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 작가 소개 < 윤대성 >
2 . 줄거리
3 . 플롯 분석
4. 인물
5. 주제
6. 의의와 한계점
■ 참고문헌
2 . 줄거리
3 . 플롯 분석
4. 인물
5. 주제
6. 의의와 한계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떨어진다. 더군다나 권력층으로 대변되는 부사와 목사 간의 관계 설정도 미미해 부사는 적극적으로 권력층의 이익을 옹호하고 대변하는 반면 목사는 부사와 의견을 함께 하기는 하지만 극 전반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지 못하고 또 왜 반대하고 나서서 부사를 돕는지 관계 설정도 애매하다. 마지막으로 노비와 관군 간에 대립 양상도 흐지부지한데 고려가 무신정권이었던 점을 감안하더라도 관군도 나라에 복속 된 ‘졸(卒)’로써 자유 없는 자의 심정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을 진데 막무가내로 대립하기만 한다는 데서 현대의 권력 상 대립구조를 지나치게 반영하려 한 듯 하다. 이상을 작품『노비문서』의 한계점으로 지적해 본다.
■ 참고문헌
<극작의 실제>, 윤대성, 공간미디어, 1995
<남사당의 하늘, 윤대성 신작 희곡집>, 윤대성, 예니, 1999
<윤대성 희곡에 나타난 서사극적 특성, 노비문서와 신화 1900을 중심으로>, 정낙현, 한국극예술학회 논문, 1992
<윤대성 희곡의 현실인식과 글쓰기 방법, 노비문서를 중심으로>, 최상민, 현대문학이론학회 논문, 2004
<윤대성의 노비문서에 나타난 극적 기법 연구, 전통성과 실험성을 중심으로>, 김영희, 문창어문학회 논문, 1995
■ 참고문헌
<극작의 실제>, 윤대성, 공간미디어, 1995
<남사당의 하늘, 윤대성 신작 희곡집>, 윤대성, 예니, 1999
<윤대성 희곡에 나타난 서사극적 특성, 노비문서와 신화 1900을 중심으로>, 정낙현, 한국극예술학회 논문, 1992
<윤대성 희곡의 현실인식과 글쓰기 방법, 노비문서를 중심으로>, 최상민, 현대문학이론학회 논문, 2004
<윤대성의 노비문서에 나타난 극적 기법 연구, 전통성과 실험성을 중심으로>, 김영희, 문창어문학회 논문, 199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