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종파연구 - 순니, 쉬아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서론

II.순니파
1.순니파의 형성
2.순니의 사상적 특징(법학,신학)
3.순니파의 발전
4.오늘날의 순리

III. 쉬아파
1.쉬아파의 형성
2.쉬아의 사상적 특징
3.쉬아의 분파와 발전
4.오늘날의 쉬아

IV. 수피즘
1.수피즘의 기원
2.수피즘의 발전과 알 가잘리
3.수피의 종단들

V. 결론

본문내용

황일 뿐이지 영속적인 것은 아니다. 이 것은 이슬람 역사에서 분명히 확인되는데, 호라산 지역이 순니의 본 거지였던 10-11 세기 동안 남부 시리아와 북부 아프리카는 쉬아파 지 역으로 파띠미조의 융성기 였는데 지금은 뒤바뀌었고, 또 중세 순니 세계 최고의 지성으로 손꼽히는 앙 가잘리와 파크르 알 딘 알 라지가 페르시아인이었으며, 정통 순니 신학이론인 알아쉬아리 신학체계가 페르시아인들의 손으로 다듬어지고 발전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몽골의침입으로 순니 칼리파제의 수도였던 바그다드가 함락되고 이슬람 대제국 압바스 왕조(749 1258년)가 무너지자 페르시아 지역에는 쉬아파의 활동이 보편화되었다. 그 뒤 사파비조(1501 1732년)가 등장하여 쉬아주의를 국교로 선포함으로써 오늘날까지 이란에는 쉬아파가 지배세력으로 자리잡게 되었던 것이다. 또 결론적으로 한 가지 더 우리가 유의해야 할 점은 사실상 종교적 관행의 실행 면에서 쉬아와 순니는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샤리아의 실천사항을 지켜야 하는 매일매일의 종교생활은 두 파가 동일하다. 여성의 유산상속 비율, 일시적 결혼과 같은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샤리아가 지배하는 생활은 무슬림 모두에게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것이다. 예배, 세정, 단식, 순례 등 의무적인 근행들에서 쉬아들이 지켜야 할 사항들은 순니 4 대 법학파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차이보다 더 크다고말할 것이 없다. 실제로 순니들의 일상생활을 들여다보면 그들 역시 성인들의 묘를 방문하여 바라카를 기구하며, 특히 신앙심의 고취를 위해 압둘 알 까디르알 질라니Abd al-Qdir al-Jilani와 아불 하산 알 샤딜리Abl ?asan al-Shdhili 같은 수피 거장들의 저서를 기본서로 꼭 읽어야한다고 강조하는 모습들은, 쉬아들의 일상생활과 순니들의 일상생활에 다른 점이 별로 없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한다. 쉬아세계에서 이맘들의 무덤은 실제로는 그들의 일부 자손들의 묘까지도 포함하여 후대 추종 자들의 순례지 또는 방문 명소가 되고, 종교생활 의 중심지가 되었다. 쉬아들은 나자프Najaf에 있는 알리의 무덤과 카르발라에 있는 후세인의 무덤, 카지마인Kazimain에 있는 제7대와 제9대 이맘의 무덤, 사마르라Samarra에 있는 제12대 이맘 알 문타자르의 무덤, 메쉐드Meshed에 있는 이맘 알 리다al-Ri?의 무덤, 꿈Qum에 있는 그의 누이동생 하즈라트 마으쑤마?a?rat Ma'?mah의 무덤, 다마스쿠 스에 있는 이맘 후세인의 여동생 싸이다 자이나브Sayyidah Zainab의 무덤, 그리고 그의 딸인 싸이다 루끼야Sayyidah Ruqyah의 무덤 등을 비롯하여 여러 도시에 산재해 있는 많은 묘소를 순례한다. 쉬아들은 그들의 일상생활 중에 이러한 성소들에 대한 방문뿐만 아니라 순니세계에 있는 다른 여러 위대한 성인들의 묘소와 성자들의 무덤도 똑같이 방문하는 관행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페즈Fez에 있는 물라이 이드리스 의 무덤, 다마스쿠스의 이븐-아라비 의 무덤, 콘야 에 있는 루미 Rm의 무덤, 라호르에 있는 후즈위 리 의 무덤, 아즈메르 에 있는 취쉬티 의 무덤, 그리고 바그다드에 있 는 압둘 까디르 알 질라니의 무덤 등 그 수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쉬아 무슬림세계에서는 수 피 성자들을 그들 이맘들의 정신적 후계자라고 간주한다. 특히 그런 의미에서 수피 성자들의 무덤에 대한 방문이 잦은데, 그것은 순니세계에서도 흔히 쉬아 이맘들 또는 그 자손들의 무덤을위대한 무슬림 성인들의 무덤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본다면 서구의 대 이슬람세계 교류와 그 관계사는 대부분 순니세계와 이루어졌다 고 설명할 수 있다. 또 이슬람학 연구와 이슬람 종교에 관련된 논 의와 이해도 순니교의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오늘날 전 세계 무슬림 인구 (약 13억) 의 90%가 순니 무슬림이고 나머지 10%는 쉬아 무슬림이다. 쉬아파는 주로 이란과 이라크에 집중 분포되어 있으며, 수니파가 전세계 이슬람의 83%를 차지하는 반면 시아파는 16%에 불과하다. 하지만 순니와 쉬아는 서로에게 관대하여 쉬아도 순니의 성원에서 예배를 드리고 순 니도 쉬아의 성원에서 자유롭게 예배를 드릴 수 있다. 즉 이슬람이라는 큰 흐름에서는 순니든 쉬 아든 크게 구별되거나 차별되지 않으나,정치적으로 이해가 맞 서는 부분에서 순니와 쉬아가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종교적 이유라기보다 는 정치적 이유에 기인한다고 보아야 한다.
쉬아파와 순니파는 나름대로 서로 정통파임을 내세우고있다. 비 록 그들 간에 일부 교리상의 차이점이 발견되기는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이슬람이라는 큰 틀 안의 것이다. 결코 그들 스스로 이슬람의 근본적 원리 어느 것도 손상시키지 않는다. "알라 이외에 다른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유일신관의 진리를 주장하는 데 조금도 차이가 없고 "무함마드는 신의 최후 사자이다"라는 믿음에도 다름이 없다. 단지 그 진리를 추구하는 길에서 방법상의 미미한 차이를 보였을 뿐이다. 사실은 그 차이도 이라크나레바논, 파키스탄 같은 나라들에서만 느낄 뿐 이다. 물론 그것은 이 나라들에서는 순니와 쉬아가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다른 아랍나라들, 특히 아프리카 지역이나 동남아 시아 지역의 어느 무슬림 사회에서 도 그런 차이는 느껴지지 않는다. 그저 모든 무슬림이 똑같은 무슬림 형제일 뿐이다(Bernard Lewis 1993, 156). 따라서 순리 이슬람, 쉬아 이슬람이라는 말은 적 합하지 않다. 순니 무슬림, 쉬아 무슬림이 존재할 뿐이다. 순니와 쉬아는 <꾸란>이라는 계시에 뿌리를 둔 두 갈래의 큰 가지인 셈이다.
참고 문헌
이슬람의 사상의 형성과 발전 / 김정위 외
이슬람 칼리파제사 / 이슬람 정치사 상과 역사 : 손주영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 프 랜시스 로빈슨 외
이슬람 신비주의자들의 교리 / A.B 알- 칼라바디 지음: 정무삼 옮김
이슬람 1400년: 버나드 루이스 엮음 (까치)
논문: 중동연구소 23권 2호 쉬아의 교리적 특성과 갈래
[기사]
연합뉴스 05. 02 20 기사
연합뉴스 05. 08. 31 기사
문화일보 05. 09. 01 기사
Naver. 지식검색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8.03.1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2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