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경마의 발생배경과 현 상황
◆ 경마의 도박성
◆ 도박성이 나타난 원인
◆ 도박인가? 레져인가?
◆ 장외경마장의 심각성
◆ 경마의 개선방향
◆ 결론
◆ 경마의 도박성
◆ 도박성이 나타난 원인
◆ 도박인가? 레져인가?
◆ 장외경마장의 심각성
◆ 경마의 개선방향
◆ 결론
본문내용
중독성을 보였다. 3.4%는 중증 경마중독자로 나타났다. 하루 입장객 15만 명중 무려 1만5,000명이 중독성을 갖고 경마를 하고 있다는 뜻이다. 마사회가 운영하고 있는 경마중독 상담실 유캔센터를 찾은 B씨(37)는 “모든 것이 종착역 같다. 희망이 없다”며 자살 충동을 털어놓기도 했다. 집 근처에 있는 경마장에 우연히 들렀다가 10억 원을 탕진한 B씨는 “나이와 부채는 늘고 미혼이고 집도 없고 쓸데없는 사람”이라고 절망했다. 대한민국 사회가 경마 중독에 노출되어 있다. 경마·경륜·경정을 비롯 합법적인 도박이 많은 사람들을 경마중독의 위험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반면 국가가 공인한 도박으로 인한 폐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사회적 장치는 빈약한 것이 현실이다.
경마 중독은 특별한 사람에게 찾아오는 불청객이 아니다. B씨처럼 초보자들이 경주를 맞추다보면 “이렇게 몰라도 따는데 연구하면 돈을 벌게 될 수 있을 것 같다” “잘만 하면 하루 일당을 벌수 있겠다”는 환상에 빠져든다. 그러나 경마를 할수록 돈을 잃게 될 수밖에 없고 본전 생각이 나면서 베팅액수가 점점 커진다. 경마 중독에 빠져 들어가는 단계다.
돈과 시간을 모두 잃고 나면 이제는 결국 “큰 것 하나를 터트리는 길 밖에 없다”는 절박한 심정에 사로잡히게 된다. 경마를 자기 의지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금단현상도 이때 겪게 된다. 도박을 하지 않으면 불안, 초조하며 신경질이 나지면 경마장 근처에 가면 이 같은 증상이 사라지고 안정을 되찾는다.
지난해 유캔센터를 찾은 경마중독 상담자는 모두 398명. 99년의 77명에 비하면 5배가 넘게 급증했다. 그러나 이는 스스로 경마 중독을 인정하고 찾아온 숫자가 이정도 이지 실제 치료를 요하는 수많은 중증 중독자는 아직도 음지에서 고통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경마 중독은 알코올중독이나 마약중독처럼 신체적인 증상이나 정신병적인 증상이 명백히 드러나지 않고 겉으로는 온전해 보인다. 때문에 가족들조차 심리적 경제적 파탄을 겪고나 서야 심각성을 깨닫게 된다.
일단 경마중독에 빠져들면 자기의지로 끊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강제 치료와 가족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독기간이 길수록 인격적으로 황폐해지고 사회복귀도 어려워진다. 한국 마사회는 경마 중독자 치료를 위한 유캔센터를 분당(080-815-1190)과 용산(080-342-0200)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단 도박은 친목모임과 같은 단체에 가입해 스스로의 의지를 키우는 것도 필요하다.
유캔센터 정호송 소장은 “경마는 도박과 레저의 이중성이 있는 만큼 레저로 즐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스스로 중독에서 헤어나기 어려울 경우 유캔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결론
중독이 뭔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중독은 그것을 하기 위해서 사는데 그것이 그 사람에게 해가 되는 것을 말한다. 중독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그것이 사람을 살아가는데 에너지를 준다는 점이다. 심지어는 담배나 마약류도 마찬가지이다. 게임이나 도박도 승리와 패배에서 오는 긴장과 이완이 엔돌핀이나 아드레날린 등을 분비시킨다. 우리는 뇌가 시키는 대로 움직인다. 그런데 의지와 다르게 뇌가 시킬까? 이게 중독을 이해하는 핵심이다. 판단과 욕구가 갈등되는 상황에서 욕구가 판단을 지배하는 것이다. 심지어는 욕구가 판단을 지배해서 변명하고 합리화하기까지 하다. 최초에 할일은 판단이 욕구의 지배 하에서 독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내가 왜 이러고 살지? 이런 생각이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담배 절대로 못 끊는 사람은 "담배에도 좋은 점이 있다"느니 "담배 피는 사람 중에도 건강한 사람이 있다"느니 하며 담배 피는 것을 합리화하는 사람이다. 최초의 단계는 내가 중독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내 의지만으로는 안 되는구나 라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두 번째로 할 일은 중독에 빠진 그것(경마)을 미워해야 한다. 세 번째는 선순환을 만드는 것이다. 중독이 싫으면서도 그것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것이 유일한 기쁨이기 때문이다. 중독은 단순한 욕구가 아니다. 생활 자체를 그것 외에는 행복을 줄 수 없는 구조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진짜 담배에 중독된 사람은 고민을 풀기위해서 담배를 피는 것이 아니라 담배를 피기위해서 (자신도 모르게) 고민 꺼리를 만든다. 경마에 중독되었다면 경마 외에는 어떤 것도 즐거움을 줄 수 없는 구조로 스스로가 자신의 생활구조를 바꾸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정상적인 삶을 살고 싶어도 결국은 경마 속으로 들어갈 수밖에 는 것이다.
경마 중독은 특별한 사람에게 찾아오는 불청객이 아니다. B씨처럼 초보자들이 경주를 맞추다보면 “이렇게 몰라도 따는데 연구하면 돈을 벌게 될 수 있을 것 같다” “잘만 하면 하루 일당을 벌수 있겠다”는 환상에 빠져든다. 그러나 경마를 할수록 돈을 잃게 될 수밖에 없고 본전 생각이 나면서 베팅액수가 점점 커진다. 경마 중독에 빠져 들어가는 단계다.
돈과 시간을 모두 잃고 나면 이제는 결국 “큰 것 하나를 터트리는 길 밖에 없다”는 절박한 심정에 사로잡히게 된다. 경마를 자기 의지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금단현상도 이때 겪게 된다. 도박을 하지 않으면 불안, 초조하며 신경질이 나지면 경마장 근처에 가면 이 같은 증상이 사라지고 안정을 되찾는다.
지난해 유캔센터를 찾은 경마중독 상담자는 모두 398명. 99년의 77명에 비하면 5배가 넘게 급증했다. 그러나 이는 스스로 경마 중독을 인정하고 찾아온 숫자가 이정도 이지 실제 치료를 요하는 수많은 중증 중독자는 아직도 음지에서 고통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경마 중독은 알코올중독이나 마약중독처럼 신체적인 증상이나 정신병적인 증상이 명백히 드러나지 않고 겉으로는 온전해 보인다. 때문에 가족들조차 심리적 경제적 파탄을 겪고나 서야 심각성을 깨닫게 된다.
일단 경마중독에 빠져들면 자기의지로 끊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강제 치료와 가족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독기간이 길수록 인격적으로 황폐해지고 사회복귀도 어려워진다. 한국 마사회는 경마 중독자 치료를 위한 유캔센터를 분당(080-815-1190)과 용산(080-342-0200)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단 도박은 친목모임과 같은 단체에 가입해 스스로의 의지를 키우는 것도 필요하다.
유캔센터 정호송 소장은 “경마는 도박과 레저의 이중성이 있는 만큼 레저로 즐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스스로 중독에서 헤어나기 어려울 경우 유캔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결론
중독이 뭔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중독은 그것을 하기 위해서 사는데 그것이 그 사람에게 해가 되는 것을 말한다. 중독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그것이 사람을 살아가는데 에너지를 준다는 점이다. 심지어는 담배나 마약류도 마찬가지이다. 게임이나 도박도 승리와 패배에서 오는 긴장과 이완이 엔돌핀이나 아드레날린 등을 분비시킨다. 우리는 뇌가 시키는 대로 움직인다. 그런데 의지와 다르게 뇌가 시킬까? 이게 중독을 이해하는 핵심이다. 판단과 욕구가 갈등되는 상황에서 욕구가 판단을 지배하는 것이다. 심지어는 욕구가 판단을 지배해서 변명하고 합리화하기까지 하다. 최초에 할일은 판단이 욕구의 지배 하에서 독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내가 왜 이러고 살지? 이런 생각이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담배 절대로 못 끊는 사람은 "담배에도 좋은 점이 있다"느니 "담배 피는 사람 중에도 건강한 사람이 있다"느니 하며 담배 피는 것을 합리화하는 사람이다. 최초의 단계는 내가 중독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내 의지만으로는 안 되는구나 라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두 번째로 할 일은 중독에 빠진 그것(경마)을 미워해야 한다. 세 번째는 선순환을 만드는 것이다. 중독이 싫으면서도 그것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것이 유일한 기쁨이기 때문이다. 중독은 단순한 욕구가 아니다. 생활 자체를 그것 외에는 행복을 줄 수 없는 구조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진짜 담배에 중독된 사람은 고민을 풀기위해서 담배를 피는 것이 아니라 담배를 피기위해서 (자신도 모르게) 고민 꺼리를 만든다. 경마에 중독되었다면 경마 외에는 어떤 것도 즐거움을 줄 수 없는 구조로 스스로가 자신의 생활구조를 바꾸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정상적인 삶을 살고 싶어도 결국은 경마 속으로 들어갈 수밖에 는 것이다.
추천자료
[게임중독]게임중독 심층 분석(게임중독의 원인, 게임중독의 증상 및 문제점, 게임중독과 충...
청소년과 청소년문화,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 인터넷중독의 문제, 인터넷중독의 진단기준...
[인터넷중독][인터넷중독예방][게임중독]인터넷중독의 특징, 인터넷중독의 유형, 인터넷중독...
[인터넷중독][인터넷중독 사례][청소년인터넷중독][인터넷문화][인터넷]인터넷중독의 의미, ...
인터넷 중독의 개념과 청소년과 인터넷 중독,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실태
청소년 인터넷 중독 - 인터넷중독원인및유형그리고실태,청소년중독,온라인게임중독.ppt
[Addiction-중독문제] 게임중독, 성형중독, 알코올중독, 흡연중독, 마약중독, 중독의 문제점,...
호한 마마 보다 무서운 유아 인터넷 게임 중독 (인터넷 게임 중독의 의미, 중독 실태, 중독 ...
[게임중독] 게임에 중독된 사람들의 특징과 문제점 및 게임 중독 해결방안,중독의 정의 및 원...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게임,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 인터넷 중독과 스...
★평가우수자료★[중독(Addiction)의 모든 것] 알콜 중독, 카페인중독, 니코틴 중독, 게임중독,...
[아동 게임중독 해결방안] 인터넷 및 게임 중독 아동 상담, 인터넷 중독 아동, 게임 중독 아...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문제점과 대책 {인터넷 중독의 정의와 특징, 청소년시기와 인터넷 중독...
인터넷 중독의 개념과 실태, 인터넷 중독(게임중독, 온라인중독)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