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투석환자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투석환자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투석(Dialysis)의 정의
2. 목 적
3. 투석의 적응증
4. 투석의 형태
1) 혈액투석
2) 혈액 투석 합병증 관리
3) 혈액투석 환자 교육
4) 복막투석
5) 복막투석 합병증 관리
6) 환자교육
5. 투석 중 환자관리
1) 환자관리의 의미
2) 환자관리의 목표
3) 환자관리의 항목

3. 결 론

본문내용

하지 않은 합병증
투석 불균형 증후군 : 투석 불균형 증후군(DDS)은 중추신경계 장애이다. 투석에 있어서 현재 기술의 향상과 조기에 시작함으로써, DDS는 감소되었지만 오심, 구토, 두통, 불안함, 시각장애, 지남력 장애, 진전처럼 발현될 수 있다. 더 심각한 증후는 발작, 둔화, 혼수 상태를 포함한다. DDS의 병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혈장 삼투 현상 그리고/또는 혈장 pH의 빠른 변화에 의해 야기된다고 생각한다.
3) 혈액투석 환자 교육
혈관 관리 교육
① 투석 후에는 바늘을 삽입했던 부위에 1회용 밴드를 붙이고 6시간이상 지나면 떼어낸다. 샤워나 목욕은 그 후에 한다. 바늘을 삽입한 곳으로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조심한다.
② 수술한 팔에는 혈액이 많이 흐르므로 다치지 않도록 한다.
③ 최소한 하루 1회는 수술한 부위에 가볍게 손을 대어서 전기가 흐르는 듯한 전율 상태를 점검하며, 전율이 없거나 느낌의 강도 및 변화 혹은 통증과 열감이 있으면 병원으로 즉시 연락한다.
④ 수술한 팔로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팔베개를 하고 자거나, 장시간 팔을 굽히거나, 너무 조이는 옷을 입으면 혈관이 막힐 수 있다. 시계나 팔찌의 착용이나 아기를 안거나 업거나 하여 팔이 눌리지 않도록 한다.
⑤ 목욕 시에는 너무 세게 닦지 않도록 한다.
식이 교육
① 단백질 식품을 적절히 섭취한다.
② 열량을 충분히 섭취한다.
③ 염분 및 수분을 제한한다.
수분 섭취량은 다음과 같다.
주 2회 투석시 : 소변량이 없을 때 - 200mL(우유 1팩 정도의 양)
소변량이 있을 때 - 소변량 + 200mL
주 3회 투석시 : 소변량이 없을 때 - 500mL
소변량이 있을 때 - 소변량 + 500mL
④ 칼륨의 섭취를 줄인다.
⑤ 인의 섭취를 줄인다.
약물 교육
투석실 간호사는 투석 환자에게 약물에 관한 정보 제공과 약물 복용 확인의 책임이 있으므로 환자 및 보호자에게 약물 교육을 해야 한다.
혈액 투석 환자에게 주로 투여되는 약물로는 수용성 비타민제, 철분 제제, 인 결합제, 칼슘 보충제, 활성 비타민 D3 칼륨 배설제, 적혈구 조혈 호르몬제(eppo 제제), 항고혈압제 등이 있다.
4) 복막투석
복막투석은 급성 및 만성 신부전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치료이다.
복부에 도관을 삽입하는 수술을 시행하고 2L 투석액을 주입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배액시키고, 새로우 투석액을 주입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6시간마다 투석액을 교환하고 하루 4회 교환하는 지속적 보행성 복막 투석(CAPD)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확산과 초여과에 의해 혈액이나 주위 조직으로부터 투석액으로 독성 물질이 이동되고, 주입된 투석액이 배액되면서 체내에 생성된 노폐물과 과잉 축적된 수분이 제거된다.
5) 복막투석 합병증 관리
① 복막염(Peritonitis)
정 의 : 아래의 사항 중 두 가지 이상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배출액의 그람 염색 또는 배양 검사에서 균주가 보일 때
백혈구(WBC)수가 100이상이고 호중구가 50% 이상이면서 혼탁한 배출액 : 감염이외에 다른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도 있으나 복막염의 가장 흔한 징후이므로 환자는 배출액 을 정확히 관찰하기 위해 배액백을 빛에 반대로 놓고 보도록 교육 받아야 한다.
ㆍ복막의 염증 증상
복막 투석 환자의 복강 내 특성 : 다량의 투석액 주입으로 인해 복강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면역 무질(IgG, C3, 대식세포 등)의 감소 및 정상적인 면역 체계의 약화로 독 성이 약한 세균에 의해 감염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투석액의 계속적인 복강내 세척으로 인한 면역 물질의 지속적인 소실과 대식세포의 소실 및 미성숙 세포의 증가로 인해 면역 반응이 약화되고 있다.
복막염의 증상 : 복통 복부 압통, 반사압통, 미열, 오한, 구역, 구토, 설사 등
진단을 위한 임상검사 : 주의 깊은 병력과 진찰을 한 후 복막액 검사를 보낸다.
ㆍ그람 염색
ㆍ총세포수와 백혈구 감별계산
ㆍ배양과 항생제민감성 검사
복막염의 치료 : 세척(Lavages), 항생제 치료
복막염으로 진행할 수 있는 합병증
ㆍ일시적으로 초여과가 감소될 수 있다.
ㆍ복막의 손상으로 단백질의 배출이 늘어난다 - 영양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다.
ㆍ복막의 손상으로 투석 효율이 저하된다.
ㆍ복막 유착이 올 수 있다.
② 도관 출구 감염
증 상 : 작열감, 홍반, 종창, 통증, 분비물, 상피의 퇴행과 육아 조직의 돌출 등이 나타 난다.
간호와 치료 : 검사 - 삼출물의 그람 염색과 배양을 시행한다.
그람염색 결과에 따른 항생제를 투여한다.
삼출물의 양에 따라 1일 1~2회 출구를 치료한다.
출구 치료 후에는 반드시 멸균된 거즈로 출구 부위를 덮는다.
삼출물의 항생제 민감성 검사 결과에 의한 항생제를 투여한다.
질산 은으로 육아 조직을 소작한다.
③ 투석량의 부족
원 인 : 잔여 신기능의 감소 :초기 복막투석을 시작했을 때 환자들은 어느 정도 잔여 신기능이 있어 요독증을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잔여 신기능이 감소하고 복막 청소률만으로 적절한 치료를 하기에는 불충분하게 된다.
불충분한 이행, 복막기능의 상실 등이 있다.
증 상 : 식욕부진, 피로의 증가, 오심구토, 불면증, 말초 신경병증, 심내막염, 영양상태의 악화, 빈혈의 악화, 영양실조로 인한 근육량의 감소
간호 및 치료 : 규칙적으로 영양상태, 투석량, 복막기능에 대하여 모니터한다.
투석량을 늘린다.
효과가 없다면 다른 형태의 신 대체 요법으로 바꾸어야 한다.
④ 영양실조
단백질로 인한 영양실조는 복막투석 환자에서 흔하다.
원 인 : 복막 투석액으로 아모노산과 단백질 손실
식욕부진
투석액으로부터 포도당 흡수증가로 인한 단백질 섭취 감소
복부 내 압력 증가 및 팽만감으로 인한 음식섭취 감소
감염과 같은 내과적 질환
투석량의 부족
⑤ 복막부전
복막부전에는 3종류가 있다.
Type Ⅰ 부전 : 빠른 용질 이동이 한외여과 부전의 원인이다. 이것은 투석액 내 포도당의 빠른 흡수로 인한 삼투압 감소에 의한 것이다.
Type Ⅱ 부전 : 경화성 복막염과 만성 진행성 염증은 복막의 투과성과 표

키워드

성인,   투석,   심부전,   간호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3.1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