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환경 조성, 사회적윤리적 책임강화 등 융합기술 발전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 범 유럽 차원에서 추진하는 FP7(2007~2013)에서 융합기술 개발을 확대하고 학제간 연구개발 추진 강화
○ 건강, 나노기술, 신소재 등의 분야에 116억 2,000만 유로 투입 계획
(3) 일본
○ IT, BT, NT 등 신기술융합혁신을 통해 7대 신성장 산업을 집중 지원하는「신산업창조전략(2004년)」마련
※ 신산업창조전략 관련 예산 873억엔 투입(2005년)
○ 4대 중점분야(IT, BT, NT, ET)중 단기간에 실용화가 가능한 기술 위주의 개발 전략인 'Focus 21' 수립 (2004년)
○ 바이오-IT 융합기기 개발 프로젝트, 나노바이오 기술프로젝트 등을 중점 추진
※ 일부 프로젝트는 신산업창조전략 중점 프로젝트와 중복 추진
미국, EU는 자국의 특성에 맞는 융합기술에 대한 전략지침을 마련하였으나, 일본은 별도의 전략지침을 수립하지 않고 전반적인 과학기술 분야에 융합기술을 포함시키고 있음
4. 우리나라 현주소
(1) 융합기술 R&D 정책동향
○ 부처별 융합기술개발 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미래사회 수요를 반영한 독자적인 관련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 못한 실정
○ 부처별 정확한 역할범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부처별 관련 산업 및 영역에 대한 해석과 요구가 매우 포괄적이어서 중복 투자가 우려되어 범부처적인 협의조정이 필요
-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헬스케어) U-헬스케어는 IT와 BT의 통합으로 네트워크 혹은 휴대용 장비를 통해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해당 데이터활용하여 주치의의 진료가 가능한 서비스임
사업의 경우 기술확보 보다는 서비스 주도권 확보를 위한 부처간/연구수행주체(관계기관)간 중복적 경쟁 존재
※ 과기부의 ‘U-헬스케어 제어용 핵심원천기술개발(10.5억)’, 산자부의 ‘zware 기반 무선 U-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2.6억원)’, 정통부의 ‘지그비/RFID 이용 개인건강 모니터링 솔루션(0.9억)’, 중기청의 ‘U-Hospital 및 U-헬스케어 시스템 개발(1.4억) 등
<부처별 융합기술관련 사업추진현황>
부 처
중점분야
사업 추진현황
단계
과기부
NT-BT-IT
○ 미래 융합기술 혁신을 통한 기술고도화 및 신시장 창출
- 창의적인 개인연구 및 집단연구를 통한 융합형 인재양성
- 예시: 바이오기술개발사업(바이오퓨전사업)(‘06년 예산: 148억원)
도입기
문광부
CT기반
○ CT 융합기술로 실현하는 감성파워 코리아 추진
- 감동, 체험, 향유 지향의 문화 콘텐츠 환경 조성
도입기
산자부
IT-NT
○ 신산업 육성을 위한 융합 부품소재발전방안(‘06.5.30) 수립 심의확정
- 2015년 전자수출 3000억불, 세계 3강 실현
- 예시: 신기술 융합사업(‘06년 예산: 55억원)
도입기
정통부
IT-BT-NT
○ IT기반 융합 부품소재 육성계획(‘06.5.30) 수립 심의확정
- 미래 융합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2015년 세계 융합기술 3대 선진국 도약
- 예시: IT원천기술개발사업(‘06년 예산: 974억원)
도입기
복지부
BT-IT-NT
○ 헬스케어 관련 융합부분
도입기
환경부
IT-BT-NT-ET
○ 환경기술(ET)은 전자, 생물, 소재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접목된 다학제적인 특성을 나타내므로 기술의 분류범위에 따라 다양한 융합 추진
도입기
건교부
건설기반
○ 건설 + IT, NT, RT, ET : 신기술을 건설 교통 분야에 융합 추진
- 예시: 첨단융합건설기술개발사업(‘06년 예산: 100억원)
도입기
해수부
IT-BT-NT-ET-MT
○ MT(해양학, 지구물리학, 화학뿐만이 아니라 전기공학, 전자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등의 기술이 융합된 다학제적 과학기술)와 IT, BT, ET, NT 등 핵심 단위기술들과 융합 추진
도입기
※ 관계부처는 융합기술만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보다는 기존 대형연구개발사업의 일부로써 융합기술을 추진하고 있는 사례가 많음
(2) 융합기술 수준 및 역량
○ 국내 융합기술은 전반적으로 발전 초기단계로 선진국의 최고기술 수준 대비 50~80% 수준으로 전반적으로 낮은 편임
<융합기술의 단계 및 기술수준>
융합기술명
단계
기술수준
융합기술명
단계
기술수준
1. 바이오인포메틱스
도입기
80%
8. 나노일렉트로닉스
성장기(메모리), 도입기(SoC)
80%
2. 휴먼인터페이스
도입기
75%
9. 약물전달시스템
발아기
60%
3. 바이오메트릭스
도입기
80%
10. 나노바이오소재
도입기
70%
4. 바이오컴퓨팅
발아기
65%
11. 나노바이오칩
도입기
70%
5. 바이오닉스
도입기
70%
12. 나노바이오센서
발아기
65%
6. 양자정보처리
발아기
50%
13. 바이오메카트로닉스
도입기
70%
7. 나노포토닉스
도입기
70%
14. 분자이미징
도입기
70%
※ 출처 : 정부통신부 IT-BT-NT 융합기술기획위원회 분석 자료, 과학기술부 2005년 기술수준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재구성
○ 세계 각국의 융합기술 관련 SCI 논문수에 따른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역량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세계 10위를 차지
(단위 : 건)
<세계 각국의 융합기술에 대한 전체 SCI논문 게재 현황>
※ 출처 : 2001년부터 현재까지('06.11.7) SCI 게재논문 6,476,762개를 대상으로 10개 융합기술 관련 논문을 Web of Science를 활용하여 분야별 주제어(논문 Title, 논문 Abstract, 논문 Keywords)를 통해 검색(한국과학재단)
○ 융합기술 분야 전문인력의 양적인 부족과 함께 질적인 수준도 낮은 것으로 평가(기업 대상 설문조사, KIET, 2004)
- 융합기술 분야 R&D인력의 양적 부족(응답자의 60~80%)
- 융합기술 분야 R&D인력의 질적 수준 미흡(응답자의 50~60%)
○ 주요국의 융합기술 관련 특허 등록건수를 분석한 결과 생체분자이미징기술과 인터페이스기술은 미국, 일본에 이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남
※ 출처 : 한국특허정보원
<주요 융합기술의 국가별 특허수>
※ 출처 : 한국특허정보원
<한국의 주요 융합기술간 특허 비율>
국내 융합기술 분야 SWOT분석 및 대응방안
○ 범 유럽 차원에서 추진하는 FP7(2007~2013)에서 융합기술 개발을 확대하고 학제간 연구개발 추진 강화
○ 건강, 나노기술, 신소재 등의 분야에 116억 2,000만 유로 투입 계획
(3) 일본
○ IT, BT, NT 등 신기술융합혁신을 통해 7대 신성장 산업을 집중 지원하는「신산업창조전략(2004년)」마련
※ 신산업창조전략 관련 예산 873억엔 투입(2005년)
○ 4대 중점분야(IT, BT, NT, ET)중 단기간에 실용화가 가능한 기술 위주의 개발 전략인 'Focus 21' 수립 (2004년)
○ 바이오-IT 융합기기 개발 프로젝트, 나노바이오 기술프로젝트 등을 중점 추진
※ 일부 프로젝트는 신산업창조전략 중점 프로젝트와 중복 추진
미국, EU는 자국의 특성에 맞는 융합기술에 대한 전략지침을 마련하였으나, 일본은 별도의 전략지침을 수립하지 않고 전반적인 과학기술 분야에 융합기술을 포함시키고 있음
4. 우리나라 현주소
(1) 융합기술 R&D 정책동향
○ 부처별 융합기술개발 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미래사회 수요를 반영한 독자적인 관련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 못한 실정
○ 부처별 정확한 역할범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부처별 관련 산업 및 영역에 대한 해석과 요구가 매우 포괄적이어서 중복 투자가 우려되어 범부처적인 협의조정이 필요
-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헬스케어) U-헬스케어는 IT와 BT의 통합으로 네트워크 혹은 휴대용 장비를 통해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해당 데이터활용하여 주치의의 진료가 가능한 서비스임
사업의 경우 기술확보 보다는 서비스 주도권 확보를 위한 부처간/연구수행주체(관계기관)간 중복적 경쟁 존재
※ 과기부의 ‘U-헬스케어 제어용 핵심원천기술개발(10.5억)’, 산자부의 ‘zware 기반 무선 U-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2.6억원)’, 정통부의 ‘지그비/RFID 이용 개인건강 모니터링 솔루션(0.9억)’, 중기청의 ‘U-Hospital 및 U-헬스케어 시스템 개발(1.4억) 등
<부처별 융합기술관련 사업추진현황>
부 처
중점분야
사업 추진현황
단계
과기부
NT-BT-IT
○ 미래 융합기술 혁신을 통한 기술고도화 및 신시장 창출
- 창의적인 개인연구 및 집단연구를 통한 융합형 인재양성
- 예시: 바이오기술개발사업(바이오퓨전사업)(‘06년 예산: 148억원)
도입기
문광부
CT기반
○ CT 융합기술로 실현하는 감성파워 코리아 추진
- 감동, 체험, 향유 지향의 문화 콘텐츠 환경 조성
도입기
산자부
IT-NT
○ 신산업 육성을 위한 융합 부품소재발전방안(‘06.5.30) 수립 심의확정
- 2015년 전자수출 3000억불, 세계 3강 실현
- 예시: 신기술 융합사업(‘06년 예산: 55억원)
도입기
정통부
IT-BT-NT
○ IT기반 융합 부품소재 육성계획(‘06.5.30) 수립 심의확정
- 미래 융합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2015년 세계 융합기술 3대 선진국 도약
- 예시: IT원천기술개발사업(‘06년 예산: 974억원)
도입기
복지부
BT-IT-NT
○ 헬스케어 관련 융합부분
도입기
환경부
IT-BT-NT-ET
○ 환경기술(ET)은 전자, 생물, 소재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접목된 다학제적인 특성을 나타내므로 기술의 분류범위에 따라 다양한 융합 추진
도입기
건교부
건설기반
○ 건설 + IT, NT, RT, ET : 신기술을 건설 교통 분야에 융합 추진
- 예시: 첨단융합건설기술개발사업(‘06년 예산: 100억원)
도입기
해수부
IT-BT-NT-ET-MT
○ MT(해양학, 지구물리학, 화학뿐만이 아니라 전기공학, 전자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등의 기술이 융합된 다학제적 과학기술)와 IT, BT, ET, NT 등 핵심 단위기술들과 융합 추진
도입기
※ 관계부처는 융합기술만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보다는 기존 대형연구개발사업의 일부로써 융합기술을 추진하고 있는 사례가 많음
(2) 융합기술 수준 및 역량
○ 국내 융합기술은 전반적으로 발전 초기단계로 선진국의 최고기술 수준 대비 50~80% 수준으로 전반적으로 낮은 편임
<융합기술의 단계 및 기술수준>
융합기술명
단계
기술수준
융합기술명
단계
기술수준
1. 바이오인포메틱스
도입기
80%
8. 나노일렉트로닉스
성장기(메모리), 도입기(SoC)
80%
2. 휴먼인터페이스
도입기
75%
9. 약물전달시스템
발아기
60%
3. 바이오메트릭스
도입기
80%
10. 나노바이오소재
도입기
70%
4. 바이오컴퓨팅
발아기
65%
11. 나노바이오칩
도입기
70%
5. 바이오닉스
도입기
70%
12. 나노바이오센서
발아기
65%
6. 양자정보처리
발아기
50%
13. 바이오메카트로닉스
도입기
70%
7. 나노포토닉스
도입기
70%
14. 분자이미징
도입기
70%
※ 출처 : 정부통신부 IT-BT-NT 융합기술기획위원회 분석 자료, 과학기술부 2005년 기술수준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재구성
○ 세계 각국의 융합기술 관련 SCI 논문수에 따른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역량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세계 10위를 차지
(단위 : 건)
<세계 각국의 융합기술에 대한 전체 SCI논문 게재 현황>
※ 출처 : 2001년부터 현재까지('06.11.7) SCI 게재논문 6,476,762개를 대상으로 10개 융합기술 관련 논문을 Web of Science를 활용하여 분야별 주제어(논문 Title, 논문 Abstract, 논문 Keywords)를 통해 검색(한국과학재단)
○ 융합기술 분야 전문인력의 양적인 부족과 함께 질적인 수준도 낮은 것으로 평가(기업 대상 설문조사, KIET, 2004)
- 융합기술 분야 R&D인력의 양적 부족(응답자의 60~80%)
- 융합기술 분야 R&D인력의 질적 수준 미흡(응답자의 50~60%)
○ 주요국의 융합기술 관련 특허 등록건수를 분석한 결과 생체분자이미징기술과 인터페이스기술은 미국, 일본에 이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남
※ 출처 : 한국특허정보원
<주요 융합기술의 국가별 특허수>
※ 출처 : 한국특허정보원
<한국의 주요 융합기술간 특허 비율>
국내 융합기술 분야 SWOT분석 및 대응방안
추천자료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정책][정보화][정보통신기술][지식정보사회]정보화사회의 도래...
[뉴미디어]뉴미디어의 등장, 뉴미디어의 개념, 뉴미디어의 종류, 뉴미디어의 특성, 뉴미디어...
[생명공학][생명공학 특허][생명공학사업]생명공학의 정의, 생명공학의 기술, 생명공학 관련 ...
[GIS]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기술 소개, GIS 등장과 역사적 발전 과정, GIS의 활용 및 ...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의 정의 및 개념 이해, usn(Ubiquitous sensor netw...
PDP(Plasma Display Panel)와 특허 관련 시장의 기술동향 조사 및 분석
[A+ Report, 인간과과학] 현대의 과학기술이 지닌 여러 가지 특징을 쓰고, 이 특징이 가져온 ...
[3DTV] 3DTV 집중 보고서 - 3DTV의 개념 및 구현 원리와 방식, 3DTV 시장 전망 및 기술 개발 ...
[기초과학][외국 기초과학 정책 사례][기초과학의 정책 방향][과학기술]기초과학의 역할, 기...
[지능형 자동차]차세대 지능형 자동차의 이해 - 지능형 자동차의 정의 및 필요성, 장단점, 주...
에너지 환경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주력해야 할 기술개발분야
[구조화, 한국공군, 고부가가치산업, 조직]한국공군의 구조화, 고부가가치산업의 구조화, 기...
[2000년대]2003년(2000년대)의 IT산업(정보기술산업), 2003년(2000년대)의 소프트웨어산업, 2...