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 성분이 첨가된 웰빙 식품에 관한 소비자의 의식조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배경
1.2 연구 목적의 설정
1.2.1 FGI의 실시
1.2.2 FGI 결과
1.2.3 연구 주제의 구체화
2. 연구 관련 기존 분석 고찰
2.1 웰빙이란?
2.2 소비자들이 말하는 웰빙제품 - 매경ECONOMY
2.3 웰빙 제품에 관한 소비자 의식조사 -메트릭스 코퍼레이션

-본론-
3. 연구 가설의 설정
3.1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싶은 것
3.2 구체적인 연구 가설의 설정
4. 연구 방법의 설정 및 실행
4.1 연구 방법의 설정
4.1.1 설문 내용의 흐름 구성
4.1.2 표본의 선정
4.2 설문조사의 실행
5. 연구 결과
5.1 가설1
5.2 가설2
5.3 상호작용효과검증
5.4 가설3
5.5 가설4
5.6 가설5
-결론-
6. 결론
6.1 결론 및 시사점
6.2 연구의 한계점
6.2.1 일반화의 한계점
6.2.2 표본 선정에 있어서의 한계점
6.2.3 기존의 경험에 의한 오류
6.2.4 분석에 있어서의 미숙함

본문내용

Corrected Total
957.195
317
5.4 가설3. 녹차 성분 첨가 시 제품군별로 연령대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분석방법>One-way ANOVA분석
-> 녹차 첨가 시 일반제품군에 비해 연령대 별로 30,40대가 더 높은 호감도 변화를 보여줬으며, 이것은 구매의사에도 일부 연결이 되었다.
5.5 가설4. 녹차 성분 첨가 시 구매 의지는 성별, 연령별로 다를 것이다.
<분석방법>분산분석
-> 구매의사에 있어서 음료, 아이스크림, 빵을 제외한 5개의 제품군은 7점척도에서 4점이하의 척도를 보여주며 호감도 변화가 구매의사로까지 비교적 연결되지 않는 다는 것을 보여줬다. 또한 그에 반하여 호감도가 4 이상을 보여준 세 제품군(음료,아이스크림, 빵류)은 기존에 이미 녹차 성분이 포함된 제품들이 출시된 바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5.6 가설5. 빵, 씨리얼, 패스트푸드는 지불 가격에 있어 성별, 연령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5.6.1 패스트푸드류
5.6.2 씨리얼류
5.6.3 빵류
<분석방법> 비율분석
-> 세 제품 (녹차 햄버거, 녹차 씨리얼, 녹차 빵)에 가격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빵은 40>30>10>20 대 순서로 민감도가 증가함을 보였고,
씨리얼은 40>30>20>10 대 순서로 민감도가 증가하였다.
패스트푸드는 40>20>10>30대 순서로 민감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산 분석결과로 연령별로는 유의확률이 .034인 빵에서만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 다.
6. 결론
6.1 결론 및 시사점
우선 모든 제품군에서 녹차 첨가 시 호감도가 상승하였다. 호감도가 상승했다는 것은 웰빙 성분(녹차)에 대해 소비자들이 기존의 일반 제품군 보다는 좀 더 나을 것이라는 기대감과 호감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라면류의 경우 남성에게 있어서는 오히려 호감도가 조금 떨어지는 예외적인 반응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것은 기존에 라면에 대해 비교적 높은 호감을 가지고 있던 남성들이 웰빙 성분이 첨가됨으로써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해 다소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로 호감도 상승에 있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비교적 더 큰 상승폭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처음에 우리가 여성들이 건강, 웰빙에 좀 더 관심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던 대로 여성들에게 웰빙 마케팅이 좀 더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라면,음료,주류의 경우는 일반 제품군일 때에는 남성보다 비교적 낮은 호감도를 보였던 제품군들 인데, 웰빙 성분이 첨가되자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오히려 더 높은 호감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이 세 제품군을 평소에는 별로 즐겨먹지 않다가도 몸에 좋은 성분이 들어간다면 전보다는 좀 더 나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연령대별 녹차 첨가 시 호감도 변화에 있어 30,40대가 10,20대에 비해 큰 폭의 호감도 변화를 보이며 대부분의 제품군에서 좀 더 높은 호감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30,40대가 웰빙에 대해 충분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을 상대로 한 적극적인 마케팅도 시도해 봄직 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가격 민감도에 있어서 40대가 가장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개의 조사된 제품군(씨리얼, 햄버거, 빵)에서 각각의 제품군 별 특성에 따라 30,20,10대의 순위가 바뀌면서 40대를 제외한 타 연령대에서는 특정한 서열을 읽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교적 경제적인 문제에 민감한 40대가 가격에 대해 좀 더 민감하다는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으며, 제품군별로 각각의 연령대별 특성을 고려해 가격을 책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예상해 볼 수 있다.
6.2 연구의 한계점
6.2.1 일반화의 한계점
우선 우리의 연구는 웰빙 성분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대상들이 존재하였고,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웰빙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을 만큼 보편적인 웰빙 성분으로 생각되는 성분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웰빙과 관련된 성분으로 인식하고 있는 녹차의 경우만을 시도했기 때문에 웰빙 전체에 대한 인식으로 까지 발전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품군을 선정하는데 있어서도 존재하는 모든 제품군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은 범위가 너무 광대할 뿐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불가능 했다. 그래서 최대한 객관적인 제품군 선택을 하기 위해 FGI를 실시하였으나, FGI의 대상들이 20대의 젊은층 위주였기 때문에 그들 위주의 제품군이 주로 선정되었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이 점 또한 전체적인 제품들에 대한 웰빙 성분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고 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6.2.2 표본 선정에 있어서의 한계점
설문 대상을 남,여, 각각 10.20.30.40대 등의 8개의 그룹으로 세분화한 것에 비해 각 그룹별로 할당된 표본의 크기가 작다는 한계점도 들 수 있다. 물론 전체적인 표본의 수는 그렇게 작은 수가 아니지만, 세분화를 한 만큼 그 수도 좀 더 컸다면 연구 결과의 의미에 좀 더 힘을 실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6.2.3 기존의 경험에 의한 오류
제품군 중 음료, 아이스크림류, 빵류의 경우는 이미 시중에 녹차 성분을 함유시킨 제품이 출시된바 있어, 사람들이 기존에 해당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던 학습된 태도나 인식들이 조사 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6.2.4 분석에 있어서의 미숙함
사실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SPSS를 돌리는데 미숙한 점이 많았다고 본다. 우리는 처음에 모집단을 8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제품군 또한 8개로 나누어 각각의 관여도, 호감도, 구매의사, 최대지불의사가격 등을 모두 연관시켜 분석해야 했기 때문에 그 양이 매우 많았고, 분석 방법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미숙함을 보였다. 그래서 수집한 데이터에 비해 분석의 내용이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고, 좀 더 다양한 부분에서의 비교 분석이 더 가능하리라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3.1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