직관․경험, 그 경험의 반성
2. 윤리학
3. 정치학 - 사회계약설
Ⅲ. 교육사상 및 교육내용
1. 교육사상
가. 덕육론 - 예의, 절재와 극기를 통한 정신훈련
나. 체육론 - 건강, 습관형성
다. 지육론 - 교육방법, 내용
2. 교육방법
가. 개인의 자발성 강조
나. 개별화된 교육방법 - 개인차 인정
다. 체벌 반대
라. 부모교육 강조
마. 학교교육과 가정교육(가정교사)의 병행
바. 노동학교 안 - 교육의 책무성을 인식
Ⅳ. 시사점
본문내용
추천자료
도산 안창호 선생의 교육사상과 현 교육과의 비교 고찰
[교육학개론]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F. Froebel의 교육사상과 유치원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이 현대교육에 주는 실천적 의미 연구
신라인의 화랑정신과 화랑도 교육사상의 교육사적 의의
존 듀이의 교육사상과 특징 및 교육사적 의의 (2007년 최신 레포트)
[교육학]루소의 계몽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고찰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의 강조점 및 아동중심교육사상
<교육철학>진보주의와 본질주의 교육사상 개념정리,비교 및 평가
[페스탈로치]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과 교육이론
프뢰벨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론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과 현대교육에 주는 시사점
계몽주의 교육과 루소의 교육사상
17C 실학주의와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적용 (실학주의 등장배경·특징·유형, 감각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