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통일신라의 불교 수용의 의미
↳신라 후기의 불교계의 변화
↱당나라의 서예
↱통일신라의 서예
-당의 서예가 신라의 서예에 미친 영향
↳신라 후기의 불교계의 변화
↱당나라의 서예
↱통일신라의 서예
-당의 서예가 신라의 서예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로 꼽을 수 있는 김생(金生)은 당시 서적으로 남은 것이 없다. 고려 초 기에 와서 그의 글씨를 집각(集刻)한 낭공대사비(朗空大師碑)가 김생의 글씨로 유일한 금석인데, 그의 서법의 전형은 왕희지에서 나왔다 할 것이나, 왕의 글씨는 온화한데 비하여 김생은 그 전서가 유동미(流動美)와 여율감(旅律感)이 생동하는 변화를 여러모로 살려서 한 획을 긋는 데에도 굴곡과 거세(巨細)를 달리하였다. 또한 자의 결구(結構)에 있어서도 상호조응(相互照應), 음양향배(陰陽向背)의 묘를 마음껏 섭취하는 등 그의 천재적 예술성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정말 신품의 세계를 독점하고 있다. 김생의 글씨는 낭공비 이외에 법첩으로 전하는 전유(田遊), 엄산가서(嚴山家序), 당시첩(唐詩帖) 등이 전한다.
말기의 최치원(崔致遠)은 시문(詩文)에서 뿐 아니라 글씨에 있어서도 한 시기를 대표하는 명가(名家)이다. 그의 자선자서(自選自書)인 진감선사비(眞鑑禪師碑)는 구양순(歐陽詢)의 아들인 구양통(歐陽通)의 도인법사비(道因法師碑)와 비슷한 신품이다.
통일신라시대는 비록 고려시대에 비하여 양적으로 미치지 못할지라도 격에 있어서는 단연 우리 서예사상 결정에 달한 시기라 할 수 있겠다. 참고자료 : [연세대학교 서우회 동아리]
자획(字劃)과 결구(結構):한자의 자형을 구성하는 점(點)과 획(畵). 뜻을 같이하는 사람 들끼리 결탁(結託)하여 당여(黨與)를 만들거나, 그 당여를 가리킴
낭공대사비(朗空大師碑):서울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에 있는 비.
진감선사비(眞鑑禪師碑):최치원(崔致遠:857~?)이 비문을 지은 진감선사 혜소(彗昭: 774~850)의 비.
말기의 최치원(崔致遠)은 시문(詩文)에서 뿐 아니라 글씨에 있어서도 한 시기를 대표하는 명가(名家)이다. 그의 자선자서(自選自書)인 진감선사비(眞鑑禪師碑)는 구양순(歐陽詢)의 아들인 구양통(歐陽通)의 도인법사비(道因法師碑)와 비슷한 신품이다.
통일신라시대는 비록 고려시대에 비하여 양적으로 미치지 못할지라도 격에 있어서는 단연 우리 서예사상 결정에 달한 시기라 할 수 있겠다. 참고자료 : [연세대학교 서우회 동아리]
자획(字劃)과 결구(結構):한자의 자형을 구성하는 점(點)과 획(畵). 뜻을 같이하는 사람 들끼리 결탁(結託)하여 당여(黨與)를 만들거나, 그 당여를 가리킴
낭공대사비(朗空大師碑):서울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에 있는 비.
진감선사비(眞鑑禪師碑):최치원(崔致遠:857~?)이 비문을 지은 진감선사 혜소(彗昭: 774~850)의 비.
추천자료
신라의 아미타사상
고대의 불교사상
신라의 삼국통일의 일등공신 김유신과 김춘추☆
고대의 불교사상
신라와 발해 관계의 재조명
원효(元曉)사상과 불교의 통일관
'신라초' '동천'등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샤머니즘, 유교, 노장사상 등에서 불교로 이어지...
<신라초> , <동천>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 샤머니즘 , 유교 , 노장사상 등에서 불교로 ...
신라시대의 효는 어떻게 불교와 유교사이에서 공존했을까
[신라][신라시대][미술][불탑][제철산업][백제][해상활동]신라(신라시대)의 미술, 신라(신라...
신라 말 불교계의 변화와 선종
[고구려시대 회화미술][백제시대 회화미술][신라시대 회화미술][조선시대 회화미술][회화미술...
[신라승려] 자장(慈藏)의 생애와 사상
지방세력과 종교 [신라하대 종교계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