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시험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민간보유현금 + 요구불 예금(결제성 예금)
광의의 통화(M2) = M1+정기예금+금융상훔+거주자 외화 예금
27. 통화량의 조절
: 공개 시장 조작(궁공채 팔거나, 통화량 조절)
지불 준비율 조정(통화량을 묶어둠), 재할인율 조절(시중은행의 금리조절)
28. 신용 승수와 통화 승수
- 지불 준비율이 낮아야 돈이 파생되 돌 수 있음.
- 통화 승수 m= M/B
29. 화폐 공급량의 결정
: 화폐 공급량은 중앙 은행이 결정하며, 이자율과 무관하게 수직선임/ 은행이 통화량을 늘리면 화폐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30.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설 :
: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설에서 화폐를 보유하는 이유 3가지
1) 화폐를 유동성 높은 자산으로 간주 2)채권은 수익성 높지만 유동성 낮은 자산으로 인식 3 )채권 가격은 이자율과 반비례 함
31. 케인즈의 화폐 수요 동기 :
1) 거래적 동기 2) 예비적 동기 3) 투기적 동기
32. 화폐 수요 곡선 :
- 우하향함 / MD=P*L(Y.r)
- 이자율이 높으면 화폐수요는 적음
- 이자율이 낮으면 화폐 수요는 급격히 증가
-소득이나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수요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
33. 화폐의장기 중립성
확장적 통화 정책을 취하면 이자율이 하락하고 이것은 투자와 소비를 증대시켜 단기적으로는 경기 팽창의 효과가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화폐의 수요가 증가하여 이자율이 상승하고 투자와 소비가 감소하면 결국 물가만 상승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옴
34. 확장적인 금융정책의 경기 부양 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위한 조건 3가지 이상
35. 확장적 재정 정책
확장적 재정 정책은 P와 Y를 증가시킴
(화폐수요 증가-이자율 상승-투자 감소(CROWDING OUT)
장기적으로는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총공급 곡선이 촤측이동 : 물가만 상승하고 생산소득은 제자리로 가고, 이자율은 더 상승O
재정 정책의 경우 물가도 더 오르고, 이자율도 오르고 투자율과 소비지출은 떨어지므로 정부가 재정 정책으로 통화량을 조정하면 모든 것에 영향을 주므로 중립적이지 못하다.
36. 필립스 곡선 :
영국의 학자 필립스가 발견한 것으로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 사이의 상충 관계를 발견 : 인플레이션 발생시 실업률 떨어짐
- 단기 필립스 곡선 : 단기적 경기 변동은 총수요의 변화에 기인하므로, 필립스 곡선이 단기적인 현상임을 말함
37.자연실업률 가설: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은 무관하다.
장기 필립스 곡선은 자연실업률 상태에서 수직이다
38. 합리적 기대 가설
:로버트 루카스가 주장
사람들이 합리적이라 미래 물가 상승을 예측할 때 모든 정보를 이용하므로, 물가의 체계적 오차는 없을것임 / 따라서 필립스 곡선은 단기에도 곡선임
39. 정책 시차 :
정부 정책의 내용을 적용시키기에는 시점상의 차이가 너무 많이 나므로 정부의 미세 조정 효과는 없다는 것을 나타냄
40.. 정책 무력성 정리 :
총수요 곡선을 아무리 움직여도 실업률과 물가는 결국 그대로가 되므로, 정부는 정책을 실현하지 말고, 신뢰성있고 일관성있는 정책만 펼치라 주장함
41. 0% 인플레이션 논쟁
찬성: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비용 심각하고 인플레이션 억제는 단기적 고통만 가져옴.단기 고통이후 물가 안정됨
반대 : 0%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과다 비용 발생 / 총 수요 자극을 통한 약간의 물가 상승은 실업을 해소함 /
42. 메뉴비용과 구두창 비용
메뉴 비용 : 기업이 상품 가격을 함부로 움직이면, 경쟁 업체에 시장을 빼앗김
구두창 비용 : 저축은 안하고 물건만 사두는 비용을 말함. 물건 거래를 위해 비용만 가지고 있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들을 말함
43. PPP (구매력 평가설)
동일한 재화는 어떤 통화로 표시되든, 동일한 가격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44. 이자율 형평설
양국간의 금리차와 환율의 변화율은 동일하여야 한다.
45. 실질 환율 : 명목 환율 * 상대국 물가 수준 /한국의 물가 수준
47. 변동 환율제도 및 고정 환율제도에서 확장적인 재정 정책의 효과와 확장적인 금융정책의 효과를 비교
(변동 환율 제도에서는 확장적인 금융정책은 폐쇄 경제에서 효과가 크고, 변동환률재도에서의 확장적인 재정 정책은 폐쇄 경제에서 정책 효과가 적다
-고정환율제도에서의 확장적 금융정책은 폐쇄 경제에서 정책 효과가 적고, 확장적 재정 정책은 폐쇄 경제에서 정책 효과가 크다.)
30. 부분지급준비제도
부분지급준비제도란, 시중 은행이 고객의 예금을 예치할 때 반드시 은행에 준비해 두어야 할 돈

키워드

경제,   거시,   피셔,   필립스,   케인즈,   통화,   화폐,   경기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03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