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탐구동기
2.과대광고의 정의
법적 측면
소비자의 입장
Ⅱ. 본론
1.설문조사 집계 및 분석
2.과대광고의 실상
유익한 함유 성분의 효능 과장 및 과대 표시
1) 오메가 3
2) 비타민, 아미노산
3) 호밀제품
해로운 함유 성분 제거의 함정
1) MSG 無첨가
2) 트랜스지방 0
3) 0 kcal 음료
유산균 요구르트는 과대광고인가?
Ⅲ. 결론
1.요약
2.현명한 소비자의 선택을 위한 제언
1.탐구동기
2.과대광고의 정의
법적 측면
소비자의 입장
Ⅱ. 본론
1.설문조사 집계 및 분석
2.과대광고의 실상
유익한 함유 성분의 효능 과장 및 과대 표시
1) 오메가 3
2) 비타민, 아미노산
3) 호밀제품
해로운 함유 성분 제거의 함정
1) MSG 無첨가
2) 트랜스지방 0
3) 0 kcal 음료
유산균 요구르트는 과대광고인가?
Ⅲ. 결론
1.요약
2.현명한 소비자의 선택을 위한 제언
본문내용
을 과장 또는 과대 표시하거나 해로운 함유 성분의 경우, 그 성분이 제거 되어 있음을 강조하여 다른 새로운 함유 성분(아스파탐, 포화지방 등)이 들어있음을 소비자가 간과하게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 제품에 대한 알권리에 대하여 식품회사가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여 소비자에게 전략적인 광고를 하고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하여 식품에 대하여 과대광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현명한 소비자의 선택을 위한 제언
그렇다면 현명한 소비자는 식품을 고르는데 있어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하는가? 먼저 현명한 소비자는 광고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둘째, 현명한 소비자는 유해성분이 무엇인지 평소에 알아두어야 하겠다. 셋째, 물건을 구매할 때는 반드시 제품에 들어가 있는 성분 표시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 효능에 대한 가격 대비를 따져 그것이 실제로 효능에 부합하는 가격인지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대한소화기학회지 2001; 37:82-89, 송인성(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한국축산학회지 1999; 41(4):335-342, 김현욱(서울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boardid=KC&qid=0uglR&q=%C0%AF%BB%EA%B1%D5+%BD%C7%C7%E8
http://english.cpb.or.kr/user/bbs/code02_detail.php?av_jbno=2002052700008&av_pg=1343&gubun=
<첨부 1>
식품위생법시행규칙 [일부개정 2006.7.3 보건복지부령 제376호]
■ 제6조 (허위표시·과대광고 및 과대포장의 범위<개정 1996.12.20>)
①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허위표시·과대광고의 범위는 용기·포장 및 라디오·텔레비전·신문·잡지·음곡·영상·인쇄물·간판·인터넷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식품 등의 명칭·제조방법·품질·영양가·원재료·성분 또는 사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거나 알리는 행위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개정 1996.12.20, 1998.10.19, 2001.7.31, 2003.8.18, 2005.7.28>
다만, '식품위생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7조제8호가목·나목에 따른 휴게음식점영업소 및 일반음식점영업소에서 조리·판매하는 식품과 동호 바목에 따른 제과점영업소에서 제조·판매하는 식품에 대한 제2호 및 제6호에 해당하는 표시·광고는 허위표시·과대광고의 범위에서 제외한다.
1. 법 제22조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신고 또는 보고한 사항이나 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수입신고한 사항과 다른 내용의 표시·광고
2. 질병의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내용 또는 의약품으로 혼동할 우려가 있는 내용의 표시·광고
3. 제품의 원재료 또는 성분과 다른 내용의 표시·광고
4. 제조연월일 또는 유통기한을 표시함에 있어서 사실과 다른 내용의 표시·광고
5. 제조방법에 관하여 연구 또는 발견한 사실로서 식품학·영양학 등의 분야에서 공인된 사항외의 표시·광고. 다만, 제조방법에 관하여 연구 또는 발견한 사실에 대한 식품학·영양학 등의 문헌을 인용하여 문헌의 내용을 정확히 표시하고, 연구자의 성명·문헌명·발표연월일을 명시하는 표시·광고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6. 각종의 감사장·상장(정부표창규정에 의하여 제품과 직접 관련하여 수여한 상장을 제외한다) 또는 체험기 등을 이용하거나 "주문쇄도"·"단체추천"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표현하는 광고
7. 외국어의 사용 등으로 외국제품으로 혼동할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 또는 외국과 기술 제휴한 것으로 혼동할 우려가 있는 내용의 표시·광고
8. 다른 업소의 제품을 비방하거나 비방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광고이거나 제품의 제조방법·품질·영양가·원재료·성분 또는 효과와 직접 관련이 적은 내용을 강조함으로써 다른 업소의 제품을 간접적으로 다르게 인식되게 하는 광고
9. 삭제
10. 미풍양속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저속한 도안·사진 등을 사용하는 표시·광고 또는 미풍양속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음향을 사용하는 광고
11. 화학적합성품의 경우 그 원료의 명칭 등을 사용하여 화학적 합성품이 아닌 것으로 혼동할 우려가 있는 광고
12. 삭제 <1995.8.31>
13. 판매사례품 또는 경품판매등 사행심을 조장하는 내용의 광고(「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허용되는 경우를 제외한다)
<첨부 2>
대학국어 1조 설문지
성별( ) 나이 ( ) 소속, 학과 ( )
* 문항 뒤에 O(그렇다), X(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로 체크해 주세요.
1. 나는 건강을 고려하여 음식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편이다.
2. 나는 저지방 우유와 일반 우유 중 저지방 우유를 선호한다.
3. 음료나 과자, 식품 등을 살 때 함유 성분을 살펴보는 편이다.
4. 식품광고를 보면서 광고 내용을 대부분 신뢰하는 편이다(0kcal, x x 함유)
4.1. 0kcal 음료는 정말 열량이 제로라고 생각한다.
4.2. ‘하루야채’ 한 컵이면 하루에 필요한 야채의 성분을 다 섭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3. ‘쾌변’, ‘윌’, ‘닥터캡슐’등을 마시면 대장의 기능이 향상될 것이다.
5. 식품 성분에 관해 과대 포장된 광고의 예시를 알고 있다.
5.1. 알고 있다면 구체적인 예를 적어주십시오.
6. ‘0kcal’표시가 된 음료가 그렇지 않은 음료에 비해 더 손이 간다.
7. 트랜스지방 제로 식품은 왠지 안심이 된다.
8. DHA 함유 우유가 어린이들의 지능 발달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9. 몸에 좋은 성분이 함유되었다고 광고하는 식품이 일반 식품에 비해 비쌀 경우 살 의향이 있다.
9.1. 위 문항에 그렇다고 대답하신 경우, 어느 정도까지 더 지불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일반식품의) 1~20% ( ) 21~40% ( ) 41~60% ( ) 61~80% ( ) 80~100%( )
10. 현재 방영되는 식품 관련 광고 중 과학적으로 검증해보고 싶은 제품을 써 주세요.
ex)닥터캡슐의 유산균이 살아서 정말 살아서 장까지 가는지 실험해보고싶어요!
2. 현명한 소비자의 선택을 위한 제언
그렇다면 현명한 소비자는 식품을 고르는데 있어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하는가? 먼저 현명한 소비자는 광고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둘째, 현명한 소비자는 유해성분이 무엇인지 평소에 알아두어야 하겠다. 셋째, 물건을 구매할 때는 반드시 제품에 들어가 있는 성분 표시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 효능에 대한 가격 대비를 따져 그것이 실제로 효능에 부합하는 가격인지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대한소화기학회지 2001; 37:82-89, 송인성(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한국축산학회지 1999; 41(4):335-342, 김현욱(서울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boardid=KC&qid=0uglR&q=%C0%AF%BB%EA%B1%D5+%BD%C7%C7%E8
http://english.cpb.or.kr/user/bbs/code02_detail.php?av_jbno=2002052700008&av_pg=1343&gubun=
<첨부 1>
식품위생법시행규칙 [일부개정 2006.7.3 보건복지부령 제376호]
■ 제6조 (허위표시·과대광고 및 과대포장의 범위<개정 1996.12.20>)
①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허위표시·과대광고의 범위는 용기·포장 및 라디오·텔레비전·신문·잡지·음곡·영상·인쇄물·간판·인터넷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식품 등의 명칭·제조방법·품질·영양가·원재료·성분 또는 사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거나 알리는 행위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개정 1996.12.20, 1998.10.19, 2001.7.31, 2003.8.18, 2005.7.28>
다만, '식품위생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7조제8호가목·나목에 따른 휴게음식점영업소 및 일반음식점영업소에서 조리·판매하는 식품과 동호 바목에 따른 제과점영업소에서 제조·판매하는 식품에 대한 제2호 및 제6호에 해당하는 표시·광고는 허위표시·과대광고의 범위에서 제외한다.
1. 법 제22조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신고 또는 보고한 사항이나 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수입신고한 사항과 다른 내용의 표시·광고
2. 질병의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내용 또는 의약품으로 혼동할 우려가 있는 내용의 표시·광고
3. 제품의 원재료 또는 성분과 다른 내용의 표시·광고
4. 제조연월일 또는 유통기한을 표시함에 있어서 사실과 다른 내용의 표시·광고
5. 제조방법에 관하여 연구 또는 발견한 사실로서 식품학·영양학 등의 분야에서 공인된 사항외의 표시·광고. 다만, 제조방법에 관하여 연구 또는 발견한 사실에 대한 식품학·영양학 등의 문헌을 인용하여 문헌의 내용을 정확히 표시하고, 연구자의 성명·문헌명·발표연월일을 명시하는 표시·광고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6. 각종의 감사장·상장(정부표창규정에 의하여 제품과 직접 관련하여 수여한 상장을 제외한다) 또는 체험기 등을 이용하거나 "주문쇄도"·"단체추천"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을 표현하는 광고
7. 외국어의 사용 등으로 외국제품으로 혼동할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 또는 외국과 기술 제휴한 것으로 혼동할 우려가 있는 내용의 표시·광고
8. 다른 업소의 제품을 비방하거나 비방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광고이거나 제품의 제조방법·품질·영양가·원재료·성분 또는 효과와 직접 관련이 적은 내용을 강조함으로써 다른 업소의 제품을 간접적으로 다르게 인식되게 하는 광고
9. 삭제
10. 미풍양속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저속한 도안·사진 등을 사용하는 표시·광고 또는 미풍양속을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음향을 사용하는 광고
11. 화학적합성품의 경우 그 원료의 명칭 등을 사용하여 화학적 합성품이 아닌 것으로 혼동할 우려가 있는 광고
12. 삭제 <1995.8.31>
13. 판매사례품 또는 경품판매등 사행심을 조장하는 내용의 광고(「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허용되는 경우를 제외한다)
<첨부 2>
대학국어 1조 설문지
성별( ) 나이 ( ) 소속, 학과 ( )
* 문항 뒤에 O(그렇다), X(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로 체크해 주세요.
1. 나는 건강을 고려하여 음식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편이다.
2. 나는 저지방 우유와 일반 우유 중 저지방 우유를 선호한다.
3. 음료나 과자, 식품 등을 살 때 함유 성분을 살펴보는 편이다.
4. 식품광고를 보면서 광고 내용을 대부분 신뢰하는 편이다(0kcal, x x 함유)
4.1. 0kcal 음료는 정말 열량이 제로라고 생각한다.
4.2. ‘하루야채’ 한 컵이면 하루에 필요한 야채의 성분을 다 섭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3. ‘쾌변’, ‘윌’, ‘닥터캡슐’등을 마시면 대장의 기능이 향상될 것이다.
5. 식품 성분에 관해 과대 포장된 광고의 예시를 알고 있다.
5.1. 알고 있다면 구체적인 예를 적어주십시오.
6. ‘0kcal’표시가 된 음료가 그렇지 않은 음료에 비해 더 손이 간다.
7. 트랜스지방 제로 식품은 왠지 안심이 된다.
8. DHA 함유 우유가 어린이들의 지능 발달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9. 몸에 좋은 성분이 함유되었다고 광고하는 식품이 일반 식품에 비해 비쌀 경우 살 의향이 있다.
9.1. 위 문항에 그렇다고 대답하신 경우, 어느 정도까지 더 지불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일반식품의) 1~20% ( ) 21~40% ( ) 41~60% ( ) 61~80% ( ) 80~100%( )
10. 현재 방영되는 식품 관련 광고 중 과학적으로 검증해보고 싶은 제품을 써 주세요.
ex)닥터캡슐의 유산균이 살아서 정말 살아서 장까지 가는지 실험해보고싶어요!
추천자료
[인터넷광고][인터넷마케팅]인터넷광고 특징, 인터넷광고 효과, 인터넷광고 새로운 형태, 인...
[인터넷광고][인터넷광고전략][인터넷마케팅]인터넷광고의 특징, 인터넷광고의 역할, 인터넷...
[인터넷광고]인터넷마케팅(인터넷광고) 정의, 인터넷마케팅(인터넷광고) 방법, 인터넷마케팅(...
[옥외광고][옥외광고의 종류][옥외광고의 현황][각국의 옥외광고 사례][광고]옥외광고의 종류...
[기업광고][기업광고 사례][기업이미지][기업홍보][기업PR][기업광고전략]기업광고의 본질, ...
[광고카피][광고카피 구성][광고카피 고려사항][문채][언어][대화함축]광고카피 관련 용어정...
[광고언어의 성격][광고언어의 수사학적 표현][광고언어의 내용][광고언어의 전략][광고언어]...
[기업광고][기업광고 모델][기업광고 스포츠마케팅][기업광고 전략]기업광고의 분류, 기업광...
[광고전략][광고전략 사례][광고전략 매체]광고전략의 정의, 광고전략의 기본틀, 광고전략의 ...
[광고총량제와 중간광고 찬반] 지상파 광고총량제(廣告總量制)와 중간광고(中間廣告)의 개념...
[광고론 광고기획서] 광고 기획 -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확립 및 시장점유율 압도적 1위 유...
<현대자동차 광고 변천사> 현대자동차 광고 변천사 조사의 필요성, 현대자동차 기업의 변천, ...
[모바일광고] 모바일광고(Mobile Advertising)의 개요, 동향, 모바일광고시장 활성화방안 - ...
[기업광고][기업][광고][세계화][객관성][기업광고 효과]]기업광고의 사례 분석]기업광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