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장미와 찔레, 무엇을 말하는가?.
본론- 장미와 찔레, 그 핵심과 주요의미를 찾아서.
- 실생활에서 보는 장미와 찔레.
- 개인적인 시각으로 보는 장미와 찔레.
결론- 장미와 찔레,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본론- 장미와 찔레, 그 핵심과 주요의미를 찾아서.
- 실생활에서 보는 장미와 찔레.
- 개인적인 시각으로 보는 장미와 찔레.
결론- 장미와 찔레,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본문내용
는 한번의 선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선택으로 이루어진다.
사회 초년생인 우리의 주인공 장미주는 직장생활의 현실과 비전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
자신이 일하고 있는 업계의 특성상 이직과 스카웃 등이 심심찮게 일어나는 현실을 목격한 그녀는 자신의 내면에 감춰진 잠재력을 의식하기 시작한다.
그녀 역시도 삶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고, 그 중 하나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른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기에 이른다.발전 가능성이 그다지 크지 않아 보이는 회사에서 고리타분한 조직문화까지 겹쳐 직장 생활은 스트레스로 얼룩져 간다.
좀 더 나은 조건으로 동료들은 스카웃 되는 것을 보고 있으면, 자신은 경쟁에서 처지는 자괴감까지 느낀다.
그런 그녀가 재도약의 발판으로 대학원이라는 목표를 정한 것은 단편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대단히 복합적인 요소가 분명 작용했다.
그녀는 학창 시절 자신의 지도교수였던 성 교수를 찾아간다.
교수님과의 대화, 그것은 자신의 확실한 목표가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스스로의 발견을 앞당기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아주 귀중한 조언을 듣는다.
그것은 장미와 찔레에 관한 이야기였다.
성 교수가 말하는 장미와 찔레에 관한 이야기는 그래프로 쉽게 도식화 시킬 수 있을 정도로 이해가 빨리 되었다. 그녀는 성 교수와의 면담, 창업 성공담, 특강 등을 듣고 나서 점점 더 성 교수의 이야기를 실감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 생활은 나아지지 않고 있었다.
까다로운 업무의 연속이었으며, 피로는 더해 갔다.그러던 어느날 그녀는 학창 시절 같이 활동했던 써클 회원들을 만나서 자신이 느끼는 회사에 대한 불만이나 불안한 미래 등이 비단 자기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다.
모든 이들은 자신과 비슷한 환경과 조건에서 생활하고 있었으며, 같은 종류의 걱정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녀는 드디어 장미냐 찔레냐의 분류는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는 자세나 태도에 따라 구분되어 진다는 것을 서서히 깨닫기 시작한다.
"결국 장미꽃 인생이냐 찔레꽃 인생이냐 하는 것은,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해있든 지금 상황에 만족해서 더 이상의 발전 없이 그대로 쉽게 쉽게 가느냐, 아니면 항상 어려움을 무릅쓰고 더 큰 목표의 성취를 향해 계속 도전하느냐에 따라 갈리는 것이라고 봐야겠지, 장미꽃 인생을 살던 사람도 어느 순간 도전을 멈추고 안주하게 되면 그 때부턴 찔레꽃 인생이 되어버리는 거야".나는 장미와 찔레, 어느 꽃을 선택할 것인가?.내 인생은 어떤 방향으로 흐를 것인가? 곰곰히 고민해 봐야 할 문제임에 분명하다.그리고 책 속 미주와 같이 나에게도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의지가 생기길 바란다.이 책이 그 의지를 북돋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소속감에서 오는 안정감도 좋고 성취감도 좋고 무엇이든 느끼고 싶다.
안주하려 할 때마다 목표가 흐지부지해지고 주변의 잘 나가는 사람을 부러워하는 것도 어느새 잊어버리게 될 만큼 무뎌진 채 출퇴근만 반복하고 있는 월급쟁이가 되어 가고 싶지는 않은 시기에 적절한 자극이 되어준 점은 책에 감사할 일이다.
사회 초년생인 우리의 주인공 장미주는 직장생활의 현실과 비전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
자신이 일하고 있는 업계의 특성상 이직과 스카웃 등이 심심찮게 일어나는 현실을 목격한 그녀는 자신의 내면에 감춰진 잠재력을 의식하기 시작한다.
그녀 역시도 삶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고, 그 중 하나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른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기에 이른다.발전 가능성이 그다지 크지 않아 보이는 회사에서 고리타분한 조직문화까지 겹쳐 직장 생활은 스트레스로 얼룩져 간다.
좀 더 나은 조건으로 동료들은 스카웃 되는 것을 보고 있으면, 자신은 경쟁에서 처지는 자괴감까지 느낀다.
그런 그녀가 재도약의 발판으로 대학원이라는 목표를 정한 것은 단편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대단히 복합적인 요소가 분명 작용했다.
그녀는 학창 시절 자신의 지도교수였던 성 교수를 찾아간다.
교수님과의 대화, 그것은 자신의 확실한 목표가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스스로의 발견을 앞당기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아주 귀중한 조언을 듣는다.
그것은 장미와 찔레에 관한 이야기였다.
성 교수가 말하는 장미와 찔레에 관한 이야기는 그래프로 쉽게 도식화 시킬 수 있을 정도로 이해가 빨리 되었다. 그녀는 성 교수와의 면담, 창업 성공담, 특강 등을 듣고 나서 점점 더 성 교수의 이야기를 실감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 생활은 나아지지 않고 있었다.
까다로운 업무의 연속이었으며, 피로는 더해 갔다.그러던 어느날 그녀는 학창 시절 같이 활동했던 써클 회원들을 만나서 자신이 느끼는 회사에 대한 불만이나 불안한 미래 등이 비단 자기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다.
모든 이들은 자신과 비슷한 환경과 조건에서 생활하고 있었으며, 같은 종류의 걱정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녀는 드디어 장미냐 찔레냐의 분류는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는 자세나 태도에 따라 구분되어 진다는 것을 서서히 깨닫기 시작한다.
"결국 장미꽃 인생이냐 찔레꽃 인생이냐 하는 것은,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해있든 지금 상황에 만족해서 더 이상의 발전 없이 그대로 쉽게 쉽게 가느냐, 아니면 항상 어려움을 무릅쓰고 더 큰 목표의 성취를 향해 계속 도전하느냐에 따라 갈리는 것이라고 봐야겠지, 장미꽃 인생을 살던 사람도 어느 순간 도전을 멈추고 안주하게 되면 그 때부턴 찔레꽃 인생이 되어버리는 거야".나는 장미와 찔레, 어느 꽃을 선택할 것인가?.내 인생은 어떤 방향으로 흐를 것인가? 곰곰히 고민해 봐야 할 문제임에 분명하다.그리고 책 속 미주와 같이 나에게도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의지가 생기길 바란다.이 책이 그 의지를 북돋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소속감에서 오는 안정감도 좋고 성취감도 좋고 무엇이든 느끼고 싶다.
안주하려 할 때마다 목표가 흐지부지해지고 주변의 잘 나가는 사람을 부러워하는 것도 어느새 잊어버리게 될 만큼 무뎌진 채 출퇴근만 반복하고 있는 월급쟁이가 되어 가고 싶지는 않은 시기에 적절한 자극이 되어준 점은 책에 감사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